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설비 검토사항
간선설비 설계감리
간선설비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를 말하며, 약전 배선에 대한 간선은 포함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종류로서는 고압 및 특고압 간선과 저압 간선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변전실의 저압 배전반으로터 전등 분전반, 동력 제어반까지의 배전설비를 말한다.
간선은 전등 분전반으로부터 부하에 도달하는 분기 회로의 배선과는 다르며, 대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높은 신뢰도가 필요하며, 이 공사의 결과에 따라 그 건물의 보안, 관리에 차이가 생길수 있다. 당연히 공사비도 전체를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서, 전체의 금액을 낮추기 위하여, 기능을 줄이지 않을 정도까지 설계할 수 있다.
특히 초고층 빌딩의 간선 등은 길이가 100[M] 이상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중요성은 대단한 것이다. 간선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건물의 규모, 종류, 전압, 시공방법 등에 따라서 우열이 가려진다.
간선계통도를 검토할때 주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으며 구체적인 사항은 표 에 따른다.
① 전압이나 배전방식이 부하에 적합하게 선정 되었는가.
② 부하설비 용량에 적합한 전선굵기가 선정되어 있는가.
③ 계통적으로 불확실한 장소나 상황이 안좋은 장소는 없는가.
④ 필요한 전선의 누락은 없는가.
⑤ 간선공사에 문제는 없는가.
⑥ 간선 굵기등 관계법령에 대한 문제는 없는가.
⑦ 간선차단기는 잘 계산 되었는가.
간선설비 검토사항
항 목 | 검 토 사 항 |
간선경로 |
1. 간선경로는 설계도서와 시방서에 맞는가. 2. 간선경로와 타설비공사와의 취합은 잘되었는가. 3. EPS실내의 강전배선과 약전배선과의 이격은 충분한가. 4. EPS실내의 전선과 타 설비와의 이격은 좋은가. 5. EPS실내의 바닥, 벽관통부의 방화처리는 잘 되었는가. 6. EPS실내의 전선지지는 좋은가. 7. EPS실내에 배전반이 들어갈 때는 점검면적은 확보되었는가. 8. EPS실내에 작업용 전등 및 콘센트는 설치했는가. |
케 이 블 공 사 | 1. 케이블 지지방법은 좋은가. 2. 케이블의 지지 간격은 적정한가. 3. 케이블의 굴곡반경은 좋은가. (6배) 4. 케이블의 접속, 단말처리는 잘되었는가. 5. 은폐장소의 케이블 배선방법은 좋은가. 6. 중량물의 압력 또는 기계적 충격에 대해 케이블 방호는 잘되었는가. 7. 케이블의 내화처리는 잘 되었는가. 8. 초고층 빌딩의 경우 수직케이블 지지방법을 고려했는가. |
금 속 관 공 사 | 1. 금속관의 굵기와 배열은 좋은가. 2. 배관의 지지방법은 적당한가.. 3. 강전배관과 약전배관의 이격은 좋은가. 4. 풀박스의 취부상태와 크기는 적당한가. 5. 바닥관통부의 처리는 적당한가. |
케이블랙 공 사 | 1. 케이블랙의 치수, 구조는 충분한가. 또한 설계도서와 시방서에 맞는가. 2. 케이블랙의 취부상태는 적절한가. 3. 케이블랙 위의 강전케이블과 약전케이블과의 이격은 검토 되었는가. 4. 케이블랙 위에 접지선은 고장전류를 고려한 굵기로 했는가. 5. 케이블랙연결부의 전기적 연결(본드) 처리는 했는가. 6. 케이블랙의 각종 부속품은 충분한 규격과 현장여건에 일치하는가. 7. 방화구획 관통부의 내화처리는 완벽히 고려했는가. 8. 케이블 랙과 큐비클 및 옥외 연결부 등은 기술적으로 완전한가. 또한 외 부에 작은 동물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처리했는가. |
금속덕트 공 사 | 1. 덕트의 치수, 구조는 좋은가. 2. 덕트내의 전선받침 금구 단수는 좋은가. 3. 덕트내의 각종전선, 케이블의 배치와 단면적이 20% 이내에 있는가. 4. 덕트내의 케이블, 강전류 전선과 약전류 전선의 세퍼레이트는 좋은가. 5. 덕트의 인스텐션 죠인트는 좋게 설계되었는가. 6. 덕트와 각종 설비 및 연결부분의 처리는 완전한가. |
버스덕트 공 사 | 1. 용량 및 크기는 설계도서와 시방서에 맞는가. 2. 지지방법 및 지지간격은 좋은가. 3. 방진(防塵) 조치는 고려했는가. 4. 접속부위의 접속방법은 제조회사의 지시서에 따라 완전하게 이루어졌는 가. (BOLT, NUT 조임강도) 5. 접속부위의 위치는 포설작업상 보수점검상 지장은 없는가. 6. 수직부분과 수평부분과의 접속 및 수평부분의 길이에 대응해 신축 이음 매를 사용했는가. 7. 수평부분의 옆 진동방지처치를 했는가. 8. 반, 모선, 변압기와의 접속부에는 가요도체를 사용하고 있는가. 9. 설계한 내용이 시중제품과 맞는가. (금성전선, 현대 등) |
셀 룰 러 덕트공사 | 1. 셀룰러덕트 및 부속품의 제료는 강판 및 이와동등이상의 것인가. 2. 셀룰러덕트 내부는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가. 3. 셀룰러덕트 내면 및 외면은 녹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장등의 처리를 했는가. 4. 덕트에 설치한 전선 인출구는 바닥마감면에서 돌출하지 아니하도록 시공하였는가. 5. 액세스유닛 및 인서트 스터드(insert stud)높이는 슬래브 천장보다 5㎜ 마이너스정도 내려서 시공 했는가. 6. 액서스용 100Ø구멍, 인서트 스터드용 54Ø 구멍의 위치는 정확히 결정하였는가. 7. 셀룰러덕트 안의 전선은 연선을 사용하여 시공했는가. 참고】① 지름 3.2㎜ 이하는 단선이어도 됨. ② 덕트 안에는 전선의 접속점을 만들지 말 것. 8. 덕트는 제 3 종 접지를 실시했는가. 9. 덕트 및 부속품에는 물이 고이지 않도록 건축부분을 잘 파악 후 반영 했는가. |
배 선 | 1. 수직관로내의 전선케이블의 지지는 좋은가. 2. 풀박스내의 전선의 지지는 좋은가. 3. 방재용 기기의 내화배선은 좋은가. 참고】소방법 참고 4. 배선의 굵기와 허용전압강한 등은 고려했는가. 참고】허용전압강하는 중요하므로 최말단부하까지 전압강하를 계산해야 한다. (내선규정 120절 참고) 5. 케이블 종류는 결정했는가. 참고】케이블의 종류는 최근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CV 케이블을 사용한다. 6. 향후의 증설대책과 고조파 대책은 고려했는가. |
접 지 | 1. 케이블 차폐층의 접지는 했는가. 2. 배관, 풀복스 덕트 랙의 접지는 했는가. 3. 케이블 방호금구의 접지는 했는가. 4. 접지선 측정용 예비단자대는 고려했는가. 5. 접지선의 굵기는 법적인 굵기와 온도 상승분에 대한 굵기가 있는데 최 대 굵기로 했는가? 참고】 A = 0.052In(㎟), 여기서, A : 접지전선의 굵기, In : 차단기의 정격용량 6. 독립접지인가. 단독저지인가를 확인하여 시공에 철저히 기하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