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5. 25. 10:07


 

지지물

 

(비임의 종별)

비임의 종별은 고정식 문형으로 하고 그 구성은 철도시설관리자가 따로 정하는 시설도 및 부품도에 의한다.

일반철도 비임의 길이별 호칭은 다음 표와 같이 한다.

호칭

길이[m]

호칭

길이[m]

1선용

2선용

3선용

4선용

5선용

6까지

6 초과 10까지

10 초과 14까지

14 초과 18까지

18 초과 22까지

6선용

7선용

8선용

9선용

10선용

22 초과 26까지

26 초과 30까지

30 초과 34까지

34 초과 38까지

38 초과 42까지



고속철도 비임의 길이별 호칭은 다음 표와 같이 한다.

호칭

길이(m)

Beam크기 가로×세로[]

칸수

연결수

전주 형태

비임의

역 휘임

A

10.08이상11.55까지

450×425

1

0

HE 300B

3[]

B

11.55초과15.30까지

550×525

2(1)

1(0)

HE 300B

3[]

C

15.30초과19.80까지

550×525

2

1

HE 300B

5[]

D

19.80초과22.80까지

650×770

2

1

조립철주

7[]

E

22.80초과30.30까지

650×770

3

2

조립철주

9[]


(비임 및 브래키트의 안전율)

비임 및 브래키트는 소재 허용응력에 대하여 안전율을 1 이상으로 시설한다.

가동브래키트의 애자의 안전율은 최대 만곡하중에 대하여 2.5 이상으로 한다.

 

(고정비임 및 고정 브래키트)

고정비임 및 고정 브래키트는 전주밴드 또는 취부철물에 의하여 전주에 취부하며 서스펜션 롯드 또는 지지재에 의하여 지지한다.

스팬선브래키트는 취부철물로 헤드스팬선비임에 취부한다.

 

(가동브래키트의 취부)

가동브래키트는 취부철물로 전주하수강 등에 취부한다. 다만, 정거장구내 등 사람의 접촉이 우려되는 장소에는 절연 브래키트를 설치한다.

가동브래키트의 지지재는 필요에 따라 압축에 견디는 구조로 한다.

일반철도 구간의 가동브래키트 취부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평행개소에는 2본의 브래키트를 평행틀에 설치함을 원칙으로 하고, 설치조건상 부득이한 경우 2본의 전주(복주 방식)에 설치한다. 다만, 강체가선방식에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터널 시종단에 설치하는 브래키트는 터널시종점으로부터 5[m] 이내의 위치에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속철도 구간의 가동브래키트 취부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평행개소에는 가동브래키트를 평행틀에 설치하여야 한다.

2. 구름다리 앞뒤와 터널입구 등과 같이 인위적으로 애자의 파손 위험성이 있는 개소의 가동브래키트의 장간애자는 합성수지제 절연 장간애자를 사용한다.

 

(스팬선비임)

비임의 길이가 40m 이상인 경우 스팬선비임으로 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스팬선은 취부철물로 철주하수강벽체 등에 취부한다.

레일면상 높이 8[m] 이상의 스팬선에 사용하는 애자의 위치연결 개수 등은 될 수 있는 한 보수작업을 경감할 수 있도록 시설한다.

 

(철주의 휨과 비틀림)

철주의 휨은 철주의 전차선 높이에서 50[mm] 이내로 한다

철주의 비틀림은 상시하중(풍압에서는 병종풍압하중)에서 회전각이 0.1라디안(5.73) 이내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