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안전.대책

단로기(DS) 설치공사

양 회장 2017. 9. 28. 13:11


단로기(DS) 설치공사  

 

 

1. 기초도에 준하여 앵커볼트 등이 설치 할 곳에 정확히 시공되었는가 확인한다 

 

2. 제품 인도시 리스트에 기재된 내용과 인도하는 제품물량을 확인한다 

 

3. 출하 또는 운송에 따른 제품 및 부품의 손상유무를 확인한다 

 

4. 단로기는 지정된 위치에 확실히 설치, 개폐에 무리가 없도록 하고 조작로드 등도 원활히 동작하도록 조정한다 

 

5. 단로기 조립 조정에 있어서는 각 극의 접촉부가 동시에 개폐하고, 투입상태에 있어서는 완전히 접촉하도록 조정하고 접촉자의 지나침이나 뒤틀림 등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6. 차단기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인터록 되어있지 않은 단로기에는 쇄정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7. 조작함 설치에 있어서는 습기방지를 위한 인입구의 처리상태 및 서모스탯의 동작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8. 단로기의 접지는 망상접지에 연결하고 접지 저항값을 상승시키지 말아야 한다 

 

9. 접지 단로기는 망상접지에 직접접속하고 수동조작 단로기는 핸들에 접지를 하여야 한다 

 

10. 단로기의 조립완료 후 수동조작, 동력조작에 의해 동작의 정상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11. 단로기 동작시 단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야 하며 동작표시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12. 시공 후 녹슨 부위의 재도장 및 조작함 동작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13. 제어케이블 결선

 

1) 배선 하기 전에 케이블리스트를 작성하여 결선작업에 임하여야 한다 

2) 케이블은 케이블 피트를 통하여 선이 꼬이지 않도록 포설하여야 한다 

3) 단자대에 접속되는 전선의 단말은 압착공구에 의해 성형후 압착부는 지정색의 절연캡으로 보호한다 

4) 조작함의 권선 인입구는 배선, 배관작업 후 배관의 틈새는 쥐, 곤충 등이 침입할 수 없도록 적절한 방호조치를 하여야한다 

5) 배선 작업시 느슨한 선은 가지런히 하여 바인더 또는 테이프 등으로 묶어 미관상 보기 좋게 한다 

 

14. 시험 및 검사

 

시험 및 검사는 공단 절차서(시관절-35 송변전 배전설비 시험, 시관절-44 검사 및 시험 계획서)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계기용변성기(MOF) 설치공사

 

 

1. 계기용변류기

 

1) 변류기 회로의 2차측은 안전을 위하여 반드시 접지시키며 접지는 배전반과의 연결 부분에서 한 장소만 실시한다 

2) 부싱변류기의 1차측 결선은 모선과 차단기의 상이 일치하도록 한다 

3) 변류기의 결선시에는 접속방법 여하에 불구하고 CT 2차가 개방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4) 부득이한 경우 가능한 한 사용을 억제하고 사용할 때에는 변류기 2차측 전류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결선하여 주변류기의 부담이 감소되도록 하여야한다 

5) 변류기 2차 회로 심선도체의 굵기는 기계적 강도 등을 고려해 최소 6이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6) 변류기 2차 회로 구성에는 변류기의 부담능력, 계전기의 소요부담을 검토하고 회로 내부에서의 소모가능 부담을 판단하여 회로의 편도 최대거리에 따라 케이블의 단면적을 계산한다 

7) 보호계전기 회로에 사용하는 케이블선정은 보호계전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8) 모선보호용 변류기는 전용으로 설치 사용하되 다음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전압차동 모선 보호방식에서는 각 피더 변류기를 동일특성의 동일 변류비로 사용하고 변류비가 다른 경우에는 별도 검토하여야 한다 

모선보호용 변류기는 외부사고에 오동작하지 않도록 포화특성에 유의하여 선택한다.

 

 

2. 계기용변압기

 

1) 사용전 극성시험을 하여 감극성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2) 결선시 극성에 유의하고 2차를 단락시켜서는 안 된다 

3) PT(PD)2차측은 반드시 접지하여야 하며 접지장소는 배전반에서 1개소만 한다 

4) 계기용변압기 2차회로 심선 도체의 최소 굵기는 4이상을 사용한다 

5) 계기용변압기 2차회로는 정격부담전류에 대하여 케이블의 전압강하를 최대 1% 이내로 선정한다 

6) 전자유도장해의 염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차폐케이블을 사용한다 

7) 계기용변압기의 정격부담이 실소요부담 보다 훨씬 커서 현실적으로 정격부담전류보다 훨씬 적은 계기용변압기 2차회로 전류를 고려할 수 있을 때는 실소요부담을 기준하여 적용할 수 있다 

8) 계기용변압기 영상 2차회로의 구성은 계기, 계전기 소요부담을 검토하여 케이블 최소 굵기는 소요부담에 케이블의 단면적을 산정한다.

 

 

3. 시험 및 검사

 

시험 및 검사는 공단 절차서(시관절-35 송변전 배전설비 시험, 시관절-44 검사 및 시험 계획서)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