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7. 28. 11:00


감전

 

(1) 감전의 의의

감전이란 전격이라고도 하지만 이를 엄밀히 구분한다면 감전은 전기를 느끼는 정도를 말하며 전격은 감전에 의해서 부상을 입든지 또는 생명을 잃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양쪽을 합하여 감전이라고 한다.

감전의 위험율은 무엇에 의해 추정할 수 있는가에 관해서는 결정적으로 이것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즉 다른 모든 조건이 같으면 전압이 높을수록 위험한 것은 물론이지만 그렇다고 단적으로 전압만으로 위험율을 정한다는 것은 부적당하다. 결국 정밀하게 표시한다면 인체에 있어서 감전피해에 관해서는 체내를 흐르는 전류와 시간과의 종합값으로 표시해야 한다. 또 감전에는 접지감전과 단락감전의 두 가지가 있다.

 

(2) 감전사고 요인

감전사고 요인이 되는 것은 다음과 같으며 이에 대하여 특별히 주의를 하여 충분한 준비를 하고 작업에 임하여야 한다.

충전부에 직접 접촉될 경우나 안전거리 이내로 접근 하였을때

전기기기 기구나 공구 등이 절연변화, 더럽고 손상된 경우나 파손 등에 의한 표면누설로 누전되어 있는 것에 접촉, 인체가 통전 될 수 있도록 전로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콘덴서나 특고압, 고압케이블 등의 잔류전하에 의할 경우

전기기계나 공구 등의 외함과 권선간의 정전용량, 외함과 대지간정전용량에 의한 분압전압에 의할 경우

지락전류 등이 흐르고 있는 전극부근에 발생하는 전위경도에 의할 경우

오조작으로 인한 역송전의 경우

계통의 미숙지로 인한 착오로 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