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기술자료/전차선

가동브래키트 공사

양 회장 2017. 5. 1. 11:08


가동브래키트 공사



. 공통사항

1) 브래키트 설치 공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전주 전면(레일쪽)에 레일면을 정확히 표시한다.

2) 가동브래키트 길이는 건식 게이지에 따라 소정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3) 터널, 과선교 등 구조물 전후에 있어서는 전차선 구배를 검토하여 전주전면에 지워지지않는 필기구로 상부밴드 위치(높이)를 기록한다.

4) 신설 선로의 경우 장래 레일 상승을 고려하여 상부밴드의 위치를 규정치보다 100높게(전차선 높이 5,300기준)한다. 다만, 감독자 또는 감리원의 지시가 있을 때에는 그 지시에 따른다.

5) 터널, 과선교 전후에 있어서 부득이 가동브래키트 가고를 줄이고져 할 때에는 보조 조가장치를 설치한다. 이 때 지지점에서 보조 조가선의 각도는 120°를 표준으로 한다.

6) 브래키트의 수평 주파이프는 특별한 경우(BAJ형등) 이외에는 원칙적으로 수평으로 설치한다. 전주의 데퍼등으로 부득이 한 경우에는 하부밴드 간격 조정등으로 수평을 유지토록 한다.

7) 영종대교 트러스 구간에는 G=3.5 H=710 브래키트를 사용하며 라멘교의 겨우 빔주로 G=2.1 H=960, 한강대교는 평행구간만 빔주로 사용하며 나머지는 일반구간과 동일하게 시설 됨.

트러스 구간에는 기시설된 지지금구를 사용하며 라멘교, 한강대교 평행구간을 2경간으로 하되 복주를 사용할 수 없어 비임주로 시설한다.

. 수도권형(A) 가동브래키트

1) 선로의 곡선반경, 전주의 건식위치, 지지물의 형식, 가고 등을 전주별로 정밀하게 조사하여 명세표를 작성한후 브래키트의 규격을 결정하고 이 명세표에 의거 설치한다.

2) 브래키트의 상부 전주밴드의 취부 위치는 조가선의 높이(지지점에 있어서 레일면상의 전차선 높이+가고)에서 40를 낮추어야 하며, 표준온도(10)를 기준으로 선로와 직각 방향으로 설치 한다.

3) 진동방지 파이프의 위치는 전차선 높이보다 350높이고 선로의 캔트를 고려하여 레일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수평 주파이프와 진동방지 파이프의 표준간격은570원칙으로 한다.

4) 브래키트는 브래키트용 전용밴드 또는 취부철물로 전주, 하수강, 벽체등에 견고하게 취부하여 보강재는 브래키트형(I형 및O)에 따라 압축에 견디는 구조로 U볼트를 체결하여야 한다.

5) 하부 전주밴드의 취부 위치는 표에 의하며, 특수가고(가고500이하)의 것은 현장 여건에 맞추어 적의 조정 설치한다.

6) 평행개소에는 2본의 브래키트를 평행틀 또는 2본의 전주(복주방식에 한함)에 설치하며, 강체 가선방식에서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7) 브래키트 조립시 모든 체결 볼트는 견고하게 조여야 하고 분할핀 삽입개소는 누락없이 꽂은후 빠지지않게 끝을 벌려 놓아야 한다. 다만, 편위 조정시 이동부분은 전차선 편위 조정후 고정시켜야 한다.

 

수도권형 가동브래키트(A)의 조정범위와 밴드간격 (H)

 

형별

형별

조정범위

CANT160의 곡선에

대응하는 건식범위

밴드취부간격

(H)

가고

건식 게이지(G)

960

3,000

O.F

2,2002,300

2,6003,000

1,000

I

2,3003,300

2,5002,900

1,000

3,500

O.F

2,7003,700

3,1003,500

1,200

I

2,8003,800

3,0003,400

1,200

4,000

O.F

3,2004,200

3,6004,000

1,400

I

3,3004,300

3,5003,900

1,400

4,500

O.F

3,7004,700

4,1004,500

1,400

I

3,8004,800

4,0004,400

1,400

1,900

I

1,8502,200

 

1,000

2,100

O.F

1,8002,300

 

1,000

I

1,9502,400

 

1,000

2,500

O.F

1,7002,700

 

1,000

I

2,0002,800

 

1,000

3,000

O.F

2,7003,200

 

700

I

2,8003,300

 

700

710

3,500

O.F

3,2003,700

 

800

I

3,3003,800

 

800

4,000

O.F

3,7004,200

 

1,000

2,100

O.F

1,8002,300

 

650

I

2,0502,400

 

650

2,500

O.F

2,2002,700

 

650

I

2,3502,800

 

650

   

     1) R-Bar 브래키트의 설치간격은 10m를 표준으로 하고 지지철물 제작은 현장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후 터널벽 브래키트 설치도면에 의하여 제작 하여야 한다.

   2) R-Bar 브래키트 설치시 앵커볼트의 매입은 다음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 앵커볼트의 매입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 후 콘크리트면과 수직으로 규정된 직경 및 깊이(케미컬 앵커볼트 20Φ×250) 로 구멍을 뚫어야 한다. 특히 곡선부에 있어서는 선로 캔트에 의한 레일 중심축의 이동(전차선 높이기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 뚫은 구멍은 깨끗하게 청소하고 케미컬 앵커를 구멍에 삽입한 후 스터트 볼트를 인팩트 드릴에 아답터를 부착하여 진동 및 회전시켜 구멍속에 수직으로 삽입한다.

() 케미컬 앵커를 삽입한 후 50분이상 경과한후 부하를 인가 하여야 한다.

() 케미컬 앵커는 국가공인기관의 시험을 득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고 스터트 볼트는 용융아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 절연 브래키트

1) 여객 홈,화믈 홈등 사람의 접근이 용이한 곳에 설치하는 가동 브래키트는 절연 가동 브래키트를 설치하여야 하며 철주 이외의 지지물에 취부하는 경우에는 접지설비를 하여야 한다.

2) 브래키트의 제작, 설치 등은 "다"항 산업선형(B) 기동브래키트에 의한다.

3) 절연브래키트 방식은 부득이한 경우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하며 건식 게이지가 4.2m를 넘는 경우에는 고정브래키트 또는 비임방식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