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4. 26. 15:37


철도건설규칙 용어



  차량

선로를 운행할 목적으로 제작된 동력차객차화차 및 특수차를 말한다.

 

 “선로

차량을 운행하기 위한 궤도와 이를 받치는 노반 또는 공작물로 구성된 시설을 말한다.

  

 “본선

열차운전에 상용할 목적으로 설치한 선로를 말하며, “측선이라 함은 본선이 아닌 선로를 말한다.

  

궤도

레일침목 및 도상(道床)과 이들의 부속품으로 구성된 시설을 말한다.

  

 “도상

레일 및 침목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하중을 노반에 넓게 분산시키고 침목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자갈 또는 콘크리트 등의 재료로 구성된 구조부분을 말한다.

  

 “궤간

레일의 윗면으로부터 14밀리미터 아래지점에서 양쪽레일 안쪽간의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한다.

  

정거장

여객의 승강(여객 이용시설 및 편의시설을 포함한다), 화물의 적하(積下), 열차의 조성(組成), 열차의 교행(交行) 또는 대피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소를 말한다.

 

 신호소

수동 또는 반자동의 상치(常置)신호기를 취급하기 위하여 시설한 장소를 말한다.

  

 “기지

화물취급 또는 차량의 유치 등을 목적으로 시설한 장소로서 화물기지차량기지주박(駐泊)기지보수기지 및 궤도기지 등을 말한다.

  

슬랙(Slack)”

차량이 곡선부를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바깥쪽레일을 기준으로 궤간을 확대하는 것을 말한다.

  

 “캔트(Cant)”

차량이 곡선부를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안쪽레일을 기준으로 바깥쪽 레일을 높게 부설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차량

외부전원을 동력으로 하여 선로를 이동할 목적으로 제작된 차량으로 전기기관차 및 전기동차를 말한다.


  전차선

전기차량의 집전장치에 직접 접촉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을 말한다.

 

 합성전차선

조가선(강체를 포함한다)전차선행거드롭퍼 등으로 구성한 가공전선을 말한다.

  

 “가공전차선

전차선조가선 및 이에 부속되는 각종 장치 등을 총괄한 것을 말한다.

  

전차선로

가공전차선과 그 지지물, 급전선, 귀선로 및 이에 부속되는 설비를 총괄한 것을 말한다.

  

 “전동차전용선

전기동차에 의한 도시철도의 운행을 주목적으로 디젤기관차 등에 의한 여객화물열차가 운행하지 아니하는 선로를 말한다.

 

 신호표지

폐색구간의 경계지점에 설치하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선로변 표지를 말한다.

. 정지신호일 경우 반드시 정지하여야 하는 신호표지(이하 절대신호표지라 한다)

. 정지신호에서도 진입이 가능한 신호표지(허용신호표지)

. 정거장 구내에서 입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표지(이하 입환신호표지라 한다)

  

진입허용표시등

절대신호표지와 입환신호표지에 첨가되어 해당 진로내의 진입여부를 지시하는 신호등을 말한다.

  

 “선로전환기

차량의 운행선로를 변경시키는 기기를 말한다.

  

연동장치

신호기선로전환기궤도회로 등의 제어 또는 조작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상호 쇄정(鎖錠)하는 장치를 말한다.

  

 “폐색구간

동시에 2 이상의 열차를 운전시키지 아니하도록 1개의 열차만 점용하도록 한 선로의 구간을 말한다.

 

 통신설비

열차운행 및 철도운영정보(음성, 부호, 문자 및 영상 등)를 송수신하거나 표출하는 통신선로 및 설비와 이에 부속되는 장치 등을 총괄한 것을 말한다.

  

 “고속철도

열차가 주요구간을 시속 200킬로미터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철도를 말하며, “일반철도라 함은 열차가 주요구간을 시속 200킬로미터 미만의 속도로 주행하는 철도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