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기술자료/전기철도

지중전선로 공사방식

양 회장 2017. 5. 18. 19:06


지중전선로 공사방식



1. 종류 및 적용 기준

. 직매식

전력케이블을 직접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케이블보호재로서 트러프(trough)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보호하며, 모래를 충진한 뒤 뚜껑을 덮고 되메우기 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케이블 교체 시에 도로굴착이 수반되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 케이블 회선수가 2 회선 이하

. 장래 회선증설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

. 추후 굴착이 용이한 경우

. 기타 여건상 부득이한 경우



<그림  > 직매식 단면도



. 관 로 식

합성수지관, 강관, 흄관 등 관재(pipes)를 사용하여 관로를 구성한 후 케이블을 부설(敷設)하는 방식으로써, 일정 거리의 관로 양끝에는 맨홀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설치하고 접속한다. 유지보수의 편이성으로 현재는 주로 이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1) 케이블 회선수가 3회선 이상 9회선 미만

(2) 장래 회선증설이 예상되는 경우

(3) 도로예정지역으로 도로포장계획이 있는 경우

(4) 직매식이 불리한 경우



<그림 > 관로식 단면도


. 전 력 구 식

터널(tunnel)과 같은 상부가 막힌 형태의 지하구조물로써 내부 벽 측에 케이블을 부설하고 유지 보수작업을 위한 작업원의 통행이 가능한 크기로 건설비가 많이 소요되고 케이블 화재 시에 큰 피해가 예상되는 방식으로 보통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한다.

(1) 케이블회선 수 9회선 이상

(2) 도로양측에 관로의 분할시공(8공 이하)이 불가능할 경우

(3) 변전소의 케이블 다회선 인출개소

(4) 직매식, 관로식이 곤란한 경우

 


<그림 > 전력구 단면도


2. 공사방식별 장단점 비교

구 분

장 점

단 점

직매식

* 공사비 저렴

* 굴곡개소 포설용이

* 열 발산 양호

* 공사기간 짧음

* 외상사고 발생우려

* 보수, 점검 불편

* 증설, 철거 곤란

관로식

* 증설, 철거용이

* 보수, 점검용이

* 외상사고 가능성 비교적

적음.

* 공사비 증가

* 회선수 많을수록 송전용량

감소

* 굴곡개소 시공곤란

* 열팽창에 의한 케이블

흡수력 저조

암거식

* 다회선 포설 유리

* 보수, 점검 편리

* 증설,철거 편리

* 열발산 우수

* 외상사고 발생우려 없음

* 공사비 고가

* 공사기간 장기

* 케이블화재 파급대책 필요


3. 가공 전선로와의 비교

구 분

가 공 선 로

지 중 선 로

계통구성

* 수지상 방식

* TIE-LINE(OPEN LOOP) 방식

* 방사상과 TIE-LINE 혼합방식

* 예비선 절체방식

* LOOP, OPEN LOOP방식

* STOP-NETWORK방식

* 예비선 절체와 OPEN LOOP

혼합방식

공급 능력

* 동일 ROUTE4회선 이상

공급 곤란하므로 전력 공급능력 한계

* 동일 ROUTE에 다회선

처리가능 하므로 도심과밀

지역의 전력공급에 적합

공급신뢰도

* 이물접촉이나 기상조건에

의한 정전빈도가 높은 편임

* 외부 기상여건 등의 영향

이 비교적 적어 유리함

건설비

* 경제적 전력공급 설비

* 가공선에 비해 대단히고가

건설기간

* 단기간

* 장기간

고장복구

* 고장점 발견과 복구용이

* 고장점 발견이 곤란하고

복구에 장시간 소요

유지보수

* 설비의 노출, 복잡성으로

유지보수업무 많은 편임

* 설비의 단순고도화로 비교

적 적음

신규대응력

* 신규수용에 신속대처 가능

* 신규수용 대응에 탄력성

결여

유도장해

* 비차폐선 유도장해 발생

*케이블 구조상 유도장해

경감

설비보안성

* 설비보안유지 곤란

* 설비보안유지 용이

안전도

* 타 시설물과 적정 절연

이격거리 유지 필요

* 절연이격거리 적어 안전

공간 확보

설비이미지

* 전통적인 전력설비

* 설비의 감전 위험성

* 전력설비의 선진화

* 설비안전성 이미지 제고

환경미화

* 도심지등 주변 환경 저해

요인이 됨

* 쾌적한 도심과 주변 환경

조성 가능

기타 특수성

 

* 같은 굵기도체 경우 가공선로

비해 송전용량 감소

* 지상기기 설치 공간 확보요구

* 타 굴착공사로 인한 외상사고

발생우려

* 부실시공 잠재요소 내재

(시공과정 현장감독철저요망)

* 공사시 굴착, 교통 등 대관승인

으로 적기 시공 곤란

* 선로매설위치 현장 확인 곤란

* 주로 야간공사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