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5. 18. 16:11


애 자



1. 개 요

전선을 절연해서 지지물에 취부하기 위해서는 애자를 사용한다. 가공송전선용 애자로서는 가혹한 기상조건에서도 충분히 견고하고 전기적 기계적 특징을 확보하여야 한다. 애자는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선로의 상시전압에 대해서는 물론, 여러 가지 사고로 발생되는 내부 이상전압에 대해서도 충분한 절연내력을 가질 것

. 안개 등에 대해서도 필요한 전기적 표면저항을 가지고 누설 전류가 미소할 것

. 전선의 자중바람눈 등의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것

. 온도의 급변에 견디고 습기를 흡수하지 않을것

 

2. 전차선로용 애자

전차선로의 애자는 가선 및 곡선당김장치, 진동방지장치 등의 부속설비를 전주,비임, 완철 등에 지지하는 경우 또는 가선구분의 경우에 사용되는 외에 지선 기타 무가압 전선에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가동브라켓트 등에서 직접 지지물의 절연용으로 사용된다.

전차선로에 사용되는 애자는 대기중의 습도, 먼지, 매연, 염해등에 의해 애자 표면이 손상되면 그 표면저항이 저하하여 누설전류가 증대됨에 따라 전기적인 파괴를 유지시키는 일이 있는데 이 애자의 파손은 바로 전기운전에 지장을 미치므로 그 형상은 가급적 표면누설 거리가 큰 것이 좋다.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애자는 지상부에서는 현수애자와 장간애자를 사용하며 지하부에서는 지지애자를 사용한다.

 

. 현수애자(懸垂碍子)

현수애자는 공사시공 및 보전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지애자와 같이 지지물에 고정시켜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애자의 휨모우먼트를 받지 않아 균열될 염려가 없다. 그리고 애자의 형상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며 가공전차선의 인류, 가공지선의 구분, 급전선 및 부급전선,보호선의 지지, 급전선, 부급전선,보호선인류등에 사용하고 있다.

현수애자는 자기부(磁氣部)의 외경이 대소에 의해 250mm, 180mm, 102mm로 분류하는 외에 가선지지금구부(架線支持金具部)의 형상에 의해 후크, 보올소켓, 크레비스, 카프링, 닻형 등으로 분류한다.

 

. 장간애자(長幹碍子)

장간애자는 등간격으로 접시형 주름을 많이 붙인 한줄기 지지봉의 양단에 현수 및 지지애자용 캡을 씌운 것이다.

장간애자는 건조섬락전압에 비해 주수섬락전압(主水閃絡電壓)의 저하가 적으며 그형상이 빗물에 씻기는 효과에 의해 내오손성(耐汚損性)이 있는 등의 이점이 있으므로 가동브라켓트방식의 채용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지지애자(支持 碍子)

지지 애자는 254mm의 현수애자로서 강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에 지장이 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가진 것으로 하며 절연 저항은 2,000이상으로 균열 흠집이 없어야 한다.

 

섬락전압의 표준치

애자의 종류

건조섬락

전 압

주수섬락

전 압

[50]%충격섬락

전압(정파)

현수애자

180[mm]

250[mm]

60

30

32

50

100

125

현수애자연

250[mm]2개련결

3

4

5

10

16

20

155

215

270

325

590

875

1,055

90

130

170

215

415

630

750

255

355

440

525

945

1,425

1,745

장간애자

20[kv]

6개연상당

8개연상당

150

285

385

95

200

230

230

470

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