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질의회시(유권해석)/감리관련

축전지설비 검토사항

양 회장 2017. 7. 24. 10:38


축전지 설비

 

 

축전지 설비란, 축전지와 충전기(보안장치, 제어장치 내장)로 구성되며, 전기기기의 예비전원 혹은 제어

전원으로서 설비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비상용으로서는 비상용 조명, 유도등 및 방재설비의 전원으로서 법규에 의해 설치가 의무화 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건물에는 비상용 발전설비가 있으므로, 축전지 설비는 그 시동, 송전까지의 연결용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조작, 제어용 전원으로서 전화 교환기, 컴퓨터, 무선 통신기, 수변전기기 감시용 전원등의, 정전시에도 그 기능을 유지해야 만하는 중요기기의 전원으로서 스스로 자신을 지키는 설비이다. 축전지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연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가 많고, 각각의 특성에 따라 비상용 조명 전원, 수변전 설비 조작용 전원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의 백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축전지설비공사 검토사항

 

   

항 목

검 토 사 항

축전지종류 및

용량선정

1. 축전지 종류와 용량선정은 설계도서 시방서에 맞도록 선정했는가.

참고】① 용량은 비상시 사용토록한 전등과 중요기기를 포함한 각종 조작용 기기용까지 적용하

는지에 따라 용량선정이 달라지므로 감리시 주 의 한다.

넓이와 위치

및 배치

1. 축전지실의 넓이와 위치는 좋은가.

참고】① 최근에 축전지는 무보수 밀폐형을 많이 사용되므로 소용량의 경 우 별도의 축전지실

을 설치하는 것보다는 큐비클등에 간단히 설 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UPS부하등

이 있을 경우는 축전지실 을 별도로 갖는 것이 좋다.

축전지실 넓이는 축전지 설치공간과 유지보수시 필요한 최 소 공간이면 되므로 감리

시 주의한다.

축전지실의 위치는 전기실에 가깝게 설치함이 바람직 하다.

2. 축전지의 배치와 보유거리는 좋은가.

3. 축전지 기초의 마무리는 좋은가.

기기의 설치

1. 기기의 설치는 좋은가.

직류전원장치 (큐비클)

축전지 가대 및 축전지

충전장치

설치장소

1. 축전지의 설치장소는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했는가.

직사일광이 없는 장소

진동이 없는 곳

주위온도가 40를 넘지않는 장소 및 위치

점검, 조작에 지장이 없는 조명설비 확보(부식주의)

환기설비는 계산후 적용한다.

축전지는 수소가스가 발생하므로 화재의 대책

지진에 대한 설계는 적용했는지

배 선

1. 배선은 적정하게 설계되었는가.

참고배선은 비닐절연전선이 좋으나 방재용전원의 경우는 내화배선을 적 용 한다.

2. 축전지의 전선접속은 진동에 대비하여 되어 있는가.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

1. 예비전원으로 시설하는 축전지에서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는 개폐기 및 과 전류 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데 설계시 적용했는가. 또한 시공했는가.

기 타

1. 축전지의 전압은 적정한가.

2. 충전장치는 부하의 특성에 맞도록 적용했는가.

참고】① 최근에는 부동충전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감리시 참고 한다.

과충전 및 과방전방지회로를 내장하여 축전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할 것.

충전장치의 입출력에는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한다.

 


플로어덕트 설비


책상이나 바닥 위에 설치되는 사무기기 등에 전원이나 전화선, 통신선 등을 배선하기 위해, 바닥에 배선용

덕트를 매설하는 시설을 플로어덕트설비라고 한다.

같은 목적으로 바닥에 배관을 매입하여 플로어 박스로부터 배선을 인출하는 방법이 있지만, 그리고 이 배관

배선보다 많은 배선, 굵은 배선을 인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법규에 의해, 전력선과 약전 배선은 같은 덕트 내에 배선할 수 없으므로, 양방 배선한 경우는 덕트를 2

시설하고, 부족한 경우는 3본 시설한다. 이것을 2way 혹은 3way라고 부르고 있다. 이 설비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건물은 은행, 사무실 건물로, 배관 배선방법으로 인하여 비용이 많은 드는 결점이 있다. 배선을

인출하는 방법은, 일정한 길이로 설치된 인서트 부분의 마루에 구멍을 열고, 이것에 콘센트가 필요한 경우에는, High tension 아웃을 설치하고, 전화선을 인출하는 경우는, Low tension 아웃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전화설비


전화설비의 구분에는, 구내 교환기 설비를 포함한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말하는 전화 교환기 설비란 전화기, 이것에 연결한 배관 배선 및 교환기 일체를 설비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가입자가 전부 시공하는 경우이다.

한편, 가입자가 기기등의 시공은 전기 통신 사업자에게 의뢰한 경우는 전기 통신 사업법에 적합한 설계 시공을

해야만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건축설비에서 전화설비는 일반적으로 구내 선로에 있어서는 단자반 및 전화선의 배관 배선과 인입용 선로에 있어서는 배관을 설치한다.

물론 인입용 배관이나 건물에 설비하는 배선 단자반의 설계시공에 있어서는 전화 국과 사전협의할 필요가 있으, 개통시에 지장이 없도록 시공해야만 한다.

 

정보통신설비공사 검토사항

   

항 목

검 토 사 항

전화설비

 

1. 건물의 용도에 맞게 회선수를 선정했는가.(국선, 사선)

2. OA 빌딩 및 인텔리전트 빌딩등의 경우 전용회선은 확보 했는가.

3. 국선의 선정은 관할 전화국과 협의후 시공했는가.

4. 국선 인입 위치는 적당한가.

5. 국선의 경우 예비배관은 시공했는가.(CATV배관은 되었는가.)

6. 주단자반 및 MDF, IDF의 위치나 설치장소는 적정한가.

교 환 기

1. 교환기실의 조건은 적정한가.

전전자식 교환기의 경우 항온, 항습, 온도 및 UPS는 설치했는가.

악세스 후로아 시스템이 되어 있는가.

악세스 후로아 밑부분은 기준점 접지는 시공했는가.(설계도 참조)

2. 교환기의 반출입에 적정한가.

3. 기기간의 포선의 선종, 조수는 적정한가.

4. 케이블의 포설경로는 좋은가. 또 필요부분은 보호했는가.

5. 전원의 공급은 적정한가.

UPS, 발전기, 축전지 등

전화배선

1. 관로의 굴곡은 케이블의 입선에 지장이 없는가.

2. 단자반의 취부 위치는 적정한가.

3. 옥외배관 배선은 적정한가.

4. 전화간선의 경우 강전류전선과의 이격거리는 충분히고려해서 시공했는가. (최소 10이상)

5. 단자반까지의 접지선은 시공했는가.

6. CATV용 배관은 시공했는가.(설계도서 참조)

참고최근에 가스, 전기, 수도등을 원격럼침으로 예비배관은 필수적이다.

구내배선

1. 구내배선의 배관, 전선, 케이블의 종류는 올바른가.

2. 전화 수구까지 전화선은 충분한 예비선을 확보했는가.

3. 옥내배선과 단자반의 수는 서로 적정한가

LAN설비

1. LAN 설비의 적용은 적정한가.

2. LAN 설비 적용시 건물의 특성에 맞는가.

3. LAN System 선로의 결정은 적정한가.

참고LAN 설비의 케이블은 광케이블과 UTP케이블이 많이 사용되므로 감리시 설계도서를 확

인한다.

4. LAN 전송거리는 적절한가.

참고LAN 전송거리는 케이블의 종류, 설치조건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이가 있으므로 설치

회사와 사전 협의하여 검토한다.

5. LAN 시공사의 선정은 적정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