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선로 순회점검 방법 및 주기
1. 전차선로 순회점검 방법 및 주기
구 분 | 도보 순회 | 열차 순회 | 모터카 순회 | 공통사항 | ||
전동차 운행구간 | 지상 | 1주1회 | 1일1회 | - | ◦도보순회시 공사개소는 주2회 점검
◦고속열차, 전동차, 전기기관차가 병행하여 운행하는 구간은 가장 짧은 주기를 적용
| |
지하 | - | 2주1회 | ||||
경부선 | 고속열차 운행구간 | 2주1회 | - | |||
전기기관차 운행구간 | - | |||||
호남선 | 고속열차 운행구간 | - | ||||
전기기관차 운행구간 | - | |||||
중앙선 | 전기기관차 운행구간 | 2일1회 | - | |||
태백선 | 전기기관차 운행구간 | - | ||||
영동선 | 전기기관차 운행구간 | - | ||||
충북선 | 전기기관차 운행구간 | - | ||||
경부고속선 | 1월1회 | 1월2회 | - |
2. 전차선로 자동검측 방법 및 주기
구 분 | 전차선 검측차 (높이/편위/마모) | 모니터링 검측차 (아크/동특성) | 비고 | ||||
종합검측차 | 전철시험차 1호 | 전철시험차 2호, 3호, 4호 | |||||
일반 철도 | 전동차 운행구간 | 지상 | - | 1월1회 | - | 3월 1회 |
|
지하 | - | 1년1회 | - | 필요시 |
| ||
경부선, 호남선 | - | 6월1회 | 1월1회 | 1월1회 |
| ||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충북선 | - | 6월1회 | 3월1회 | 3월1회 |
| ||
| |||||||
경부고속선 | 1월1회 | - | - | 1월2회 |
| ||
※ 자동검측차로 검측되지 않는 구간의 전차선 편위, 높이는 전철보수장비, 수동 측정자 등을 이용하여 1년 1회 측정하여야 한다. |
|
3. 전차선 마모측정 방법
구분 | 신품 두께 (㎜) | 가선 장력 (Ton) | 허용 잔존 두께 (㎜) | 수동검측 기준값 | 비 고 |
본 선 | |||||
원형 110㎟ | 12.34 | 1.0 | 7.50 | 섹션내 자동 검측값이 10.00㎜이하 일 때 수동검측 | 지상구간
(전차선 안전율 : 2) |
1.2 | 8.50 | ||||
원형 170㎟ | 15.49 | 1.2 | 7.85 | 섹션내 자동 검측값이 12.00㎜이하 일 때 수동검측 | |
1.4 | 8.85 | ||||
1.5 | 9.10 | ||||
이형 150㎟ | 13.60 | 1.4 | 8.85 | 섹션내 자동 검측값이 11.00㎜이하 일 때 수동검측 | |
1.5 | 9.10 | ||||
2.0 | 11.30 | 섹션내 자동 검측값이 12.00㎜이하 일 때 수동검측 | |||
제형 110㎟ | 11.70 | T-bar R-bar | 1.00 | 섹션내 이어 끝에서 전차선 잔존두께 2㎜ 이하 일 때 수동검측 | 지하구간 |
◦ 마모한도에 근접한 개소 또는 취약개소의 측정은 섹션별로 마모가 심한 3~5개소를 선정하여 측정하고 고유번호(섹숀일련번호 및 A․B․C․D․E)를 붙인다. 단, 고속선은 전주지지점 (30㎝ 이내), 경간 중간지점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 측정치는 소수점 둘째 자리(0.01[㎜])까지 정밀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
4. 애자류 청소주기
구 분 | 적용노선 | 청소주기 | 비 고 |
비에 씻기지 않는 애자 (전기차 전용 운행구간) | 경부고속선 | 2년 | 장간애자, 현수애자 지지애자 |
과천선, 분당선, 안산선 | 2년 | ||
일산선 | 5년 | ||
비에 씻기지 않는 애자 (전기차+디젤열차 운행구간) | 경부선, 호남선,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충북선 | 1년 | 터널브래키트 |
필요시 | 장간애자, 현수애자 지지애자 | ||
비에 씻기는 애자 | 전체 노선 | 필요시 | 오손등급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