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 접속
케이블 접속
1. 일반사항
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는 다음에 의하여야 한다.
(1) 도체의 전기저항을 증가시키지 않을 것
(2) 케이블과 동등 이상의 절연내력을 가질 것
(3)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것
(4) 부식이 없는 구조일 것
2. 케이블 접속함의 구비조건
(1) 일 반
① 케이블과 동등 이상의 절연내력을 가질 것
②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것
③ 부식이 없는 구조일 것
④ 기중종단 접속함의 경우 풍압 및 단락하중 등에 견딜 것
⑤ 이종접속함은 케이블 절연재료(절연유)의 유통로를 완전히 차단하는 구조일 것
(2) 도체 접속부
① 도체의 전기저항을 증가시키지 않아야 한다.
② 케이블 도체의 허용 항장력에 견디어야 한다.
(3) 절연보강층
① 보강층의 전계강도는 케이블의 전계강도보다 작아야 한다.
② 절연물의 절연내력에 대응한 전계분포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③ 내부 이상전압의 반복에 견디어야 한다.
(4) 외함
① 케이블의 금속시스와 동등한 전류를 통전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내부 절연재료(절연유)의 압력에 견디어야 한다.
③ 습기의 침입을 방지하고 내부 절연재료(절연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5) 방식층
절연유의 누유 및 외부 습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3. 케이블 접속함의 종류
케이블 접속함은 사용목적에 따라 표와 같이 구분하며, 접속함의 크기는 접속함이 설치될 장소의 접속공간에 적합하여야 한다.
케이블 접속함의 종류
구분 | 종류 | 사용목적 |
중간 접속함 | 보통 접속함 (NJ : Normal Joint) | 케이블 상호간을 단순히 접속 |
절연 접속함 (IJ : Insulation Joint) | 케이블의 금속차폐층 상호간을 절연하여 케 이블 접속 | |
종단 접속함 | 기중 종단접속함 (EB-A : End Box in Air) | 가공수전선로 또는 선로개폐기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 |
가스 종단접속함 (EB-G : End Box in Gas) | GIS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 |
4. 케이블 헤드
1) 케이블 헤드 부지의 선정
케이블 헤드의 부지는 아래 사항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1) 용지매수
(2) 가공선과의 연결
(3) 진입로
(4) 케이블 포설 등 시공성
(5) 대관 인허가
(6) 민원 발생 소지
(7) 주변 환경
(8) 수해로 인한 지반 유실 우려 여부
2) 케이블 헤드의 종류
케이블 헤드는 지지물 형태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하며 지중선로의 규모, 가공선로와의 연결, 설비 안정성, 주위환경, 대관 인ㆍ허가 등을 고려하여 형태를 선정한다.
(1) 철구형
케이블 종단접속함이 철구에 설치되어 가공선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케이블 헤드 형태(Gantry Tower 등)
(2) 철탑형
케이블 종단접속함이 철탑에 설치되어 가공선과 연결되는 구조의 케이블 헤드 형태
(3) 강관주형
케이블 종단접속함이 강관주형 지지물에 설치되어 가공선과 연결되는 구조의 케이블 헤드 형태
(4) 옥내 GIS 형
케이블 종단접속함이 옥내에 설치된 GIL(Gas Insulation Line)에 설치되어 가공선과 연결되는 구조의 케이블 헤드 형태
3) 케이블헤드 부지 소요면적
케이블헤드 부지 소요면적은 계통 최종 규모를 고려하되 아래사항을 참조하여 산출한다.
(1) 충전부의 이격거리
[단위 : mm]
전압 별 | 상간 | 대지간 | 울타리간 | |
66kV | 최소 | 800 | 700 | 6,000 이상 |
표준 | 1,200 | 1,000 | ||
154kV | 최소 | 1,900 | 1,500 | 6,120 이상 |
표준 | 3,000 | 1,900 |
(2) 동일회선의 동상 설비간 이격거리
동일회선의 동상 설비간 이격거리는 작업성, 설비고장 복구시 접지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전압별로 아래값 이상이어야 한다. 단, 현장여건상 불가피할 경우는 별도 검토 결정한다.
① 345kV: 2,900mm
② 154kV: 1,500mm
③ 66kV: 700mm
(3) 기 타
부지면적은 상기 “(1)”, “(2)”항 이외에 진입로, 배수로, 법면, 조경면적, 철 구조물, 케이블 유조 설치, 냉각설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4) 케이블 헤드 설계 및 시공
(1) 케이블 헤드
① 케이블 헤드의 구조물은 가공선로 인하시 이격거리, 철탑의 Arm 형태, 지지애자의 설치위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② 구조물의 높이는 가섭선간 수직 선간거리, 전선의 최대이도, 최하전선의 지상고 및 케이블과의 전선 연결등에 의하여 결정한다.
③ 철탑형 및 강관주형 케이블 헤드의 Arm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접속개소에 대한 점검, 보수를 위하여 기기로 부터 외측으로 최소 500mm이상 확보하여야 하며, 안전 발판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④ 구조물 설계시는 케이블 헤드 Arm으로 출입할 수 있는 사다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케이블 입상용 트레이 설치
①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의 선종 및 회선수 또는 케이블헤드의 부지여건, 케이블헤드 Arm의 형상을 고려하여 가공송전선로 선로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중앙에 설치한다.
②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③ 트레이의 곡률부분에는 적당한 핏팅(Fitting)을 사용하여 케이블 지지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④ 케이블 트레이의 수직부분은 케이블 활락현상이 발생치 않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3) 지지애자의 가대 최소 높이
종단접속함, 피뢰기, 지지애자의 가대 최소높이는 2.0m로 한다.
(4) 울타리
① 케이블 헤드 부지 외곽주위에는 주변환경과 조화될 수 있도록 환경친화적인 담 또는 울타리를 시설하여야 한다.
② 담 또는 울타리 높이는 2.2m로 하되, 부지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출입문 시건 장치, 위험 표지시설 등 일반인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설을 하여야 한다.
③ 도전성 재질의 울타리에는 제3종 접지를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