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5. 31. 17:42


터널등 공사

 

1. 등기구 설치 간격 및 위치는 도면에 의하되, 설치 후 조도를 측정하여 바닥면 평균조5lx 이상이 확보되는지 확인하여야 하며, 열차승객에게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2. 등기구 터널 벽면과 이격하도록 용융아연도금 챤넬을 삽입하여 누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앵커를 사용하여 견고히 지지하여야 한다.

3. 터널등은 상세도와 같이 전자개폐기에 의해 터널 양쪽입구에서 점멸할 수 있도록 점멸 스위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콘센트 공사

 

1. 콘센트는 구조물 형상에 어울리도록 현장여건에 맞는 재질을 사용하여 미려하게 설치 하여야 한다.

2. 콘센트박스 등이 터널 벽면과 이격하도록 소정의 용융아연도금 챤넬을 삽입하여 누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앵커를 사용하여 견고히 지지하여야 한다.

3. 콘센트는 단상 콘센트로 터널 내 유지보수 작업 시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터널내 조작함 신설


1. 조작함, 스위치박스 등은 터널 벽면과 이격하도록 용융아연도금 챤넬을 삽입하여 누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배선 시공 후 절연을 측정하여 측정기록부를 감독자에게 제출 하여야 한다.

2. 조작함내에는 터널등, 콘센트 전원 및 접지선 분기용으로 단자대를 부착하여 압착터미널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분기 접속하여야 하며, 점멸 스위치용 전선은 중간에 접속점이 없어야 하며 접속함체에는 접지선을 연결하여야 한다.

 

 

터널내 탈출구 표지 신설

 

1. 터널 탈출구 표지는 안정적인 기계적, 전기적 강도를 갖고 기본적인 방진방수기능 및 통상의 온도변화 및 진동, 충격에 견딜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2. 탈출구 표지는 백색바탕에 녹색문자로 표시하여야 하며, 대피통로 접속부에 설치되는 표지는 접속부의 위치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녹색바탕에 백색문자로 표시하여야 한다.

3. 탈출구 표지는 전원 배선은 전용으로 하고 전원은 축전지와 교류 옥내배선으로 한다.

다만, 비상전원(축전지)은 탈출구 표지는 규정시간 60분 이상 자체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4. 탈출구 표지은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대피로 지면으로부터 1[m] 이하의 높이에 설치 하여야하며, 설치간격은 터널 입출구 300[m]에서부터 단선터널인 경우 대피로 방향의 벽에 100[m]이하, 복선터널인 경우 양쪽벽에 지그재그로 50[m]이하의 간격으로 설치하여햐 한다.

5. 탈출구 표지는 운행열차의 진동이나 풍압에 의해 탈락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방법으로 부착한다.

 

 

관통형 분기접속재 공사

 

1. 관통형 분기접속재(이하 콘넥터)는 본체 및 부품에는 흠이나 균열이 없어야 하고 적용전선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볼트를 충분히 조였을 때 통전부가 전선의 절연물을 관통하여 도체와 확실히 접속이 가능하여야 하며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충분한 것이어야 한다.

2. 콘넥타는 절연본체, 통전부, Shear Head부 볼트, 너트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전선 상호간을 접속하는데 적합한 구조라야 한다.

3. 볼트는 규정토크 범위에서 파단되는 Shear Head를 구비하여야 하며 파단 후에도 풀 수 있어야 하고 필요시 별개의 Shear Head 사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4. 콘넥타의 너트측 부품은 절연본체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5. 콘넥타는 접속후 콘넥타 통전부와 전선과의 접촉부위에 수분의 침입이 없어야 하고 분기선 접속부에는 전선 절단면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고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절연캡을 구비하여야 한다.

6. 콘넥타의 통전부 부위는 대기, 습기, 유해한 전해질의 침투로부터 접촉면을 보호할 수 있는 적당한 Grease를 도포하여야 하며 비가열형 제품으로 확실한 절연 및 난연 성능이 보장되어야 한다.

7. 통전부는 몸체와 일체형으로 만들어 져야 하며 어떠한 경우라도 통전부가 이탈되어서는 안된다

8. 콘넥타의 통전부는 인장강도 436N/(45kg/)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동합금으로 하고 부식방지를 위해 3이상 두께의 석도금을 하여야 한다.

9. 콘넥타의 절연본체는 전기적, 기계적, 내후적 특성이 우수한 Nylon 6.6 포리아미드계 합성수지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고 흡습으로 인하여 절연특성이 저하되지 않아야 한다.

10. 볼트 및 너트는 784N/(80kg/)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져야 하며, 볼트와 너트 및 와셔는 부식방지 처리를 하여야 한다.

11. 콘넥타의 접속시험은 표 1의 적용전선을 삽입하고 규정 토크로 조였을 때 콘넥타 안에서 전선의 소선이 흐트러지거나 전선과 콘넥타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콘넥타의 규정토크는 6N·m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12. 콘넥타의 시험은 IP68 시험, 구조 및 형상·재질에 대한 시험, 접속시험, 토크시험, Shear Head 파단시험, 온도상승시험, 도금시험, 사용주파 수중 내전압시험, 통전부 시험 등 현장에서 감독원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 공인기관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옥내배선공사

 

1.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은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규정한 옥내배선용 전선에 의하여 선정한다.

2. 배선에 사용하는 절연전선, 케이블 및 캡타이어 케이블은 시설 장소에 적합한 피복을 갖는 것으로 한다.

3.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전선은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나전선을 사용한다.

1)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노출장소에 다음과 같은 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① 전선의 피복절연물이 부식하는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② 전기로의 주변에서 열로 인한 영향을 받는 장소에 시설하는 전기로용 전선

 ③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한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2)  버스덕트공사의 전선 또는 트롤리선을 시설하는 경우

4. 전선의 접속은 전선로의 전기저항이 증가하거나, 절연저항 및 인장강도가 감소하지 않도록 시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