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4. 19. 14:47


 

1. “이행구간

커티너리 가선구간과 강체 가선구간의 접속구간을 말한다.


2. “가고

합성전차선의 지지점에서 조가선과 전차선과의 수직 중심간격을 말한다.


3. “보호선용접속선

단권변압기방식에서 보호선과 귀선레일을 접속하는 전선을 말한다.


4. “직렬콘덴서

인덕턴스에 의한 전압강하의 경감을 위하여 급전선부급전선 또는 전차선에 직렬로 접속하는 콘덴서를 말한다.


5. “영구신장조성(Prestretch)”

합성전차선을 정상적으로 인류하기 전에 합성전차선에 영구신장이 생기도록 미리 과장력을 가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6. “건식게이지(Gauge)”

전주중심과 궤도중심과의 직선이격거리를 말한다.


7. “보조조가선

합성전차선의 지지점에서 조가선의 가고를 조정하기 위하여 보조로 설치한 조가선을 말한다. 또한, 콤파운드 가선방식에서 본 조가선 밑에 설치한 조가선도 이에 포함하여야 한다.


8. “이중조가선

합성전차선의 지지점(구름다리 하부 등)에서 조가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2중으로 설치한 조가선을 말한다.


9. “보조곡선당김장치

곡선로의 경간 내 또는 건널선에서 중간편위를 조정하기 위하여 보조로 설치하는 곡선당김장치를 말한다.


10. “공용접지방식

레일(궤도)과 병행하여 지중에 매설접지선을 포설하여 변전소로 돌아오는 전류의 귀환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모든 전기설비를 등전위 접지망으로 구성하여 레일 및 귀선을 연결시키는 접지방식을 말한다.


11. “횡단접속선

상하선 각 궤도에 대한 귀선전류 평형단락 또는 지락사고 발생시 대지전위의 감소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전선을 말한다.


12. “매설접지선

공용접지방식에서 레일(궤도)과 병행하여 양쪽 또는 한쪽에 매설하는 접지용전선을 말한다.


13. “인입선

배전선로로부터 분기하여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말한다.


14. “인하선

배전선로의 지지점으로 부터 분기하여 지지물을 따라 옥외 시설의 제표지등역명표외등 및 기타 시설물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말한다.


15. “옥내배선

옥내의 전기사용장소에서 고정하여 시설하는 전선을 말한다.


16. “접지선

다음 각목에 열거한 것을 접지극 또는 접지단자함에 접속하는 금속선을 말한다.

   가.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 프레임 또는 외함

   나. 금속제의 전선관덕트

   다. 케이블의 금속피복

   라. 전로의 중성점 1 단자

   마. 피뢰기의 접지단자

   바. 변성기의 2 차측 접지단자

   사. 기타 접지의 목적물 등


17. “절연전선

절연물로 피복한 전선을 말한다.


18. “지지물

목주철주강관주콘크리트주철탑전주대용물 및 이의 부속장치를 말한다.


19. “전주

전선로에 사용하는 목주철주강관주 및 콘크리트주를 말한다.


20. “지중관로

지중전선로지중 약전류전선로지중 광섬유케이블 선로지중에 시설하는 수관 및 가스관과 이와 유사한 것 및 이들에 부속되는 지중함 등을 말한다.


21. “건조물

사람이 거주하거나 근무하며 또한 빈번한 출입이 있고 사람이 모이는 건축물 등을 말한다.


22. “수전반

특별고압 또는 고압 수용가의 수전용 배전반을 말한다.


23. “배전반

개폐기과전류차단기계기보호계전기 등을 설비한 독립된 반으로서 구내배전설비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설비를 말한다.


24. “조작반

특정의 전기기계기구를 조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기를 설비한 독립된 반을 말한다.


25. “분전반

전로를 2이상으로 분기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기를 설비한 독립된 반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