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 작성 기준
도면 작성 기준
1. 수전선로
① 수전선로는 수전시점(전철변전소, 한전변전소, 한전 수전선로 등)에서 수전변전소 인입까지를 가공전선 중심선을 기초로 수전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종단 및 평면도로 표시한다.
② 수전선로 경과지의 철도, 도로, 공공시설물 등 타공작물과의 접근상태 및 횡단여부와 지형, 건조물, 용지경계 등의 형상을 간략히 표시한다.
③ 수전선로 경과지는 중심선을 기초로 돌출 지형 등을 세밀하게 종단상태로 표시한다.
④ 수전선로 지지물은 번호, 경간, 위치, 방향, 형별, 기초형태와 지선 및 지주의 위치, 방향, 형상 등을 표시한다.
⑤ 수전선로 가공전선은 1선으로 일괄 작성하고, 선종, 단면적, 수량 등을 표시한다.
⑥ 지중수전선로 지중전선은 1선으로 일괄 작성하고, 선종, 단면적, 수량 등을 표시한다.
⑦ 다른 소속의 가공․지중전선이 접근, 횡단, 첨가시에는 그 전선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상호간의 위치, 선종, 단면적, 수량, 시설자명 등을 표시한다.
⑧ 수전선로 관리소속의 책임분계점과 소속명을 표시한다.
2. 변전설비
① 모든 설계도면은 공단의 도면표준화 기준에 따라 작성한다.
② 변전설비 평면도는 변전소 설비 개소별로 단선결선도, 삼선결선도, 기기배치평면도, 제어케이블 포설도, 트로프 및 피트 평면도, 기기 제어회로도, 접지장치 평면도 등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③ 변전설비 평면도에는 변전소에 설치한 일체의 기기, 지지물, 전선, 배전반, 접지 등을 표시한다.
④ 변전기기는 도면기호로 표기하고 기기에 대한 약어, 용량, 명칭 등을 표시한다.
⑤ 단선결선도는 기기 상호간을 계통별로 1선으로 연결 표시하고, 삼선결선도는 기기 상호간을 실제 연결선으로 작성하여 표시한다.
⑥ 기기배치평면도는 변전기기, 지지물, 전선 등을 약도로 작성하여 각각의 명칭과 상호간의 실제 거리 등을 표시한다.
⑦ 제어케이블 포설도는 제어용 전선을 선종별로 구분하여 배전반에서 피제어기기 까지를 가로선으로 표기하고 수량과 긍장 등을 표시한다.
⑧ 트로프 및 핏트 평면도는 위치, 방향, 거리, 굴곡점 등을 표시한다.
⑨ 기기 제어회로도는 도면을 일정양식으로 동일하게 분할하여 연속되는 회로를 도면번호로 유지시키고, 회로별로 도면기호로 표시한다.
⑩ 접지장치평면도는 변전소, 수전선로 철탑 등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여 접속점, 위치, 방향, 거리, 굴곡점 등을 표시한다.
3. 변전설비 단선결선도 표기 기준
(1) 대 상
구분 | 고속철도 | 일반철도 | 비고 |
SS | 전철변전소(154kV) | - 고속철도 동일 - |
|
전철변전소(55kV) | - 고속철도 동일 - |
| |
SP | 급전구분소(55kV) | 급전구분소(55kV) |
|
PP, SSP | 병렬급전소(55kV) | 보조급전구분소(55kV) |
|
(2) 표기기준(기기명칭, 약어 및 번호순으로 표기)
① 기기 명칭
◦ 주기기 명칭은 IEEE Standard C37.2의 기기기능 번호로 표기(예) 52 : 교류차단기, 89 : 단로기 등
② 기기 약어 : 주기기 특성 및 설치위치 등을 알 수 있도록 약어를 표기
가. 차단기
◦ 변전소 : 수전측은 R, 변압기반의 경우 1차측은 TP, 2차측은 TS, 급전측은 F, 공통반은 FZ
◦ 구분소 : 선로급전용은 F, 타이용은 T, 연장급전용은 L(Link)
◦ 보조구분소 : L(Link)로 표기(회로구분 또는 연장급전 용도임)
◦ 병렬급전소 : F로 표기(타이 및 선로급전겸용)
(예) 52R : 변전소 수전측 교류차단기, 52T : 구분소 타이용 차단기, 52F : SS, SP, PP 차단기 등
나. 단로기
◦ 변전소
- 수전측은 R로 하되 라인용은 L, 모선용은 B를 부기
- 변압기반의 경우
․ 스코트변압기 1차측은 TP로 하되 모선용은 B를 부기
․ 스코트변압기 2차측은 TS로 하되, 상별로 M 또는 T를 부기
․ 접지용은 E를 부기하고, 설비특성, 위치가 나타나도록 약어를 첨기(ex : 89EBM M상 BUS에 연결된 접지용 단로기)
․ PT용은 PT를 부기하고, 설비특성, 위치가 나타나도록 약어를 첨기(ex : 89PTBM M상 BUS에 연결된 PT용 로기)
․ 급전반의 경우 F, 공통반은 FZ로 표기하고 전원측으로부터 a, b, c를 부기
◦ 구분소
- 급전용은F, 타이용은T, 연장급전용은L로 표기하되 전원(선로)측 으로 부터 a, b, c를 부기
◦ 보조구분소 및 병렬급전소
- 급전용은 F로 표기하되 전원(변전소 또는 선로)측으로부터 a, b, c 를 부기
③ 번호 : 기기 위치, 상, 하선 구분을 위하여 번호를 표기
가. 1군 회로는 기기 약어 뒤에 1, 2군 회로는 2로 표기
나. Feeder 명칭은 약어 뒤에 기점에서 종점을 향하여 1, 2, 3... 순으로 표기하되 하선은 홀수, 상선은 짝수로 표기
④기타
가. 고속철도변전소의 경우 계통구성방식에 따라 고배용설비가 추가 될 수 있음.
나. 기타 기기의 특성과 위치, 용도 등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방법으로 사회통념에 따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