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7. 19. 10:31


융설설비

 

경전철이 설치되는 지역의 겨울철 강설 및 결빙 시에도 정상적으로 경전철을 운행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하고 경제적인 융설 설비 선정

 


1. 결빙 방지 방안 선정

방안

내용

선정여부

지역난방등의 스팀을

사용하는 방안

배관공사비가 많이 들며,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대용량의 펌핑시설 필요함

적용한 곳은 없음

 

염화칼슘등의 융설재를

살포하는 방안

비용이 저렴하고 별도의 융설설비 및 에너지 비용이 들지 않음

별도의 유지보수비는 들지 않음

융설에 다소의 시간이 걸리며 부식등의 문제가 있음

바퀴에 눈이 압설되거나 눈이 녹았다가 다시 얼 경우 효과가 반감됨

 

궤도하부에 히팅케이블을

설치하는 방안

미국 시카고 오헤어 공항

- 궤도 주행로를 자형 철판으로 설계하고 그 밑에 Heat Tracing Cable설치

- 철판 궤도는 Heat Tracing Cable에 전원을 가하는 즉시 열이 발생하며 열전도율이 높아 빠른 시간내에 융설이 가능함

- 시카고 지역은 많은 눈이 내리고 결빙일수가 연중 123일 정도로 결빙대책

에 최대한의 설계를 반영하였음

일본 요꼬하마 Seaside라인, 동경 유리까모메라인 등

- 궤도면이 콘크리트로 되어있고 궤도면 하부에 Heat Tracing Cable을 매설

- 경사가 심한 곳과 굴곡이 심한 곳에 Heat Tracing Cable을 설치, 전 구간에 설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함.

- 시공이 비교적 간단하고 공사비 저렴

- 도로, 주차장, 비행장 등에서 널리 사용됨.

 

2. 설계조건

1) 융설열량 방정식

Q = [0.4 × s × (1-T) + 64s] / 0.86a

2) 설계기준

항 목

기 준

항 목

기 준

노면온도(T)

+1

동절기 평균풍속(V)

2.2m/s

대기온도(T)

- 11.9

융설 열 효율(a)

0.7

주위최고온도

+ 40

계산된 단위면적당 출력(Q)

347w/

동절기 적설량(s)

3cm/hr

Power Voltage

AC 380V, 3φ, 60Hz

동절기 월평균강설일수

10/

Sensing 방법

Temp Sensing &

Humidity Sensing

 

3. 설치방식

1) 노선의 단면

노면의 재질은 콘크리트이며 아래 그림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