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4. 26. 17:32

  

1종 기계작업

 


(적용범위)

멀티풀타이탬퍼(Multiple Tie Tamper, 이하멀티풀이라 함)를 사용하여 선로를 차단하고 궤도 들기, 면맞춤, 줄맞춤 및 다지기 등을 동시 다기능적으로 시행하며, 밸러스트콤팩터(Ballast Compactor, 이하 콤팩터라 함) 또는 밸러스트스태비라이저(Ballast Stabilizer : 이하 스태비라이저라 함)을 사용하여 도상면을 달고다지기를 하는 일식의 작업 즉 1종기계작업에 대하여는 이 표준에 따른다.


(편성장비, 인원 및 기능)

1종 기계작업단의 편성장비, 소요인원 및 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장 비 명

인원

주 요 기 능

멀티풀타이탬퍼

2

궤도들기, 면맞춤, 줄맞춤,

다지기

밸러스트콤팩터 또는

밸러스트스태비라이저

2

도상면 및 도상어깨면 달고 다지기, 침목상면 체결구청소

밸러스트레귤레이터

2

자갈정리, 자갈소운반 보충


(상대기준(相對基準)에 의한 멀티풀 작업)

레벨링 장치를 사용하여 도상다지기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의한다.

 

1) 준비작업

기준측(基準側)의 선정 : 직선부에서는 비교적 평탄하며 상대적으로 수평이 높은 쪽의 레일로 하고 곡선부에서는 내궤(內軌)측 레일로 한다.

이때 기준말뚝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의한다.

작업구역 및 작업량의 결정 : 작업구역 및 작업량은 열차상간, 다지기 속도 및 현장실정 등에 따라 결정한다.

지장물의 표시 : ATS지상자, 드라프, 레일밀림방지말뚝, 횡단하수, 신축이음매(EJ), 건널목 등 다지기작업에 지장이 있는 개소는 5개정도의 전방 침목상에 백색페인트로 ×표를 하여 장비조작자로 하여금 미리 알아보도록 한다.

곡선부는 곡선반경, 완화곡선의 시종점, 원곡선의 시종점, 캔트(cant)량을 장비조작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침목 상면 중앙부에 표시한다.

불량침목 및 불량체결장치는 미리 교환하거나 보수한다.

도상부족개소 및 궤도들기 량에 따라 도상을 사전에 보충한다. 이때 다짐봉 삽입위치의 도상자갈은 특히 충분해야 한다.

 

2) 본작업 (다지기 작업)

레벨링 장치의 점검 : 미리 정비해 놓은 궤도상에서 멀티풀의 레벨링 장치를 점검한 탬핑작업의 수평오차는 ±1.5mm 이내 이어야 한다.

도상다지기

) 시공 접속부를 포함하여 작업구역의 시점으로부터 종점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다져나간다. 이때 지장개소는 건너뛰며 사전에 인력으로 개별 다지기를 하도록 한다.

) 다지기는 멀티풀의 침목위치 지표가 침목의 중심위에 오도록 멀티풀을 멈추고 탬핑툴(다짐봉)을 침목간격 보다 약간 넓게 벌리고 탬핑툴의 선단()이 침목하면에서 80mm 내지 100mm가량 더 들어가도록 하면서 침목 옆면에서 약 20mm정도까지 죄어 짠다.

) 곡선구간에 있어서의 다지기 작업은 항상 캔트량에 주의하고 필요에 따라 표준게이지를 사용하여 수평을 검측한다.

) 다지기 회수는 다음 표를 원칙으로 한다. 다만, 이음매부는 두 번씩 다짐한다.


들기량

다짐회수

0 20mm

1

20 40mm

2

    

) 작업종단의 접속부는 미리 측량에 의하여 선정해 놓은 개소에 접속하도록 하되 부득이한 때에는 들기량의 600배 이상으로 구배를 둔다.

) 점검 : 작업반장은 다지기 상태와 궤도정정 상태를 점검한다.

) 도상정리 : 다지기 작업이 끝난 개소를 따라 도상자갈 정리를 한다.

) 체결장치 되조이기 : 다지기 후 작업 중에 이완된 체결구를 정비한다.

 

3) (뒷작업)

작업구역 전반에 걸쳐 검측을 한다.

매설물, 지상자, 본드선 등 선로부대물은 지장유무를 조사하여 바로 잡는다.

하절기에는 레일의 장출에 대하여 특히 유의한다.


(밸러스트 콤팩터, 밸러스트 스태비라이저 작업)

1) 도상면 달고다짐에 있어 1회 다짐시간은 통상 3초정도로 한다. 다만 이음매부, 자갈치기개소, 급곡선부, 장대레일구간, 기타 공사개소 등에 대하여는 다짐시간과 다짐회수를 증대한다.

2) 도상면이 불규칙한 개소를 다짐할 때에 일부 차륜이 들려 궤도이탈의 우려가 있으므로 다짐장치의 조작에 주의하면서 작업한다.

3) 도상어깨가 불규칙한 곳은 다짐장치를 수평으로 하고 침목끝쪽에서부터 도상어깨까지 순차적으로 다짐한다.

4) 기계작업 개소의 침목면 및 체결구 부위의 청소는 부러쉬를 이용하여 작업한다. 이때 부러쉬 끝부분이 침목상면보다 5mm 내지 10mm 더 길게 조정하여 작업하는 것이 좋다.


(밸러스트 레귤레이터 작업)

다음 항 2종 기계작업의 레귤레이터 작업을 준용한다.


(안전확보)

기계편성 작업시에는 특히 다음의 안전확보에 유의하여야 한다.

1) 작업시 안내원이 없는 건널목은 임시 안내원을 배치하고 작업한다.

2) 작업구간의 전후에는 적정한 거리에 작업표를 세우고 열차감시원을 배치한다. 이때 열차감시원은 선로일시사용중지에 관련하여 무전기로 인접역과의 열차운행정보를 수시로 파악하도록 한다.

3) 열차 진입시에는 각 장비는 경적음을 취명하여 지상 근무자를 대피하도록 한다. 이때 특히 복선구간에서는 반대선 쪽으로의 대피는 절대로 하지 못하도록 한다.

4) 장비 기계작업시에는 반드시 관계 전기원을 입회시킨 가운데 작업한다.

5) 장비이동시에는 운행선 상에서 전호하여서는 안된다.

6) 기계작업 중 선로 좌우쪽으로 갈 때에는 반드시 장비 후방을 이용하도록 한다.

7) 작업원은 반드시 안전모, 안전복을 착용한다.

8) 작업중 또는 대기중인 장비간의 거리는 10m 이상을 유지토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