소화기 능력단위 분류
• 대형수동식소화기
화재시 사람이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대와 바퀴가 설치 되어 있고 능력단위가 A급 10단위 이상, B급 20단위 이상인 수동식소화기를 말한다.
• 소형수동식소화기
능력단위가 1단위 이상이고 대형수동식소화기의 능력 단위 미만인 수동식소화기를 말한다.
소화기 가압방식 분류
• 축압식
항시 소화기 용기 안에 소화약제와 압축공기 또는 질소 가스를 압축하고 있는 것으로서, 지시압력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 가압식
소화기 본체 용기에서 소화약제가 배관을 통해 송출될때 배관내 충분한 추진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질소용기를 장착한 시스템이며, 원거리 송출에 유리하다.
소화기 종류
• 포말소화기
연소중인 물질을 탄산가스, 질소가스 등으로 발포시킨 포말로 피복시켜 질식소화효과를 얻는 소화기로 유류화재 등에 많이 사용한다. 소화약제로는 화학포와 공기포가 있다.
• 분말소화기
분말을 방사하는 소화기로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분말(ABC)소화기 소화약제는 인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건조시킨 미분말을 실리콘수지등에 의해 방습처리를 가한 것으로 담홍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방사된 약제는 연소면의 피복에 의한 질식, 억제작용에 의해 보통화재 및 유류화재에 적응 한다. 또한 약제는 전기의 부도체이므로 전기화재에도 적응 한다. 그리고 이 소화약제는 다른 종류의 분말소화약제와는 화학성질이 다르므로 혼합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 소화기는 축압식과 가스가압식이 함께 사용된다. 축압식의 사용온도 범위는 -30[℃]~+40[℃]의 것이 대부분 이고, 가스가압식의 사용온도는 -20[℃]~+40[℃], -10[℃] ~+40[℃], 또는 0[℃]~+40[℃]의 것이 있다.
- 분말(BC)소화기 탄산수소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과 탄산수소칼륨을 주성분으로 한 두 종류가 있다. 미분말을 소화약제로 사용하며, 분말(ABC)소화약제와 같이 방습처리가 가해져 있다. 일반적으로 약제의 색깔은 백색을 나타내고 있다.
보통화재에 대한 적응성은 없고 억제 및 질식작용에 의해 유류화재에 적응하며, 전기화재에도 적용한다. 이 소화기의 약제 충진은 가스가압식이 적용된다.
• 이산화탄소소화기
방사된 이산화탄소에 의한 질식작용과 발생한 드라이아 이스의 냉각작용에 의해 유류화재, 전기화재에 적응한다.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용기표면은 청색으로 도장되어 있다.
이산화탄소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액상으로 용기에 충전 되어 있다. 사용온도범위는 -30[℃]~ 40[℃]이다. 용기의 내부압력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나 상온에서는 약 60[kg/ ㎠]이다. 방사관 또는 호스의 내압시험 압력은 160[kg/㎠] 이고, 용기 및 밸브의 내압시험 압력은 250[kg/㎠]이다.
• 하론소화기
- 하론 1211소화기 높은 순도의 브로모클로로디플로로메탄(CClBrF 2 )이며 비중은 15[℃]에서 1.93이상 1.96이하로서 무색투명한 방사성이 있는 증발성액체이다. 방사된 약제는 화열에 의해 기화하여 질식 및 억제작용에 의해 유류화재에 적응한다.
또 약제는 전기의 부도체이므로 전기화재에도 적응한다.
사용온도 범위는 -30[℃]~40[℃]이다.
- 하론 2402소화기 높은 순도의 디브로모테트라플로로에탄(C 2 Br 2 F 4 )으로서 비중은 15℃에서 2.18 이상 2.21이하이며 무색투명한 방향 성이 있는 증발성액체이다. 소화작용은 하론1211과 같으나 소화성능은 더 우수하다. 사용온도 범위는 -30 [℃]~ 40[℃]이다.
- 하론 1301소화기 높은 순도의 브로모트리플로로메탄(CBrF 3 )으로서 상온 상압에서는 기체이나 압축하면 무색투명한 액체가 되어이 상태에서 고압가스용기에 충전된다. 방사된 약제(가스 상태)는 질식 및 억제활동에 의해 유류화재에 적응한다.
또한 약제는 전기와 부도체이므로 전기화재에도 적응한다.
하론1301소화기는 고압가스용기에 속하여 가스 자체의 압력(증기압)으로 방사하는 것으로서(질소가스로 가압한 것도 있다) 지시압력계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용기에는 이산화탄소와 마찬가지로 고압가스용기증명서가 교부되어 있으며,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규정에 따라 용기표면은 회색으로 도장되어 있다. 용기의 내부압력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나 상온에서는 약 14[㎏/㎠]이다. 용기 밸브 및방사관의 내압시험압력은 이산화탄소 소화기와 같다.
사용온도 범위는 -20[℃]~40[℃]이며, 충전비는 0.9이 상이다.
청정소화약제
할로겐화합물(할론 1301, 할론 2402, 할론 1211 제외) 및 불활성기체로서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이며 휘발성이 있거나 증발 후 잔여물을 남기지 않는 소화약제를 말한다.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를 말하며. 소화 약제로는 HFC-23, HFC-125, HFC-227ea 등이 있다
• 불활성가스 청정소화약제
헬륨, 네온, 아르곤 또는 질소가스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를 말하며 소화약제로는 IG-100, IG-541, IG-55 등이 있다
소화방식
• 전역방출방식
화재시 밀폐된 실내에 고정된 배관의 분사헤드로 용기에 저장된 소화약제를 전량 방출하여 질식, 냉각, 부촉매 효과로 연소를 막는 방식이다.
• 국소방출방식
전역방출방식과 같은 원리이나 규정량의 소화약제를 국부적인 연소부분에 분사해서 효과적으로 연소부분을 덮고 산소의 공급을 급격히 차단하는 소화방식이다.
• 호스릴방식(이동식)
화재시 연기가 충만하지 않는 장소에 한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다
저장용기
저장용기는 소화약제를 보관하는 용기로 다음 사항에 맞게 설치해야 한다.
․ 방호구역외의 장소에 설치하며, 다만, 방호구역 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피난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피난구 부근에 설치하여야 한다.
․온도가 55℃ 이하이고 온도의 변화가 작은 곳에 설치 한다.
․직사광선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하 며,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한다.
․용기간의 간격은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3[㎝] 이상의 간격을 유지한다.
․저장용기에 충전량 및 충전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하는 경우에는 해당 소화약제에 적합한 구조로 한다.
․저장용기의 약제량 손실이 5%를 초과하거나 압력손실이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하며, 불활성가스 청정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경우
에는 압력손실이 5%를 초과할 경우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하여야 한다
분사헤드
전역 및 국소방출방식에 사용되며, 소화약제를 방호구역 전역에 균일하고 신속하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관과 선택밸브
소화설비의 배관은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방출내압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서 아연도금 등에 따라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한다.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이음이 없는 동및 동합금관(KS D 5301)의 것을 사용한다.
둘 이상의 방호구역을 하나 이상의 저장용기로 같이 사용할 경우에는 방호구역마다 소화약제를 분리하여 보낼수 있는 선택밸브를 설치한다.
기동장치
• 자동식 기동장치
수동으로도 기동할 수 있으며, 대부분 이산화탄소가 충진된 용기가 내장되어 이산화탄소를 기동압력으로 사용하 며, 압력스위치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추고 있다.
• 수동식 기동장치
전역방출방식에 있어서는 방호구역마다, 국소방출방식에 있어서는 방호대상물마다 설치한다.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그 상부에 적색표시등을 달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