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kV 고압 배전반
7.2kV 고압 배전반
1. 설비의 구성
•각 7.2kV 고압반은 차단기, 계기용 변압기, 변류기, 표시등, 모선, 계전기 등과 이들 기기 및 기구 등을 수용하는 외함의 조합으로 구성
•회로의 목적에 따라 아래와 같이 2종류의 설비로 구분한다.
- 송․수전 연락차단기반 -배전용 차단기반
2. 구조 및 외함
구 분 | 내 용 |
구조개요 | •고압배전반, 파워부스 및 필요한 보조조작 장치 및 명기된 계장용TR, 릴레이, 지시계기, 선택스위치 및 계장스위치를 내장한 메탈폐쇄자립형 구조이다. •접지부스는 고압반에 전체길이로 되어야 하며 각 수직면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전력부스는 단락전류에 견디는 구리 재질을 쓴다. |
전․후면 | •문을 설치하고 Latching Device를 실시하며 Cubicle 전면에는 각종 보호계전기, 계기, 표시장지 및 제어스위치 등을 부착 |
상 부 | •운반을 위하여 들고리 또는 인양고리를 설치 |
하 부 | •외함 하부에는 전력 및 제어용 케이블 인 ·출입 구멍이 별도로 있도록 하며 뚜껑은 절연재료를 사용하고 조립식으로 설치 |
재 질 | •외함은 금속제 철판 및 보강프레임을 사용 제작하며, 외함 전면과 후면부의 철판 두께는 최소 2.3mm, 측면과 상부는 1.6mm 이상 •철판은 부식방치 처리를 하고 난연성과 내구성이 좋은 페인트로 정전분체도장 |
구 조 | •외함의 전면에서 차단기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며 모선과의 확실한 분리를 위하여 자동으로 동작하는 셔터(Shutters)와 같은 보호장치를 공급 •차단기를 차단기 격리실내의 동작위치에 다시 위치시키려면 보호장치는 정상동작을 위한 원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려 지도록 함 |
기 타 | •독립된 각 반의 전후면 및 각 부품에 대하여 명판을 부착하고 명판은 흰색 바탕에 검은 글씨로 각인 •저온에서 습기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스히터를 써머스타트와 함께 설치 •결로방지 스페이스히터는 연속적으로 동작했을 때에도 큐비클내에 과열이 발생하지 않는 용량 선정 •수급전력용 계기(DM.VARH)용 계기함을 설치하며 함의 밖에서 투시 가능 •차단기반과 함께 절제, 기초가대와 고정볼트를 공급하고, 기초용 볼트가 바닥이나 구조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경우는 상세한 설치 도면을 제출 |
3. 규격 및 성능
1) 교류차단기(VCB)
•차단기는 진공형 3상 전동 스프링 축쇄 방식
•차단기는 인출형으로 하며 주회로의 접속은 자동 연결식, 제어회로의 접속은 수동 연결식
•차단기는 전기적, 기계적으로 차단이 확실하고 투입상태에서는 차단 조작에 필요한 에너지가 항상 유지되도록 하는 특성을 갖도록 한다
•운전·시험·인출 등의 위치가 각 차단기 유니트에 대하여 공급되며, 주회로 단자는 ”시험” 위치에서 분리
•시험위치에서 제어회로로 차단기 조작시험이 가능
•차단기가 시험이나 인출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고정된 주 분리 접촉자의 접근방지를 위해서 자동으로 셔터가 닫히도록 한다
•각 차단기반은 운전 및 시험위치에서 차단기에 의하여 동작되는 무전압 보조 접점을 필요한 만큼 설치하고 사용하지 않는 보조접점도 차단기반 내에 있는 단자대에 전부 배선이 되어 있어서 필요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접점은 회로전류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인출이나 삽입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쇄정 장지를 구비
•각 차단기는 수동으로도 차단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투입/개폐 상태표시를 위한 기계적인 장치, 동작횟수 표시기를 구비
•조작은 원활 확실하고 충격이 적도록 하며 또한 기계적 충격이 가하여지는 부분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동일정격의 차단기는 상호 호환성 구비
2) 계기 및 지시계기
•표시등 (표시등은 원형을 표준으로 하되 글씨를 넣는 경우는 사각형을 사용)
- 적 색 : 차단기 동작 또는 폐로 - 녹 색 : 개로 - 황 색 : 고장, 차단
•지시계기는 매입형으로 가능한 한 차단기반 상부에 설치하며 디지털 형식을 사용한다.
•원격계측 설비 지시계기는 사령실에서 원격감시기록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변환기 (Transducer)를 설치
3) 계기용 변성기
•PT와 CT는 계기용 과보호, 계기용으로 쓰인다. 그것은 과전류 내력과 절연 내력의 주 차단기에서 발생하는 단락전류 및 과전압에 견뎌내야 한다. 변압기는 건식 몰드타입으로 한다.
4) 보호계전기
•첨부된 단선도에 나타난 보호계전기 및 보호장치를 공급한다.
•상기 도면상에 나타난 보호계전기와 보호장치는 최소한의 요구 사항으로 본 전기설비가 모든 점에서 충분히 보호될 수 있도록 필요한 보호계전기 또는 보호장치를 공급하여야 한다.
•가능한 한 보호계전기는 디지털 계전기로서 인출형으로 한다
4. 시 험
•외관검사(구조 및 치수 검사) •상용주파 내전압 시험
•절연저항 측정 •동작시험 (주회로 보호계전지 및 제어 회로)
•극성시험
5. 7.2kV 고압 배전반 기술시방 요약
구 분 | 시 방 |
교류차단기 | •종 류 : VCB •형 식 : 인출형 •극 수 : 3P •정격전압 : 7.2kV •정격전류 : 400A •정격차단전류 : 도면참조 •정격차단시간 : 3 Cycle •조작전압 : DC 110V •투입조작방식 : 전동스프링 •동작책무 : 0-(1분)-CO-(3분)-CO •기준충격 내전압 : 45kV |
계기용변성기 | •형식 : 애폭시 몰드형 •2차계급 : 1.0급 •CT정격 변류비 : 도면참조 •PT정격변압비 : 도면참조 •CT정격부담 : 40VA •PT정격부담 : 100VA |
과전류보호 계전기(50/51) | •순시요소 : ( 2~20 ) × 5A ( 1단위 조정 ) •한시요소 : ( 0.4~3.2 ) × 5A ( 0.1단위 조정 ) |
방향성지락 계전기(67G) | •정격영상전류 : 1.5mA •정격영상전압 : 190V •동작전류 : 0.9~5.4mA / 0.3mA •동작전압 : 4~76V / 4V •동작특성 : 정한시 (0.1~10초 / 0.1초 Step) |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67) | •형식 : KCEG 142 (GEC ALSTOM) 또는 동등이상 |
지락과전압 계전기(64) | •정격전압 : 110V •동작전압 : 20, 25, 30, 35, 40V •동작특성 : 순시동작(정정치 ±5%이내) •동작시간 : 정정치의 150%에서 35ms이내 |
부족전압보호 계전기(27) | •한시요소 : ( 0.50~0.90 ) × 110V ( 0.02 단위 조정 ) |
무전압계전기(84) | •제작자 추천 |
전력량계 | •형식 : 디지털 전력량계 •정밀도 : ± 2.0% 이상 |
전류계/전압계 | •형 식 : 디지털 보호감시장치 또는 집중표시제어장치 •정밀도 : ± 2.0% 이상 |
기 타 | •원격계측용 통신포트 : 250kbps 이상 •원격-현장 절체스위치 : 2Position |
예 비 품 | •표시등용 전구 : 전수량 100% •각종 Fuse : 전수량의 100% •각종 보조 계전기 : 5EA •각종 조작스위치 : 5EA •지시계기 : 각 1EA •과전류 보호계전기 : 3EA •지락과전류 보호계전기 : 1EA •부족전압 보호계전기 : 1EA •원격 계측용 변환장치 : 1SET •차단기투입 및 차단코일 : 각 2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