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선작업
연선작업
1. 연선용 와이어(Messenger Wire)
1) 연선용 와이어의 강도는 연선장력에 대하여 안전율 3 이상 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연선용 와이어의 접속에는 Wire Connector 또는 Wire Rope의 연합(Eyes Policey)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그 강도는 연선용 와이어 절단하중의 90% 이상이어야 하며 구부리거나 비트는데 대하여 안전해야 한다. 또한 Wire Connector에 의한 접속은 Wire Connector의 원형측이 연선방향으로 향해야 한다.
3) 연선용 와이어의 취급 시 다음 사항에 주의해야 한다.
① Kink 또는 소선이 풀릴 우려가 있을 때는 즉시 바지 조치를 취하고, 일단 Kink 발생부위는 잘라내어야 한다.
② 흙, 모래가 부착되지 않도록 자주 손질을 해야 하며 부식 시는 신속히 제거해야 한다.
③ 사용 중 또는 사용 후의 점검, 손질을 철저히 행하고 마모, 소손, 절단 등에 의해 강도 저하가 예상되는 것은 사용치 말아야 한다.
④ 연선용 와이어 접속개소의 이상 유무에 대하여는 항상 주의하고, 급격한 만곡이나 철탑재와의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⑤ 연선용 와이어는 지선 등에 유용해서는 안 된다.
4) 연선용 와이어의 연선 및 Block 취부는 다음 사항에 주의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① 공구의 배치, 지장목의 벌채, 발받침의 설치 보선원 및 전화기의 배치가 끝난 다음에 연선용 와이어의 연선 및 Block 취부를 행한다.
② 연선용 와이어의 Block 취부는 연선용 와이어가 수목이나 발받침에 걸려 있지 않음을 확인한 다음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시행한다.
③ 연선용와 이어의 Block 취부는 연선 후 가능한 한 조속히 시행하도록 하여야 하며 부득이 늦어질 경우에는 발받침 설치개소 등 위험개소에 충분한 예방조치를 취해 두고 일단 Block 취부 후에는 연선용 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게 붙들어 매어두어야 한다.
2. 가선용 엔진(Engine)
1) Engine은 다음의 성능을 가진 것이어야 합니다.
① 연선장력에 비하여 충분한 강도와 견인력을 가진 것으로서 연속운전이 되는 것.
② 연선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변속장치와 Break 장치를 구비할 것.
③ Engine의 Capstan은 연선용 와이어가 무리 없이 감기고 Engine 정지 시에 풀리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되어 있는 것
2) Engine 설치시는 다음 사항을 충분히 고려해서 시행해야 한다.
① 연선장력 및 연선중의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② Capstan의 축방향은 연선용 와이어 방향에 직각되도록 설치한다.
③ Capstan에 위로 끌어 올리는 힘이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④ Engine용 Anchor의 강도는 Engine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안전율 4.0 이상이어야 한다.
⑤ Engine 설치시는 반드시 접지시켜야 한다.
3) Engine의 운반, 취급 시는 다음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① 운반 시는 그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 특히 주의해야 하며 사용 중 또는 사용 후에는 점검 및 손질을 철저히 하고 특히 윤활유의 부족 등에 유의한다.
② 연선속도는 20m/분 내외로 하고 Capstan에 연선용 와이어는 5회 이상 감아서 사용하여야 한다.
③ 전선의 가접속부 등이 Block을 통과할 때는 연선속도를 늦추어 전선 및 철탑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다.
④ Engine용 Anchor 및 기타의 이상 유무에 항상 주의하여 사고 방지에 최대한 노력한다.
⑤ 연선용와이어의 장력변화에 주의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즉시 정지시킨다.
3. Tensioner
1) 연선 작업 시에는 Tensioner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전선이 절대로 지상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Tensioner의 설치시는 다음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① Tensioner 설치는 전선 인출 방향과 일치해야 하며 전선 인출 수직각도에 의한 인장력을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
② Tensioner의 Anchor는 Tensioner에 가해지는 하중에 비하여 4 이상의 안전율을 가지게 설치한다.
③ Tensioner의 설치시는 반드시 접지해야 한다.
3) Tensioner의 취급 운전 시는 다음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① Tensioner는 항상 점검 보수하고 특히 Brake 장치의 정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② 장시간 연선을 중지할 경우는 Come along 등으로 Tensioner 앞에 전선을 붙들어 매어 전선이 미끄러져 풀리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③ Capstan, Guide Roller 등은 항상 그 표면이 원활하도록 정비해 두어야 한다.
④ Tensioner의 시동정지 장력 조정은 각 작업 개소와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연선 하여야 한다.
4. 전선 및 지선의 드럼
1) 드럼의 운반, 취급 시는 다음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① 드럼의 운반 시 운반차량 상에서 구르지 않도록 하고 드럼을 눕혀 두어서는 안된다.
② 드럼을 굴려서 운반할 때는 드럼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굴린다.
③ 드럼의 적상하는 적정 장비를 사용하여 신중히 행해야 하며 특히, 굴러 떨어뜨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2) 드럼의 설치시는 다음 사항에 주의해야 한다.
① 드럼설치 시 축방향은 전선 인출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하고 견고한 드럼대를 사용 하여 수평을 유지토록 설치한다.
② Tensioner와 드럼대는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하여 드럼에서 전선간 간섭이 발생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연선 중 수시로 전선의 상태를 점검하여야 한다.
③ 드럼의 회전을 원활히 제동할 수 있는 Brake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5. 가선용 Block
1) 가선용 Block은 그 강도가 하중에 대하여 3 이상의 안전율을 갖는 것이라야 하며, 직경은 전선용이 600mm 이상, 가공지선용은 300mm 이상의 것이라야 한다.
2) 가선용 Block의 취부 시는 다음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 시행하여야 한다.
① Block은 취부 Cord를 사용해서 철탑 Arm에 취부한다. 단, 애자장치에 직접 Block을 취부할 수 있으나 이 경우는 애자련 및 Block의 뒤틀림 발생 시 애자 및 전선에 미칠 손상에 대한 예방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② Block 인상 개소로서 전선이 부상할 우려가 있을 경우는 인상용 Block을 사용하거나 2개의 Block을 정역으로 조합하여 취부한다.
③ 전선 Catenary각이 큰 개소는 직경이 더 큰 Block을 취부하여 사용하거나, Block 취부 위치를 낮추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④ 중요 공작물 횡단개소의 양측 Block은 그 취부 Cord의 굵기를 크게 하고, 전선 하락 방지장치 등을 특별히 설치해야 한다.
⑤ 완금재에 Block Cord를 취부할 때는 가능한 한 완금 조조재의 취부점(절점)에 취부 하여야 하며 가선 시 완금 및 보조재의 강도를 검토하여 강도가 부족할 경우에는 Block Cord 취부점과 탑체 간에 Wire를 사용하여 보강하여야 한다.
6. Block 취부용 Cord
1) Block 취부용 Cord에는 직경 12mm Wire Rope를 사용하여야 하며, 그 강도는 안전율 3 이상을 유지토록 해야 한다.
2) Block 취부 시 Cord의 길이는 현수 철탑에서는 애자장치 길이와 같게 하고, 내장철 탑에서는 되도록 짧게 한다.
7. 연선 Yoke
1) 연선 Yoke는 강판재로서 장방형 또는 3각형의 것을 사용하며 그 강도는 연선 장력에 비하여 충분히 안전하고 변형이 생기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2) Messenger Wire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U-Clevis를 사용하여 연선Yoke에 취부한다.
3) 전선은 적당한 연선 Clamp등을 사용하여 Yoke에 취부한다.
8. Counter Weight
1) Counter Weight는 연선공법에 따라 적당한 구조의 것을 택하여 사용하며, 연선 Yoke에 용이하게 취부 철거할 수 있고 중량을 쉽게 가감 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2) Counter Weight의 중량은 연선장력을 고려하여 Yoke가 회전하지 않는 중량을 선정 하여야 하며 Yoke에 단단히 취부한다.
9. Arm 보강
1) 가선공사 중 설계치 이상의 수직 하중이 가해지는 Arm에는 보강지선을 설치해야하며 보강지선은 직경 9mm 이상의 Wire Rope를 사용하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Turn Buckle을 삽입하여 지선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하고, 보강지선의 강도는 3이상의 안전율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2) Arm 보강지선은 Arm의 끝과 철탑 주주재 간에 취부하되 각목과 마대 등을 이용하여 철탑재나 Wire Rope가 손상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
10. 연 선
1) 동시에 연선하는 전선 및 지선의 조수 결정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전선 2조까지를 동시 연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가공지선 1조는 더 추가할 수 있다.
① 연선용 와이어의 강도
② 최대 연선장력과 Engine의 견인력
③ 지형 및 연선긍장
④ 횡단 타 공작물과 보선원의 감시범위
⑤ 연선에 종사하는 작업인원 및 공구의 수량
2) Drum반, Engine반, Yoke반 및 각 보선원은 항시 사고방지와 안전한 연선작업 수행을 위하여 긴밀한 상호연락을 취하여야 한다.
3) 주요 타 공작물 횡단개소의 연선은 다음 사항에 주의하여야 한다.
① 타 공작물의 관리자와 공법 및 안전관리에 대하여 충분히 협의한다.
② 사용공구는 사전에 점검하여 안전을 확인한다.
③ 연선구간은 가능한 한 짧게 잡는다.
④ 각종 장비의 설치는 더욱 견고히 하고 공구 및 장비의 안전장치에 특히 유의하여 점검한다.
11. 안전
1) 연선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장소에는 반드시 안전 요원을 배치해야 한다.
① 발받침 설치개소
② 인하 Bock 및 연선 Roller 설치 개소
③ 인상 및 인하각, 수평각이 큰 철탑
④ 연선 중 Messenger Wire나 전선이 수목 등에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
⑤ 공공에게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곳
2) 보선원은 항상 연선상황을 감시하고 이상이 발생하면 즉시 관계 개소에 연락을 행하며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범위를 분담토록 한다.
3) 안전요원은 전선 및 지선의 이도와 연선용 와이어의 장력에 주의하고, 발받침과 의 접촉, Block과 연선 Roller의 회전상황 등에 항시 주의하여 사고방지에 주력해야 한다.
12. 전선, 지선의 접속
직선스리브 무접속 시공을 위하여 전선을 연선 구간별로 발주, 제작하였으므로 직선 스리브는 시공치 않음을 기준으로 하나 시공 상의 편의, 또는 현장여건상 불가피하게 직선스리브가 시공되어야 할 경우에는 미리 감독자와 협의하여 승인을 득한 후 시공 하여야 하며 압축접속 시 다음 사항을 철저히 준수하여야 한다.
1) 접속공구
① 가선공사 착수 전에 유압기의 성능 및 유압 Gauge의 정밀도를 제작회사 또는 공인시험기관에 의뢰하여 시험토록 하고 시험성적서를 감독자가 확인, 보관한다.
② 압축상태 측정용 간이 Gauge를 제작하여 그 치수를 확인한다.
③ 압축용 다이스(Dies)는 신품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각변 치수는 가선공사 착수전 및 공사 중 수시로(월2회 정도) 확인하여 다이스의 마모 여부를 점검하여야 하며 100개 정도 압축 후에는 폐기하여야 한다.
2) 접속 작업준비
① 전선 접속은 소정의 넖은 장소에서 합판, 천막지 등을 깔아 청결한 상태에서 시행 하여야 한다.
② 직선스리브 및 압축인류크람프 내면에 이물질이 있으면 접촉저항을 증가시켜 발열 및 송전선로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전선에 삽입하기 전에 내부를 깨끗이 청소 한다.
③ 압축인류크람프의 점퍼소켓 연결부 및 점퍼소켓의 이물질 부착방지용 테이프는 사전에 제거하지 말고 접속작업 시 제거하여야 한다.
3) 전선의 절단
① 전선 절단 시에는 전선 절단부 부근을 Bind선으로 묶어 알루미늄 소선의 이완을 방지하여야 한다.
② 강심선 압축에 필요한 길이를 재어 전선 양단에 표시한 후 알루미늄 소선을 절단 한다. 이때 강심과 접해 있는 알루미늄 소선은 강심의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1/2 정도만 자른 후 손으로 절단한다.
4) 접속 작업준비
① 전선의 접속부는 철 브러쉬로 잘 닦아 알루미늄 산화피막을 제거한다. 재고전선을 활용할 경우와 같이 제조일로부터 오래 경과된 전선은 내층의 알루미늄 소선도 조심하여 산화피막을 제거하여야 한다
② 알루미늄스리브(압축인류크람프 알루미늄 부위)를 전선 한쪽에 밀어놓고 강스리브 (강크람프)에 강선을 삽입한다.
5) 강스리브(강크람프)의 압축
① 강스리브(강크람프)에 강선을 완전히 삽입한다.
② 다이스 규격을 확인하고 강스리브는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강크람프는 스틸 아이(Eye) 쪽에서 전선방향으로 압축한다(탑상 : 100ton, 지상 : 200ton)
③ 압축은 상, 하 다이스가 완전히 밀착된 것을 확인하고 유압 Gauge 눈금은 85ton정도로 하며 1본의 접속이 완료될 때까지 작업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
④ 압축이 끝나면 압축된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여 굽힘, 홈, 균열, 압축상태의 적정 여부를 조사하고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늘어난 길이가 현저하게 부족 할 경우는 원인을 조사하고 접속부의 강도부족이 우려될 때는 접속을 다시 한다.
⑤ 간이 Gauge로 압축적정 여부를 2~3개소 점검한다.
⑥ 강스리브의 중앙에서 좌우로 알루미늄스리브가 삽입될 길이를 자로 정확히 재어 매직 등으로 쉽게 지워지지 않도록 표시하여 사진 촬영 시 알루미늄스리브 위치가 표시되도록 촬영하여야 한다.
⑦ 정확한 압축상태의 확인 및 기록보존을 위하여 간이 Gauge를 삽입한 상태에서 자를 대고 사진을 촬영한다.
6) 알루미늄스리브 압축
① 알루미늄스리브를 전선의 표시된 위치에 정확히 삽입한다.
② 알루미늄스리브가 중심에서 좌우로 편위될 경우 접촉저항 증가로 인한 발열 및 기계적 강도 저하로 고장유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므로 편위 시공되지 않도록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③ 충전제 주입구 마개를 열고 충전제를 주입한다. 충전제는 강심과 알루미늄 사이의 공극에 빗물 등으로 인한 산화 및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압축 후 알루미늄스리브 양단으로 충전제가 스며 나올 정도로 충분한 양을 주입하고 주입구를 막는다.
④ 압축 시 압축인류크람프 및 스리브 양단의 전선이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에 마닐라로프 등으로 압축부의 1.0~1.5m 지점에서부터 압축부를 향하여 전선의 꼬임을 죄는 방향으로 단단히 감고 로프 끝을 고리로 만들어 나무막대 등을 이용하여 완전히 죄어 압축 시 소선의 늘어남에 의한 전선이완을 억제토록 한다.
⑤ 다이스 규격을 확인하고 알루미늄스리브 편위 여부를 재확인한 다음 압축 시 스리브 및 압축인류크람프의 만곡을 피하기 위하여 전선을 수평으로 유지한다.
⑥ 알루미늄스리브는 중앙에서 좌우로 압축인류크람프는 강크람프의 Steel Eye 측 에서 전선쪽으로 유압기로 압축한다.(탑상 : 100ton, 지상 : 200ton)
⑦ 압축은 상하 다이스가 완전히 밀착된 것을 확인하고 유압 Gauge 눈금은 85ton 정도로 하며 1본의 접속이 완료될 때까지 접속작업을 중단하여서는 안 된다.
⑧ 압축 시 다이스의 조합불량, 전선의 수평유지 불안정, 겹치는 길이의 부적정 등으로 인해 스리브 및 압축인류크람프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7) 압축 후 점검
① 압축이 끝나면 스리브를 육안으로 주의 깊게 관찰하여 굽힘, 홈, 균열, 압축상태의 적정 여부를 조사하고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② 간이 Gauge로 압축 적정 여부를 2~3개소 점검한다.
③ 다이스 틈에 의하여 생긴 알루미늄 편은 줄로 잘 다듬어서 표면이 매끈하도록 한다.
④ 정확한 압축상태의 확인 및 기록 보존을 위하여 간이 Gauge를 삽입한 상태에서 자를 대고 사진을 촬영한다.
8) Joint Protector 취부.
접속이 끝나면 연선 시 스리브 보호를 위한 Joint Protector를 견고하게 취부한다.
9) 기타 유의사항
① 전선 및 지선의 접속 작업은 평탄하고 넓은 장소에서 숙련공이 시행하여야 하며 일출 전, 일몰 후 및 강우, 강설 등 악천후 시는 피하여야 한다.
② 전선 및 지선의 지지점으로 부터 10m 이내의 개소, 주요 공작물 횡단개소, 특수 장경간 개소 등에는 직선스리브가 있어서는 안 된다.
③ 1경간 내 동일 소도체에 스리브가 2개 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
④ 연선 완료 후 Joint Protector 철거 시 스리브 및 부근 전선의 손상 여부를 점검 하여야 한다.
13. 보수스리브
1) 보수스리브의 압축은 전선 및 스리브를 청결히 하고 소정의 도료를 도포한 후 시행 한다.
2) 보수스리브는 알루미늄 소선 단선이 전체 알루미늄 소선수의 10% 이내일 경우이고 보수스리브 1개로 보수 가능할 경우에 사용하고 그 이상의 전선 손상 시는 절단하여 직선스리브로 접속해야 한다.
14. Joint Protector
1) Joint Protector는 직선스리브롤 보호하여 가선용블럭을 통과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강철제의 원통을 2개로 쪼갠 모양의 것으로서 안쪽과 양쪽 끝부분은 고무 등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라야 한다.
2) Joint Protector는 연선장력 2,000㎏ 이내에서 연선 시 전선 Catenary각이 30°이하 개소의 가선용블럭 10개 이하를 통과하도록 해야 한다.
3) 압축접속 완료 후 직선스리브에 페포 등을 감아서 Joint Protector 내부의 연선 방향 끝 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Joint Protector는 철선으로 몇 군데를 꼭 감아서 연선 중에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양단부의 전선은 고무테이프 등으로 감아서 전선 손상을 방지토록 조치하여야 한다.
5) Joint Protector가 가선용블럭을 통과할 때는 연선속도를 늦추어 Joint Protector 통과로 인한 충격을 줄여야 한다.
6) Joint Protector가 연선구간 내 최종 가선용블럭을 통과한 후 Joint Protector를 풀어내고 직선스리브 및 전선의 손상 여부를 점검한 후 연선을 계속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