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조도 구하는 방법
조명기구의 종류
조명기구는 형태, 구조, 성능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한 성능인 배광에 따라 분류하면 직접조명형, 반간접조명형, 간접조명형 등 3가지로 분류된다.
1) 직접조명
직접조명 방식은 간단하고, 또한 작은 전력으로 고조도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밝고 어두운 차이가 심하여 눈부심을 일으켜서 눈이 피로하기 쉬운 결점이 있다.
2) 간접조명
간접조명방식은 그늘이 없고 균등한 조명이 얻어지며 차분한 분위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조명율이 대단히 나쁘고 비경제적인 조명방식이나 최근 분위기 조명에 많이 채용하고 있다.
3) 반간접조명
확산조도가 직사조도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조명방식이며 직접조명과 간접조명의 장점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조명기구의 선정
작업목적에 맞게 조명기구의 방식에서 특성과 형체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되 다음사항을 기초로 한다.
○ 작업장의 특색
○ 직사눈부심이 일어나지 않을 것
○ 설비의 효율
○ 진한 그림자가 일어나지 않을 것
○ 재료의 특징
○ 반사눈부심이 적을 것
○ 수직면과 사면 위의 조도
○ 유지관리가 용이할 것
평균조도 구하는 방법
조도측정으로부터 평균조도를 구하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측정대상 면적을 단위구획으로 분할하고, 우선 단위구획별 평균조도를 다음 식에 의해 구한다.
1) 1 점법
평균조도가 극히 좋은 장소인 경우, 또는 평균조도를 구하는 전면적에 대하여 측정의 단위구획을 극히 다수의 작은 단위로 분할해서 측정할 경우에는 단위구획의 중앙 1점의 측정치 Ei 를 그 단위구획의 평균조도로 본다.
측정단위구획내의 측정법 잡는법
2) 4 점범
조도구배가 완만하게 변하고 있는 장소인 경우, 또는 다수의 단위구획으로 분할해서 측정할 경우 단위구획의 4각점의 측정치Ei 에서 다음식에 의해 E 를 구한다.
E = 1/4∑EiE
3) 5 점법
조도균제도가 그다지 좋지 않는 장소의 경우, 또는 비교적 작은 스페이스이기 때문에 많은 측정구획으로 분할해서 측정하지 않을 경우, 단위구획의 4각점의 측정치 Ei 및 중앙의 측정치 Eg 에서 다음 식에 의해 E 를 구한다.
E = 1/12(∑Ei+8Eg)E
혹은 그림 ㈏와 같이 측정점을 단위구획의 4변의 중점과 중앙의 5점으로 했을 때는 다음의 식이 된다.
E = 1/6(∑Em+2Eg)E
이와 같이 해서 구한 단위구획별의 평균조도의 측정대상으로 하는 전면적의 평균을 구한다. 이 경우 측정대상 면적은 방의 전면적이 아니라 조명설계상 목적으로 하는 면적이다. 따라서 가령 사무실의 평균조도를 대상으로 할 경우, 페리미터․조운이나 창문 혹은 벽면에서 1[m] 이내의 범위는 보통 측정대상 면적으로 보지 않는다.
측정의 단위구획은 작게 잡을수록 정밀한 측정치를 얻게 되지만 작업량이 많아지므로 보통 장벽이 되는 것이 중간에 없는 동일 면적내에 대해
○ 일반적인 옥내에서는 2~4[m] 간격의 정방형구획
○ 복도․계단 등 통로상에서는 연장방향위 1~2[m] 간격으로 중앙선상 및 양단선상
○ 도로․터널 등에서는 연장방향위 2~5[m] 간격으로 각 차선의 중앙선상 및 양단선상
○ 경기용 필드, 광장 등에서는 4~10[m] 간격의 정방형구획을 단위구획으로 하면 된다.
또한 측정면의 높이는
○ 일반 옥내에서는 바닥위 85[㎝] 혹은 규정된 책상․작업대 위
○ 복도․계단 위에서는 바닥면 혹은 15[㎝] 이내로 규정된 높이
○ 옥외에서는 지면 혹은 지면위 15[㎝]로 규정된 높이
이상을 취하면 되지만 조도시설의 목적에 따라 설계 대상면이 별도일 때는 당연히 목적으로 하는 높이의 수평면 혹은 연직면 조도를 규정해서 측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