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기술자료/전기철도

수전선로 및 변전설비

양 회장 2017. 8. 17. 11:24


수전선로 및 변전설비  

 

 

1. 전력수급방안

 

전철변전소의 전력 수급은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가장 안정적이고 양질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철변전소 주변의 한전 전력공급계통조사 및 공급실정을 파악하고 안정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가급적 계통이 다른(타계통) 두 개의 변전소로부터 1회선씩(상용 및 예비) 수전하는 방안으로 하나, 한전변전소와 전철변전소간의 거리가 멀어서 수전선로 건설이 불리한 경우나 전철변전소에서 변전소간 상호 연장급전이 가능한 경우에는 수전선로 유지보수 또는 고장발생시를 대비하여 단일계통 2회선 구성(동일 전원S/S에서 상용, 예비 동시)하는 방안을 조사검토하여 가장 안정적이고 경제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방안을 선정한다.

 

(1) 검토조건  

토목의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서에 나타난 선로조건, 열차운행계획 등 제반 설계조건 검토  

인접선로와의 연계성과 장래계획을 고려하여 단계별로 부하조정이 가능하고, 고장 및 장애 발생시 비상급전이 가능한 계통  

전철변전소의 건설위치는 부하 중심에 위치하고, 수전용 한전변전소와의 수전선로 거리 및 진입로 확보와 민원발생 우려 개소 등을 고려하여 주어진 조건 하에서 가장 적합하도록 선정  

변전소 및 급전구분소에 설치되는 전차선로 절연구분장치의 설치개소를 전기차가 통과 시 노치오프하고 운행하더라도 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는 선로조건에 선정  

단권변압기 설치 간격은 전압강하 및 통신유도장해 경감 등 AT급전방식의 전기적 특성 확보와 경제성을 고려하여 가장 합리적인 간격으로 평가되는 810를 기준

  

(2) 주변 인접선로 급전계통 검토내용  

과업구간에 대한 급전계통 구성을 위하여 주변 인접선로에 대한 급전계통구성 상황을 조사한다.

 

(3) 전철변전소 주변 한전변전소 수급방안 조사  

건설될 전철변전소에 수전이 가능한 인접 한전변전소에 대한 전력수급방안을 조회한 결과를 표시한다.

 

(4) 급전계통 구성방안 검토내용  

과업구간에 대한 급전계통의 구성은 위에서 나타난 검토조건 및 내용을 토대로 검토하여 변전소의 위치를 선정하며, 검토 한 결과 전차선로 절연구분장치 설치가 가능한 선로조건이 부적합하여 변전소 건설위치 선정이 어려운 경우는 대안을 제시한다.

(null)

2. 한전공급계통 조사

 

전철변전소의 전력수급방안은 전철변전소 건설위치에 따라 수전점이 가장 근접거리인 한전변전소에서 수전 되도록 검토하고 전철전력의 무정전 확보를 위하여 수전선로의 2중화 구성방안의 검토 등 안정성 및 경제성을 제고하는 최적의 방안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한전변전소 위치 및 급전계통을 조사한다.

 

(1) 전철변전소 주변 한전변전소 현황 

 

 한전변전소 현황 

전철

변전소

한전 변전소

비 고

변전소명

154회선사용 현황

인출

방식

경과지

구성

개략

긍장

사용

예정

여유

○○

(154)

 

 

 

 

 

 

 

 



한전변전소 위치 현황

한전

변전소

위치

변전소

형태

○○

 

옥내GIS

○○

 

옥외철구



(3) 관할 한전 전력관리처 현황  

 

한전 전력관리처 현황

관리처명

주소

주관부서

연락처

 

 

 

 



(4) 공급방안 조회결과  

 

공급방안 조회결과

전철

변전소

위치

전력공급 가능여부

비고

○○

 

 

 



(5) 한전변전소 154모선 계통용량 조사결과(100[MVA]기준)

     

계통용량 조사결과

계통용량

한전변전소

○○S/S

정상 및 역상(Z1,Z2)

%임피던스

○○○  ○○○

영상(Z0)

%임피던스

○○○  ○○○

3상단락용량

○○○  ○○○


3.  경과지

 

전철변전소 주변의 한전변전소를 조사하고 주변 환경을 감안하여 수전선로 경과지를 검토한다.

 

(1) 수전선로의 건설비 및 유지보수비가 최소가 되도록 선정한다.  

(2) 지형도상에 자연환경, 사회환경 등 제자료를 조사하여 23개 예정 경과지를 선정한다.  

(3) 예정경과지의 지형, 지질, 기후 등을 충분히 검토후 현장조사를 하여 관련기관 협의후 경과지를 선정한다. 

(4)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용지구입이 쉽고, 민원발생 요소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고려사항>  

지중 수전선로 경과지는 다음 사항을 충분히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장래의 송전계통 구성과 수요분포의 동향  

공공용지의 효율적 이용  

선로건설 및 운영의 경제성, 시공성, 안전성  

도시계획, 도로의 개설 및 확장계획  

타 시설물과의 현황 및 건설계획  

도로의 굴곡 및 고저차  

화학적 영향이나 열을 받을 우려가 있는 지 여부  

각종 재해(수해, 염진해, 화재, 산사태, 지반조건, 진동 등)의 영향  

기설 관로, 전력구, 케이블 등과의 연결 및 효율적 이용  

지역환경과의 조화  

법적 제한  

케이블 다회선 포설에 의한 송전용량 및 유도장애의 영향  

교통상황

(null)

   

4. 수전선로 건설방식

 

(1) 초기투자비보다는 국토이용효율의 극대화와 설비의 기능성, 유지보수성, 보안성, 기기의 내구성, 민원해소를 감안하여 가장 유리한 건설방식인 것을 조사검토하여 선정한다.  

(2) 신뢰성 있는 전원공급을 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에 유리한 방식을 선정한다.

 

 

5. 변전설비 형식 및 건설방식

 

(1) 전철변전설비 건설방식 검토  

초기투자비보다는 국토이용효율의 극대화와 설비의 기능성, 유지보수성, 보안성, 기기의 내구성, 민원해소를 감안할 때 가장 유리한 건설방식인 것을 조사검토하여 선정한다.  

(2) 전철변전설비 기기배치 검토  

상기 항에서 선정된 건설방식에 의한 기기배치의 최적화를 검토하여 부지 및 건물의 규모를 결정한다.

 

 

6. 급전방식

 

과업구간에 적용할 급전방식을 선정하기 위하여 고속철도에서 채용하고 있는 PP급전 방식과 일반 국철에서 채용하고 있는 SP Tie 급전방식을 조사 비교 검토한다.

 

 

7. 급전계통시뮬레이션

 

장기계획의 단계별, 급전방식별(정상급전, 연장급전), 변전소 부하, 열차 집전전압, 전압 불평형율 및 전차선 전류를 검토하여 설계서에 반영한다.

 

 

8. 변전설비 단선결선도의 구성

 

선정된 급전계통 구성에 의한 전철변전소, 급전구분소 및 보조급전구분소의 단선결선도를 구성한다. 급전계통시뮬레이션 및 고장전류계산을 수행하여 변전설비의 기본사양을 확정한다.

(nu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