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7. 10. 25. 11:28


 

급전구분소(SP)

 

급전계통을 구분하고 연장급전을 하기 위해서 변전소와 변전소의 중간 위치 또는 이종 전원을 구분하기 위한 위치에 차단기, 단로기의 개폐장치와 단권변압기 등을 설치한 곳

 

변전소의 변압기가 병렬운전 하려면

1) 양쪽 변전소 전압의 위상차가 이하일 때

2) 변압기 1, 2차의 정격 전압 및 극성이 같을 때

3) 두 변압기의 권선비가 같을 때

4) 두 변압기의 백분율 임피던스가 같을 때

5) 백분율 저항 및 리액턴스 전압 강하비가 같을 때

 

교류차단기(52F), 단로기(89F), 단권변압기(AT), 계기용변압기(CT), 계기용변압기(PT), 소내용변압기(OT), 보호계전기, 방전기(GP), 피뢰기(LA), 등의 설비로 구성, 필요시 CR장치

 

보조급전구분소(SSP)

교류 급전 방식에서만 설치하는 설비

정전구간 단축을 위하여 변전소와 급전구분소 간의 전차선로에 구분장치를 설치하는 곳

 

변압기 포스트(ATP : Auto Tansformer post)

전차선로에 있어서 전압강하의 보상과 통신유도 장래 경감을 위하여 말단에 단권변압기(AT)만 설치하고 개폐장치는 설치하지 않은곳

 

주변압기(스코트 결선)

단권변압기 2대를 사용해서 3상 전원을 2상으로 변압하여 3상 전원을 평행이 되도록 하는 방식

 

단권변압기

1) 원리

철심을 이용하여 코일 2개를 감고 이것을 직렬로 접속해서 1차와 2차의 단자를 인출해논 변압기

2) 급전회로의 전기분포

교류방식에서 급전효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급전회로에 단권변압기(at)급전 방식을 사용

AT2대인 경우의 전류분포(부하점이 중앙에 있는 경우)

전기차는 2대의 AT 중앙에 위치한다.

전기차에 흐르는 부하전류는 100(A)로 한다.

AT1AT2는 부하전류를 균등하게 분담한다.

AT2대인 경우의 전류분포(부하점이 편중되어 있는 경우)

전기차는 AT1AT2 사이에 있고 AT1에서 3:1 지점에 위치한다.

전기차에 흐르는 부하전류는 100(A)로 한다.

AT1AT2에서 공급하는 전류값은 급전거리에 반비례 한다.

 

차단기(CB)

유입차단기

전로의 차단이 절연유를 매질로 하여 동작하는 차단기

탱크형 유입차단기 철재의 탱크 내부의 절연유 등에서 소호를 시키는 것

소유량 유입차단기(MOCA) - 탱크 대신에 자기의 애관을 사용

 

가스차단기(GCB)

전로의 차단이 6불화유황(SF6)과 같은 특수한 기체, 즉 불활성 가스를 소호 매질로 하여 동작하는 차단기

SF6 가스 특성

1) 물리적 화학적 특성

연전달성이 뛰어나다(공기의 약1.6)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므로 매우 안전한 가스다.

무색, 무취, 유해, 불연성의 가스이다.

열적 안전성이 뛰어나다(용매가 없는 상태에서 약500까지 분해되지 않음)

2) 전기적 특성

절연 내력이 높다(평균전계의 1기압에서 공기의 2.5~3.5, 3기압에서 기름과 같은 절연내력을 가짐)

소호 성능이 뛰어나다.

아크가 안정되어 있다.

절연 회복이 빠르다.

 

진공차단기(VCB)

전로의 차단을 좁은 진공 중에서 동작하는 차단기

1) 절연 내력이 상당히 높고

2) 소호 작용이 현저

3) 진공 용기 내에서 소호를 하는 것

4) 무게가 가볍고 불연성, 무소음이며

5) 수명이 길어서 차단기로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고속도, 고밀도 개폐 기능과 차단 성능이 우수하여 22.9(KV) 이하의 전압에서 많이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