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방식
전기방식
(전기방식)
전기철도의 전기방식은 단상교류 25,000[V] 단권변압기 방식(이하 “AT방식”이라 한다) 또는 흡상변압기방식(이하 “BT방식”이라 한다)으로 한다.
(전압)
①전철변전소 수전선로의 전압은 수전용량, 수전거리 및 이와 연계된 전력계통을 고려하여야 하며, 전력공급자와 협의하여 적용하되 다음 표의 공칭전압 중 하나를 선정한다.
공칭전압[㎸] | 22.9, 66, 154 |
②수전선로는 동일한 전압으로 직접 연계하는 회로 등의 중성점을 변전소에서는 저항 또는 리액터를 통하여 접지하거나 직접 접지하여야 한다.
(수전계통의 구성)
①계통의 구성은 부하의 크기 및 특성․지리적조건․전력종류․전압강하․수전안정도․회로의 공진․운용의 합리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②수전선로는 예비의 선로를 구성하여야 한다.
(수전선로의 특성)
①수전선로의 용량은 다음 각호의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1. 선로의 용량은 공급범위의 부하에 대하여 충분하여야 한다.
2. 전선의 사용온도가 다음 표에 표시한 최고 허용온도 이하를 유지하여야 한다.
전선 종별 | 최고 허용온도[℃] |
가공나전선 | 100 |
지중케이블(CV) | 90 |
②수전선로는 제1항의 규정에 관계없이 단락전류 및 지락전류(이하 “사고전류”라 한다)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절연협조)
①수전선로는 뇌해빈도․개폐서어지 및 지속성․이상전압을 고려하여 각각의 계통전압에 있어서 절연의 협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②수전선로의 절연강도는 변전소 부근에서는 변전소의 기기와 절연협조를 고려하여야 한다.
(가공수전선로)
①수전선로등의 지지물 경간은 철주 및 콘크리트주의 경우 경간 150[m]를 초과하여 사용할 수 없고, 경간이 15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철탑을 사용하되 400[m] 이하로 한다.
②가공수전선로는 가공지선을 설치하며, 지지물과 함께 접지를 하여야 한다.
③수전선로에는 부근의 약전류전선에 대한 유도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시설을 하여야 한다.
(사고전류 차단)
수전선로에는 계통에서 발생하는 지락 및 단락의 사고를 확실히 검출하는 장치 외 이에 연동되어 사고전류를 안전하고 신속히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용량)
변전소등의 용량은 장래의 수송수요를 감안하여 다음 각 호에 의하여 결정한다.
1. 급전구간별의 정상 열차부하조건에서 1시간 최대출력 또는 순시최대출력을 기준으로 한다.
2. 주변압기의 표준용량과 최대부하(자냉식 기준)는 다음 표에 준한다.
변압기 종별 | 표준용량 [MVA] | 최대출력 (정격치에 대한 백분율) | 순시최대전력 (정격치에 대한 백분율) |
스코트결선 변압기 | 10, 20, 30, 45, 60, 90 | 100[%] : 연속, 150[%] : 2시간 | 한쪽 상에 대하여 300[%] 2분간 |
단권 변압기 | 3, 5, 7.5, 10, 15 | 100[%] : 연속, 150[%] : 2시간 | 한쪽 상에 대하여 300[%] 2분간 |
3. 변전소의 급전용변압기는 앞으로의 수송수요 등을 감안하여 뱅크를 구성하고 예비용변압기를 두어야 한다.
4. 흡상변압기방식과 단권변압기 급전방식의 연결 장소에는 단권변압기와 흡상변압기를 설치할 수 있고, 교류 급전방식과 직류 급전방식의 연결 장소에는 유류 저지용 변압기를 설치할 수 있다.
(급전계통)
급전계통은 부하의 크기와 성질 및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구성하고 변전소간에는 급전구분소를 설치하여 방면별로 급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