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탑 및 풍도접지
옥탑 및 풍도접지
1.작업 순서
1) 가공T/L 인입용 완금 접지선 인출은 옥상층 벽체 및 바닥 철근배근 완료 후에 시행한다.
2) 가공지선 인입용 완금 접지선 인출은 풍도 벽체 철근배근 완료후에 시행한다.
3) 가공지선 및 T/L 인입 지지용 완금의 접지를 위한 접지선의 인출은 주접지 망에 연결되어 기둥으로 입상된 접지선에서 인출한다.
4) 가공지선은 인입용 완금에 접지하여 주접지망과 연결 접지 한다.
5) 옥상층에 장차 S.C 등 전력 기기의 추가 설치를 고려하여 옥상층 바닥 각기 둥에서 접지선을 인출한다.
6) 옥상층 각기둥에서 인출되는 접지선은 모세관 현상에 의한 수분이 건축 구조물로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지선에 방수 슬리브를 찍어 콘크리트면 인출부에 설치한다.
2. 기기의 접지
1) 모든 기기 및 가대는 접지망 범위 내에 설치하며 접지망과 연결한다.
2) 모든 기기의 외함을 접지망에 접지 한다.
3) 접지선 절단 보호대책으로 접지망과 연결시 한쪽의 절단을 감안하여 접지망 양쪽 2개소에서 분리 접속한다.
4) M.Tr, CB, Sh.R 등 전력 기기용 연결 접지선은 주접지망과 같은 규격의 전선을 접속 효과의 향상을 위하여 1개의 접지선을 2선용 단자에 Ring으로 돌려 압축 후 접지망의 2개소에 분리 접속한다.
5) 써지(Surge) 유입점(변압기 중성점, CVT, LA, GIS 외함 등의 연결지점)의 연결 접지망은 과도적 전위 분포를 감안하여 설계 도면에 따라 시공한다.
(1) 접지망의 간격을 조밀하게 시공한다.
(2) 기기 직하 부분에 보조 접지망을 추가 포설한다.
(3) 침상 전극 봉을 추가 포설한다.
6) GIS는 고장 전류의 통전, DS 개폐에 따른 급준 과도전압의 발생 등에 대한 대책으로 SF 6 가스(Gas) 구획 구간 Spacer 전후 외함의 접지 본딩 등 제작자의 지침을 준수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시공되어야 한다.
7) 기기용 접지단자 설치시 접지단자 설치위치가 도장되어 있는 경우는 페인트를 완전히 제거하고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8) 수도관, 전선관, 가공지선, 건물의 철근, 케이블 시이스 등의 모든 소내 시설물은 반드시 접지망과 연결한다.
9) 격리된 철 구조물이 변전소 내에 설치될 경우 가장 가까운 접지된 철구조물에 연결하거나 직접 구내 접지망에 100㎟ 이상의 나 연동연선 또는 GV 전선 으로 연결한다.
10) 주 건축구조물 밖에 설치되는 노출 금속 파이프는 30m 마다 접지하고 파이 프의 접속 부분이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 되어야할 경우에는 본딩 점퍼 (Bonding Jumper)를 사용한다. 주 건축구조물 내의 파이프는 파이프 지지물이 접지망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속성이 보장되면 접지된 것으로 한다.
3 주요 착안 사항
1) 기기 접지용 접지선은 기기 설치시 손상을 입지 않도록 다발로 묶어서 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만일 손상된 접지선이 발생할 경우는 즉시 교체하여야 한다.
2) 기기 접지용으로 접지선이 콘크리트 기초에서 인출될 때 인출부분(Pig Tail)은 추가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를 고려하여 보호되어야 함과 동시에 충분한 여유를 두어야 한다. 설치 기기 또는 가대의 접지 패드에 접지선의 연결이 가능하면 추가 콘크리트 타설 전에 접지선을 연결하도록 한다.
3) 각종 기기용 접지선이 콘크리트 슬리브(또는 기초)를 관통하여 인출될 경우 에는 접지선 노출부위 접지선 소선의 손상과 오물(시멘트, 물)로부터 오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지선 노출 부위에 적정한 규격의 PVC 파이프 또는 비닐 튜브를 삽입하여 인출한다.
4) 접지단자를 설치할 때에는 기기 및 가대와 최대한 접촉 면적을 크게 한다.
5) 주접지망이 포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비 증설 등을 위한 기초 굴착 시에는 접지망이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하며 시공 중 파손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굴착 부위의 접지선을 절단 후 굴착 저면에 새로운 접지망을 포설한 다음 절단 개소에서는 2중으로 접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