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7. 12. 10:32


전기철도

 

1. 전기철도의 정의

전기를 주동력으로 하는 전기차를 운행하여 여객 및 화물 수송을 하는 철도

 

2. 전기철도의 구성

변전소, 급전선로(전차선로), 전기차

1) 전기철도의 설비

선로, 차량, 열차운전, 신호설비, 통신설비 등 많은 공학분야의 기술을 요하는 것들이 계통화 되어 있다.

2) 전기철도 공학

전철의 건설, 운용, 보수 등에 필요한 기술상의 학문

 

3. 전기철도의 발전

사회간접자본, 환경친화적,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 안전성과 신속성, 편의성

1) 전기철도의 시작

1879년 독일. 1883년 영국. 1880년 미국

2) 우리나라 189954일 미국인 콜브렌과 본스크 위크, 서대문~동대문간

1927년 경원선(철원~내금강) 116.6km

1930515DC 1,500(V)

1937년 경원선 옥계~고산간 53.9km(3,000V)

1944년 중앙선 단양~풍기 23km

 

4. 전기철도의 효과

1) 수송능력 증강

동력차의 점착성능의 차이로 출발 및 구배선에서 전기운전은 디젤 운전에 비하여 견인력이 크므로 열차의 평균속도가 높아지고 열차회수를 증가시키므로 수송력이 증가

2) 에너지 이용 효율 증대

발전소는 기저부하율이 높아지므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등 국가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

3) 수송원가 절감

장거리 운전이 가능하고 회차율이 높아 적은 차량으로 운용이 가능하며, 열차 운행시간 단축으로 승무원 운용 효율을 증대 시킬수 있다.

이러한 수송원가의 절감으로 결과적으로는 경영의 합리화와 수입을 증대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철도의 경영 개선이 된다.

4) 환경개선

전철은 무엇보다도 매연이 없고 소음이 적어서 공해문제가 심각한 현시점에서 볼 때 그 장점이 돋보이는 환경 친화적 설비이다.

5) 지역 균등발전

도심에 집중한 도시 기능을 외곽지역으로 적절히 분산배치 하여 도시 전체의 균형적 발전에 기여, 간선전철은 인접 도시 및 지역간 대용량 수송체계를 구축하게 되어 원활한 인적, 물적 교류로 균형있는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5. 전기철도 방식의 선정

1) 수송조건

수송 대상이 여객인지 화물인지, 여객과 화물을 같이 수송 하는 것인지, 수송거리가 장거리인지 단거리인지, 수송량이 많은지 적은지, 충분히 분석하여 선정

2) 선로의 조건

운행선로가 지상, 지하, 터널, 과선교, 기타 지장물 등에 따라 전차선로의 절연이격 거리나 높이 등의 제한을 받아 가선 조건이 다르게 되기 때문

3) 인접 구간의 전기방식

운행중인 차량의 전기 방식을 고려 가급적 같은 전기방식을 시설

4) 전력의 수급 조건

전력 계통의 표준 전압과 주파수 및 공급 가능 용량 및 전원 망 등 수급조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5) 장래계획

주변에 전원의 개발이나 도시화, 공업단지화에 따른 교통 수요를 예측하여 장래에 전철이 확장 될 것을 충분히 고려한 전철화 방식을 선정

6) 경제성

초기 투자비와 투자효과 등의 경제성을 검토하여 전철화 방식을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