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침목 교환작업
교량침목 교환작업
(일반사항)
1) 교량침목 교환작업은 선로차단작업(선로일시사용중지)으로 시행한다. 다만 한산선에서 교환수량이 아주 적고 산발적 교환의 경우에는 운전 관계처와 사전 협의로 시행할 수 있다.
2) 곡선교량에서의 침목교환을 기계작업으로 시행하는 경우에는 기계의 전복우려가 많으므로 이에 대하여 특히 주의하여야하며 안전대책을 강구하고 작업한다.
3) 주요본선의 교량침목 교환은 교환주기와 보수작업 여건 등을 고려하여 되도록 그 교량에 부설되어 있는 침목 전체를 동시 교환하도록 계획한다.
(준비작업)
1) 교량상 및 교량전후의 레일 유간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때에는 미리 유간정리를 한다.
2) 부설할 침목위치를 레일복부에 백색페인트로 표시를 한다.
3) 교환할 구 침목과 신 침목에 각각 일련번호를 표시하고 깍기량 또는 팩킹량을 검측하여 미리 가공(마름질)을 한다. 이때 직선구간의 동일 침목에 마름질 잘못으로 팩킹이 한쪽에만 삽입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한다.
4) 팩킹은 2중으로 겹쳐 사용해서는 안되며 못을 단단히 박아 탈락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5) 침목 하면이 교량 거더의 브레이싱에 접촉되지 않도록 가공하고 가공부분에는 방부제를 도포한다.
6) 곡선부 침목은 캔트량에 맞게 정밀 가공한다.
7) 불량 훅크볼트는 교환한다.
8) 신 침목에 베이스플레이트를 역구내에서 미리 장착할 때에는 적정 궤간확보에 유의하여 기준틀을 설치한 후 나사스파이크를 정확하게 박는다.
9) 장대교량의 침목교환을 야간에 시행 할 때에는 침목끝의 줄맞춤을 위한 검측 측점을 설정 정밀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10) 교상가드레일의 일시 철거는 본 작업의 진도에 맞추어 철거, 부설한다.
11) 야간 작업시에는 조명설비를 준비한다.
(본작업)
1) 교환에 사용할 침목은 매일의 작업에 필요한 수량만큼씩을 침목번호 순서대로 운반하여 교환한다. 그러나 교량전후에 침목을 적치해 둘 수 있는 장소가 있는 경우에는 전량을 미리 운반해 두었다가 교환할 수 있다.
2) 기계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기계를 트로리에 태워 작업하게 되므로 트로리 위에서 작업이 용이한 장비를 선택한다.
3) 교환작업은 복선구간에서는 열차진행방향을 향하여 그리고 단선구간에서는 레일밀림이 오는 방향으로 교환해 나간다.
4) 교량 훅크볼트는 당일 교환작업 구간만 철거하고 교환한 신 침목에 바로 설치한다.
5) 궤도회로가 구성된 선구에서는 훅크볼트가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6) 코일스프링크립을 철거할 때와 설치할 때에는 팬풀러를 사용하고 코일스프링크립을 잘못 취급하여 교량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7) 침목교환시에는 레일체결장치를 과대한 연장에서 걸쳐 철거하지 않도록 하고 레일들기는 침목삽입에 지장 없는 범위 내에서 최소화하여 궤도의 변형이 확대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8) 신 침목의 교환작업은 번호순대로 적재된 트로리에서 운반 교환한다.
9) 철거된 구 침목은 되도록 당일 중에 역구내로 운반 적치하여야 한다. 특별한 경우 당일 반입이 어려울 때에는 교량입구 공터에 우선 적치하고 철사줄로 동여 매둔다.
10) 침목의 철거 및 신침목의 삽입을 장비로 하는 경우에 장비 운전공은 반드시 작업책임자의 신호에 따라 안전하게 조작하도록 한다.
11) 교량상의 작업에 있어서는 특히 작업원의 추락사고 또는 재료나 공기구의 낙하로 인한 망실 등의 사례가 많으므로 이점 특히 주의한다.
12) 침목교환이 완료된 구간은 곧 이어서 교상 가드레일과 침목이동 방지용 계재를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