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5. 1. 13:59


전력기기 점검표


[표1] 주요전력기기 내용년수     

점검구분 : 보통점검() 정밀점검()

주요기기

정기점검 주기년수

정기점검

교체추천시기

1

2

3

4

5

6

7

8

9

10

특 별

보통

정밀

 

가스절연개폐기

 

 

 

 

 

 

 

 

 

이상차단

6

 

2025

저압 배전반

 

 

 

 

 

-

2

 

1520

감시반,계전기반

 

 

 

 

 

-

2

 

1520

OCB

 

 

 

 

 

이상차단

2

 

1520

TCB

이상차단

1

 

1520

VCB

 

 

 

 

 

 

 

이상차단

3

 

1520

GCB

 

 

 

 

 

 

 

이상차단

3

 

1520

ACB

 

 

 

 

 

 

 

 

이상차단

-

 

1520

VCS

 

 

 

 

 

잦은개폐

2

 

1015

누전차단기

-

1

 

1015

특고단로기

 

 

 

 

 

 

 

-

3

 

1520

기중부하 개폐기

 

 

 

 

 

 

 

-

3

 

1015

전자 접촉기

 

 

 

 

 

 

 

잦은개폐

-

 

1015

배선용 차단기

-

1

 

1015

피뢰기

 

 

 

 

 

-

2

 

1015

유입형 변성기

 

 

 

 

 

-

2

 

1015

콘덴서PT

 

 

 

 

 

-

2

 

1520

몰드형 변성기

-

1

 

1520

전력용 Fuse

차단발생

1

 

710

전력용 콘덴서

 

 

 

 

 

-

2

 

1015

유입 변압기

-

1

 

1520

몰드 변압기

-

1

 

1520

보호 계전기

 

 

 

 

 

-

2

 

1015

특고압 모선

 

 

 

 

 

-

2

 

1520



[2] 몰드 변압기의 점검 항목

점검

개소

순시

점검

정기

점검

점 검 항 목

변압기

본체

1/

온도, 이상음, 진동, 이상한 냄새, 절연의 균열, 방전 흔적, 변색, 부품 등의 파손결락 유무, 진애 부착, 녹 발생, 변색

 

진애 제거, 절연저항 측정, 도장 보수, 온도계 접점확인

냉각

장치

1/

송풍기 이상음진동, 에어필터의 막힘, 배기구의 풍량

 

진애 제거, 도장 보수, 에어필터 청소 또는 교환

단 자

1/

과열, 변색

 

단자조임, 시온테이프 교환, 필요시 연마, 재도금

큐비클

1/

외관(진애, 녹 발생, 부식 등)

기 타

 

방전 흔적, 권선, 절연물 균열 등의 보수는 제조자와 협의하여 처리한다.



[3] 유입변압기의 점검 항목

점검항목

점 검 요 령

확인 및 조치결과

운전시

점검항목

전압, 전류, 전력, 역률, 주파수, 변압기 내, 외부 온도 이상 여부 확인

- 과부하 운전여부 확인, 부하상태 측정기록 유지

 

외관점검

발청, 부식유무

 

부품 등의 파손, 탈락유무

 

변압기 표면 또는 주위 이물질의 유무 또는 작은 동물의 침입흔적 등

 

변압기 위에 이물질이나 물방울이 떨어지는지 여부와 그 가능성 확인 (몰드 변압기)

 

도전부의 과열에 의한 변색

 

외함각부의 국부과열에 의한 도장의 변색

 

이음, 이취

이상소음이나 이상진동 및 냄새 여부확인

- 평소에 정상적인 소음과 비교하여 이상소음을 들었을 때 즉시 정상적인 소음과 비교하여 판단

- 간헐적인 다른 음이 나거나, 튀는 소리가 나는가?

[추정원인]

- 국부 절연파괴에 의한 코로나발생(이음) 및 그로 인한 오 존냄새(이취)

 

흡 습 호흡기

흡습제의 변색상태, 호흡상태에 이상 유무확인

-흡습제로는 실리카겔이나 염화칼슘을 사용, 건조상태에서

는 청색, 흡습상태에서는 분홍색. 변색된 것은 다시 건조

시켜 사용 가능

 

하부 OIL CUP의 유면을 확인

 

()

가스의 누설

밸브,계기,용접부 또는 패킹,가스켓 연결부위 등에 가스 나 누유흔적이 있는지 점검

[추정원인]

- 각 패킹의 노화, 조임부의 이완, 용접부분 불량

- 도전부의 국부과열

 

붓 싱

1, 2차 선로가 붓싱단자와 견고하게 조립됬는가

 

붓싱이 청결하게 닦여 있으며 파손부위가 없는가

 

염분, 먼지등에 의한 애자의 오손 및 파손, 아크의 흔적 은 없는가

 

붓싱의 절연캡 설치시 이상유무 확인

 

탱 크,방열관

페인트가 벗겨짐 , 녹이 슬지 않았나 여부 확인

 

단자의

과 열

단자부의 과열여부, 페인트 변색여부 확인

[추정원인]

- 조임부분의 나사이완, 접촉면의 부식, 과전류

 

점검항목

점 검 요 령

확인 및 조치결과

냉각장치

송유펌프, 송풍기 등의 동작은 정상인가

 

송풍기의 이상소음 및 이상진동을 점검

 

라디에이타의 표면손상, 오염 등을 점검

[추정원인]

- 베어링 불량, 이물질 혼입으로 전동기 과부하

 

경보장치

온도상승, 유면저하, 가스압력저하, 충격압력계전기 등은 정상인가

 

방압장치

장치의 동작 정상여부, 방압판의 손상여부 파악

[추정원인]

- 내부사고 발생, 충격에 의한 파손

 

탭절환기

운전중 이상소음 발생 점검

 

절환 개폐실의 유면은 정상인가, 기름이 새지 않는 가

 

절환부분의 이완상태 조사

 

탭 위치가 정확한지 점검

 

탭 변환회수 기록

 

탭 변환기 유면계의 유면을 점검

 

탭 변환기의 접속동판 및 단자조임 이완 여부

- 주의 : 변압기 여자한 상태에서 탭절환을 금지

 

유면계

유면계상의 유면을 점검, 기록.

 

유면계 표면유리가 오염되어 유면확인이 어려운지 확인

 

브흐홀쯔

계전기

계전기 투시창을 통해 가스발생 여부를 점검

- 만약 가스가 차있는 경우, 가스를 배기하고, 변압기 운전상태를 주의하여 관찰한다.

 

연결부분의

나사풀림

붓싱, 터미널, 접지, 보조회로 및 기초고정 볼트 등 의 연결부분 나사가 풀려있는가

 

변압기 접지단자에 접지선이 견고하게 물려있는가 확인

 

가스누출

밸브류는 봉입형 변압기인 경우 질소가스 압력을 측 정하고 가스누출 여부 점검

 

계기류

지시계 및 계전기 이상여부 확인

 

기타사항

운전환경의 확인

- 주위온도확인(40넘지 않도록 충분한 환기)

- 공기닥트 가동상태 확인

 

변압기에 사람의 접근을 방지하기위한 보호망 또는 보호책(시건장치 설치 등)

 

위험표시 라벨 부착 여부

 

큐비클 내 장식을 포함한 각종 시정장치 확인

 

정기적인 청소(진공청소기 등)

 

울타리 높이와 울타리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확 인

 



[4] 개폐기차단기의 보수기준

점검

항목

점 검 내 용 ( 방 법 )

순시

점검

보통

점검

정밀

점검

외 부

일 반

개폐표시기, 개폐표시등의 표시

이상한 소리와 냄새 발생 유무

단자부의 과열 변색 유무

부싱, 애관의 균열, 파손 유무 및 오손상태

설치 케이스, 가대 등의 도장상태, 녹 발생 손상 유무

온도 이상 유무(온도계)

부싱단자의 조임상태(기계적 체크)

고정밸브상태

 

조 작

장 치

제어반

압력계의 지시(공기기름가스압력계)

동작횟수계의 지시(조작장치,오일 펌프, 가스 컴프레서)

조작함 및 반내의 습윤, 물 고임, 녹 발생 유무 및 오손상태

급유, 청소

저압회로배선의 조임상태

개폐표시의 상태 확인

조작전후의 압력계 지시(공기 오일 가스압계)

공기 누설, 오일 누설 유무

동작계의 동작 확인

스프링의 녹 발생, 변형, 손상 유무(보수)

스트로크 연결부의 점검

(조정 : LBS는 가급적 조정하지 않는다)

각 부착핀 류의 이상 유무

보조개폐기 점검(손질)

 

 

 

 

 

 

 

 

 

 

 

 

 

측정

시험

절연저항 측정

접촉저항 측정

히터단선 유무

계전기 작동시험

개폐특성 시험

(투입 개극시간, 3상 불일치 측정 및 시험)

최저 동작압력, 전압 측정

트립자유 시험

압력개폐기 시험(공기, 기름, 가스)

압력계 체크(설정, 오차 시험)

공기, 기름, 가스의 소비측정

공기 누설시험

 

 

 

 

 



5] 진공차단기의 유지보수 점검주기

구 분

유지보수 점검주기(참고사항임)

일반 사용환경

열악한 환경

(먼지, 습기가 많은 곳)

일상점검

6개월

1 개월

정기점검

설치 후 12

그 후로부터 3

정기점검

특별점검

필요시 마다

필요시 마다



[6] 진공차단기의 일상점검 항목

점검항목

점 검

점검방법

조 치

개폐표시기

정상작동 확인

육 안

원인조사 수리

제어 회로

컨넥터 접속상태 확인

육 안

원인조사 수리

개폐도수계

동작횟수 확인

육 안

동작횟수 10,000회 이상 교체

기 타

비정상적 소음,냄새 확인

육 안

주전원을 차단하고 원인조사, 수리



[7] 진공차단기의 정기점검 항목

점검항목

점 검

점 검 방 법

조 치

점 검 주 기

기 구 부

오손, 먼지 기타 이물 부착

육안 및 수동동작으로 부드럽게 동작하는지 확인

이물질을 깨끗이 닦고 그리이스 도포

 

필요하면 부품교체

정기점검시,

5,000

동작마다

윤활되는 부분

Oil Dashpot누유

C-Ring, 스프링핀과 분할핀이

찌그러짐과 빠짐

비정상적인 부품의 조립부품

결 선

단선된 것, 헐거운것

육 안

느슨한 부위는단단히 죈다

 

필요하면 부품교체

정기점검시

투입,트립

장 치

가동부 부품 확인,

코일변색 확인

보 조 스위치

링크와 접점 상태를 확인

주회로 단자

주회로 단자 체결상태 확인

육안

체결 토크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부품

교체

정기점검시,

5,000

동작마다

진 공 도

진공도가 정상인가 확인

내전압시험

체크

문제발생시

진공밸브교체

정기점검시,

5,000

동작마다

개 폐

표시기

정상작동 여부 확인

육 안

고정볼트확인

필요하면부품교체

정기점검시

절연저항

주회로

Megger

원인을 찾아

세정

필요하면부품

교체

정기점검시

제어회로

Megger

내전압 시험

정격전압

상용주파내전압

7.2[kV]

20 [kV]

24[kV]

50 [kV]

내전압 시험기로 측정, 체크

이물질을 깨끗이 닦고,필요하면 부품 교체

정기점검시,

5,000

동작마다

동작 특성시험

투입-차단 동시험

트립프리 시험

최소동작전압 확인

수동동작시험

후 전기적 동작시험 실시

문제점 발견시점검, 수리

필요하면 부품교체

정기점검시,

6년 마다

차단기 공용

부 품

절연 프레임

절연 튜브

열수축 튜브

물방울 습기,

얼룩, 변색과

손상 등 체크

육안

마른 천으로

깨끗이 닦는다



[8] 진공차단기의 특별점검 항목


NO

점 검 항 목

점 검 방 법

1

차단기가 여러번 단락전류를 차단시

진공밸브 접점소모상태 확인

2

동작 중 이상징후가 발견시

결손부분 점검




[9] 한류퓨즈붙이 고압기중부하개폐기(LBS + PF)

외관점검항목

점 검 사 항

절연물

(수지부)

표면의 먼지, 물방울, 기타 이물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가

균열, 파손 등과 같은 이상은 없는가

한 류

퓨 즈

애관 표면에 먼지, 물방울 기타 이물 부착은 없는가

애관에 균열, 파손 등과 같은 이상은 없는가

명판 등에 과열로 인한 변색은 없는가

용단 표시의 상태는 좋은가 예비품은 확보 되었는가

소 호 실

변형, 변색은 없는가

기 구 부

녹 등과 같은 이상은 없는가

투입 래치가 벗겨져 있지 않은가

조 작

제 어 부

조작,제어회로 단자접속부의 느슨해짐 변색의 유무

개폐동작 기구상태의 점검

동작상태 점검확인

기 타

평상시와 상이한 이상음은 없는가



[10] 진상용 콘덴서의 일상점검 요령 및 판단기준


점검

항목

점검

방법

점 검 요 령

점검

주기

판 단 기 준

기름

누설

육안

검사

본체에 기름으로 더러워진 곳은 없는가

기기 하부에 기름으로 더러워진 곳은 없는가

1/

기름이 부착한 부분을 한번 닦아내고 그 후도 기름으로 더럽혀지는 경우

이상음

소음

청각

검사

통상 운전중에 충격음 등의 이상음은 없는가

평상시에 비해 갑자기 크게 느끼는 일은 없는가

 

주위

온도

온도계

주위온도가 비정상으로 높지 않은가

주위온도가 40이상이 되는 경우

전류계의 지시

전류계

전류계의 지시가 과대해지지 않는가

삼상이 평형되어 있는가

지시에 이상한 변동은 없는가

전류계 지시가 정격치의 120%를 초과하는 경우(통상 정격의 110% 정도 흐른다)

각 상간의 불평형이 삼상 평균치에 대해서 20% 이상이 되는 경우

전압계의 지시

전압계

특히 경부하시에 있어서 모선전압이 과대해지지 않은가

 

모선전압이 정격전압의 109% 이상이 되는 경우(직렬리액터 L=6%인 경우, L=13% 인 경우는 115% 이상이 되는 경우)

보호

장치의 동작

육안

검사외

 

 




11] 진상용 콘덴서의 정기점검 요령 및 판단기준

점검

항목

점검

방법

점 검 요 령

점검

주기

판 단 기 준

단자부

이완

더조임

단자부의 과열은 없는가

변색되어 있는 곳은 없는가

단자부분에서 기름 누설은 없는가

1/

 

단자부

과열

육안

검사

변색되어 있지 않은가

애자 상부로 부터의 누설은 없는가

90도가 한도

다른 곳과 비교하여 단자부의 색이 다른 경우

기름

누설

육안

검사

애자 부분

용접 개소

유량조정장치 커버 밖으로의 번짐

기름이 부착된 부분을 한번 닦아냈는데, 그 후에도 기름으로 더러워지는 경우

애자손상

육안

검사

애자의 파손은 없는가

애자부분에 기름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가

 

용기등의

녹발생

육안

검사

단자부에 녹이 생긴 곳은 없는가

용접개소에 녹이 생긴 곳은 없는가

 

이상한

냄새

후각

검사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

기기온도

온도계

시온라벨을 사용하면 편리

 

보호장치 동작

육안

검사

단자대의 녹발생

 

리드선의 체부 상태

 

직렬리액터의 온도가 85를 초과하는 경우

과거의 데이터에 비해 급변한 경우

절연

저항측정

절 연

저항계

주회로와 외함 또는 대지간

애자를 청소한 후에 실시한다.

100이하의 경우

과거의 데이터에 비해 급변한 경우




[12] 피뢰기의 일반사항

항 목

해 설

피뢰기의

구비조건

충격방전 개시전압이 낮을 것

제한전압이 낮을 것

뇌전류 방전능력이 클 것

속류차단을 확실하게 할 수 있을 것

반복동작이 가능할 것

구조가 견고하고 특성이 변화하지 않을 것

피뢰기의

사고원인

피뢰기의 방전내량 이상의 뢰전류가 흐르는 경우

피뢰기 내부의 갭 및 특성요소의 열화

밀봉구조로 열화로 인한 흡습

- 기밀구조를 하기 위하여 패킹으로 사용한 천연고무의 열화

- 운반 또는 설치시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피뢰기 애관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 금속부분의 부식, 금속과 애관과의 접촉이 헐거워진 경우

피뢰기 애관이 오손되는 경우

- 애관이 염해 등으로 인하여 섬락

- 오손에 의하여 피뢰기 내부의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

고장에

대한 처리

피뢰기는 직렬갭과 특성요소 전체를 절연성이 양호한 가스를 봉입시켜 밀봉 시킨 것이 대부분이므로 만일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현장에서 간단히 수리할 수가 없다. 따라서 피뢰기가 다음과 같은 경우 일단 불량품으로 간주하여 제조회사의 의견에 따르는 것이 좋다.

절연저항치가 소정의 기준치 이하가 되는 경우

상용주파 방전개시전압이 소정의 값 이하인 것

(시험기관 의뢰)

충격방전 개시전압이 소정의 값보다 높을 것( 시험기관 의뢰)

애관이 균열 파손된 것

밀봉 금속뚜껑이 부풀어 있거나 파손된 것




[13] 발전기의 일상점검

구 분

점 검 항 목

동 체

출력단자 고정 및 오염상태를 점검한다. 발전기 내부가 오염되었을 경우 압축공기와 부드러운 솔을 사용해서 청소해야 한다. 통상 사용공기압은 2.5-3.0 [/]가 적합하다. 기름에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트리클로로에치놀 또는 전기 기기용 용제를 사용하여 압축공기를 불어낸다. 용제를 사용할시 어떤 용제이든 절연물질을 녹이는 성질의 용제를 사용해서는 안되고, 중성세제와 같이 휘발성이 적은 용제를 사용해서도 안 된다.

동체와 프레임의 지지상태 점검

원동기와 동체 샤프트, 커플링 체결상태 점검

발전기

운전반

운전반 내부 오염상태 점검

단자대 배선 이완 상태를 점검하고 재조임 해줄 것

자동전압조정기와 정류스턱 회로 소자 점검

각종 계기류 동작상태 점검

보호 회로

보호회로 시퀸스 동작상태 점검 및 각종계전기, 스위치류 동작상태점검

경보램프, 경보벨, 엔진 정지용 솔레노이드 동작상태 점검


  

[13] 발전기의 정기점검

구 분

점 검 항 목

동 체

100시간 사용시 마다 에어갭(공극) 측정

발전기 사고의 대부분이 회전체와 정지체가 접촉됨으로써 발생한다. 대부분의 발전기는 원동기 반대쪽 베어링 브래킷 부위에 에어캡 측정을 위한 구멍이 있다. 이 구멍을 통하여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간격을 원주 방향에서 측정하고 측정치의 평균값을 구하면 된다. 이때 최소치와 최대치가 평균치 ±10% 이내에 있어야 한다.

100시간 사용 또는 월1회 절연저항 측정

로터와 스테이트의 절연 물질은 열, 습기, 진동, 기계적 손상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절연저항을 측정해야 한다. 절연저항 측정은 운전 직후 온도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정하여, 실리콘정류기, TR 등 반도체를 사용하고 있는 부분은 이상전압이 걸리지 않도록 회로를 분리 또는 접지시킨 후 측정해야 된다.

600시간 사용 또는 년1회 동체 샤프트 베어링에 그리이스를 주유할 것.




[14] 발전기 고장원인과 대책

고장 내용

고 장 원 인

대 책

전압 난조

엔진의 회전속도 불균일

분사펌프 조정

90R 접촉불량

교 환

정류장치의 결선 접촉불량

수 정

부하시의 전압

상승이 심할때

주발전기의 계자권선 접지

전문업체 의뢰

발전기 내부의 정류기 소손

전문업체 의뢰

리액터와 변류기의 극성이 바뀜(복권식)

수 정

A.V.R기판내의 90R 조정불량

수 정

부하측의 역률이 발전기 역률보다 높음

부하측 역률보상용

콘덴서 제거



[15] 엔진의 고장 및 대책

고장 내용

고 장 원 인

대 책

전압의 확립 불능

초기 여자회로의 단선, 접촉불량

수정 및 교환

정류장치 내에 소손

교 환

회로내의 조정불량

수 정

회로내의 저속도 보호회로 소손

교 환

회로내의 펄스발생 회로 소손

교 환

회로내의 전원회로 단선 및 소손

수정 및 교환

회로내의 조정불량 및 소손

수정 및 교환

90 단선 및 접촉불량

수정 및 교환

동체내부의 이상

전문공장 의뢰

초기여자 스위치를 눌러주지 않았을 때

초기여자스위치눌름

전압상 절환스위치 접촉불량

교 환

전압계 불량

교 환

계기용 퓨즈 단선

교 환

속도 감지기 작동불량(자동)

교 환

잔류전압이 낮다.(복권식)

초기여자를 한다.

리액터의 단선 및 접촉불량

수정 및 교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