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전소 등의 위치
변전소 등의 위치
1. 공통사항
(1) 도심 및 주거 밀집지역 등 민원발생 우려지역은 피할 것.
(2) 급전선로의 인․출입이 용이하고 급전선로의 길이가 짧을 것.
(3) 교량 및 터널개소는 피할 것.
(4) 환경오염 등 공해지역은 피할 것.
(5) 수해 등 재해발생 우려 개소는 피할 것.
(6) 도시계획 및 토지이용계획 등에 저촉되지 않을 것.
(7) 기기운반, 유지보수 등에 필요한 진입로 개설이 용이할 것.
(8) 유지보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국도 등으로부터 가까울 것.
(9) 장래 확장계획이 용이할 것.
(10) 가급적 철도부지를 활용하여 용지비를 절감하고 인․허가 등 행정업무를 간소화할 것.
2. 전철변전소
(1) 변전소의 상별(M상, T상) 부하균형을 이룰 수 있는 부하중심에 위치할 것.
(2) 수전선로의 인․출입이 용이하고 수전선로의 길이가 짧을 것.
(3) 전차선로 절연구분장치 설치개소에 전기차가 노치오프(Notch Off) 운전이 용이하도록 선로조건(구배, 곡선반경, 신호기 설치위치 등)에 만족할 것.
(4) 변전소 정전 또는 고장시 인접변전소와 상호 연장 급전하여 전압강하로 인한 열차 운전에 지장이 없는 개소일 것.
(5) 인접선구의 전철화 계획 시 급전범위 및 부하를 고려할 것.
3. 보조급전구분소 및 급전구분소
(1) 급전구분소의 건설위치는 급전선의 인출이 용이하며 전차선로의 절연구분장치 설치가 용이하고, 전기차 운전상 노치오프로 통과할 수 있는 장소로서 선로는 급구배와 곡선 구간이 아닌 곳, 전기차가 일시 정차할 우려가 없는 곳, 전차선로의 보수작업 상 곤란하지 않은 곳을 검토하여야 한다.
(2) 보조급전구분소의 건설위치는 급전선의 인출이 용이하고, 열차안전운전 조건에 지장이 없는 곳이어야 한다. 그러나 주변여건상 부득이 역구내에 설치하는 경우 전차선로 유지보수관리(오인 감전사고 등) 및 열차운전의 안전 상 문제가 없도록 시설방안을 검토하여야 한다.
4. 전철변전소 및 급전구분소 조건 및 기준
전철변전소 및 급전구분소 조건 및 기준
조건 | 기준 | 비고 |
1. 부하중심에 위치할 것 | ∘ 변전소의 상별 부하 균 형을 이 룰 것 |
|
2. 수전선로의 인․출 입 에 지장이 없을 것 | ∘ 도심 및 주 거 밀집 지역등을 가급적 피할 것 ∘ 수전선로 길이가 짧을 것 |
|
3. 급전선로의 인․출입에 지장이 없을 것 | ∘ 교량, 터널구간을 피할 것 | ◦급전선 인상각 최소 |
4. 절연구분장치 (Neutral Section) 설치에 적합할 것 | ∘ 전기차가 노치오프(Notch Off)로 통과하여야 함. |
|
5. 용지 확보의 용이 | ∘ 수해 산사태의 우려가 없는 곳 ∘ 문화재 보존지구, 풍치지구 및 도시계획 등에 지장이 없는 곳 ∘ 유해가스, 분진발생지역이 아닌 곳 |
|
6. 기기 운반이 가능 | ∘ 변전소 근처에 도로(폭 3m이상)가 있는 곳 ∘ 진입로 개설 또는 확장이 가능하고 가급적 거 리가 짧을 것 |
|
7. 유지보수 및 점검 순회의 편리 | ∘ 국도 또는 지방도로 인근이 적합 |
|
1) 변압기의 임피던스
변압기의 실제 임피던스가 알려지지 않을 때 한국철도표준규격 상에 표기된 용량 및 %Z 적용하여 고장전류를 계산 한다.
용량별 임피던스
변압기의 용량(MVA) | 임피던스(%) |
20, 30, 45, 60, 90 | 10.0 |
변압기의 용량(MVA) | 최소임피던스(%) |
0.630까지 | 4.0 |
0.631 ~ 1.25 | 5.0 |
1.251 ~ 3.15 | 6.25 |
3.151 ~ 6.30 | 7.15 |
6.301 ~ 12.50 | 8.35 |
12.501 ~ 25.00 | 10.0 |
25.001 ~ 200.00 | 12.5 |
2) 계통의 임피던스
(1) 전원자료
① 한전 변전소의 계통임피던스 자료는 아래와 같다.
한전 계통임피던스 자료
변전소 | 모선고장용량 (MVA) 3상단락 | 모선고장전류 (kA) | 정상임피던스(P.U.) | |
R1 | X 1 | |||
한전S/S | 5,734 | 21.50 | 0.0041 | 0.01734 |
상기 임피던스는 향후 계통확장 시 단락용량의 증대를 고려하여 여유율 1.2배를 주어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