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자 설치
애자 설치
1.작업 순서
1) 지지애자 설치
(1) 지지애자 포장재를 해체하고 애자의 표면을 깨끗이 청소한 후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양호한 것만 사용한다.
(2) 지지애자 Base부분 볼트설치 간격과 지지가대 Plate의 볼트설치 간격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3) 지지애자를 상부로 달아 올릴 때는 애자 날개가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지지애자 고정용 볼트의 조임을 확실히 한다.
2) 애자장치 설치
(1) 애자는 사용전 필히 건조하고 깨끗한 걸레로 청소하고 그 손상 여부를 확인한 후 절연저항을 측정(1000V 메거로 무한대)양호한 것만 사용한다.
(2) 애자의 연결개수는 오손지역별 표준 연결개수에 의하여 연결한다.
(3) 애자련을 인상시는 철구류 등에 접촉으로 인한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애자장치의 설치시 위치, 방향이 틀리지 않도록 한다.
2. 주요 착안 사항
1) 조립시 유의사항
(1) 규격, 치수, 조합은 장치도와 일치 하는가
(2) 애자 개수 및 애자 마크의 방향과 분할 핀(Split Pin)의 벌림은 좋은가
(3) 이색 애자가 계획대로 조립되어 있는 가
(4) 볼트의 방향, 사용 상태는 적정한 가
(5) 너트의 조임은 적정한 가
(6) 애자의 오손, 파손은 없는 가
(7) 분할핀 착․탈기를 바르게 사용하는 가
(8) 분할 핀 삽입 후 볼트에 표시하는 방법 등으로 탈락방지를 확인한다.
2) 애자 의 설치개수
애자 의 개수[( ) : 내장형]
지역 전압 | A | B | C | D |
23㎸ 154㎸ 345㎸ 765kv (400kN내무) | 2 24(22) 33 | 2 29(26) 38 | 2 32(29) 45 | 2 35(32) 50 |
3) 너트류, 소켓류 등의 취부기준
(1) 접지 측 금구의 코터볼트에 사용하는 핀은 90°이상 벌려준다.
(2) 선로 측 금구의 코터볼트에 사용하는 핀은 코로나 방지를 고려하여 확실히 벌려 감아준다.
(3) 현수 클램프의 체결볼트는 지정된 체결 토오크(Torque)로 확실히 조이고, 체결방법은 각각의 볼트에 하중이 균등하게 가해지도록 체결한다.
너트류, 소켓류 등의 설치방향
구 분 | 현수애자 장치 | 내장애자 장치 |
너트류 방향 | 탑제측, 전원측 또는 내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 접지측 금구의 너트는 탑제측, 상측을 향하도록 한다. |
소켓의 방향 | 소켓 및 소켓링의 핀 머리부는 탑제측, 전원측, 또는 도체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 소켓 및 소켓링의 핀 머리부는 전부 위를 향하도록 한다 |
기 타 | 접지측 금구는 전부 접지측 으로부터 선로측으로 체결한다. | 이도 조정 금구는 조립시 ±0의 중립 위치로 조립한다. |
모선 설치
1.작업 순서
1) 전선의 가선
(1) 모선 설치시 전선이 지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적당한 부목 및 가마니 등을 사용하여 전선의 손상을 방지한다.
(2) 전선을 설치시 전선의 꼬임이 발생치 않도록 한다.
(3) 모선작업시는 전선 이도를 결정한 후 지상에서 전선의 실제 길이를 정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취하여야 하며 가능한 손실이 적도록 신중히 작업하여야 한다.
(4) 모든 설치는 전기적, 기계적으로 충분하여야 하며 미려(美麗)하게 설치하 여야 한다.
(5) 모선 및 잠바선의 설치는 3상이 동일 형상이 되도록 시공에 신중하여야 한다.
(6) 모선과 연결되는 각 기기의 붓싱에는 써머스 테이프를 사용하여야 한다.
2) 전선의 절단
(1) 절단 부분을 바인드로 묶어 전선의 이완을 방지한다.
(2) 전선의 절단은 쇠톱을 이용하여 단면을 깨끗하게 절단한다.
(3) ACSR전선의 강심선 압축을 위하여 절단시는 강심선 압축에 필요한 길이를 재어 전선 양단에 표시한 후 알루미늄 소선을 절단한다. 이 때 강심선과 접해있는 알루미늄 소선은 강심선의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1/2정도만 자른후 손으로 절단한다.
3) Al Tube 모선설치
(1) 통전 접속용 금구류를 설치 할 때는 접촉면을 깨끗한 헝겊으로 잘 닦아낸후 도전성 콤파운드(Pentrox-A-Compound)를 바르고 접속해야 하며 금구류를 교환하거나 방향을 바꾸는 등 일단 접속을 때었다가 다시 설치하는 경우에도 필히 위와같은 과정을 되풀이 해야하고 여분의 콤파운드(Compound) 는 깨끗한 헝겊으로 닦아내야 한다.
(2) 금구는 취급전에 지상에서 금구 및 볼트, 너트를 일차 결합하여 점검한다.
(3) 금구류 볼트를 조일때는 모든 볼트가 똑같은 힘을 받도록 조임을 한다.
(4) Main Bus 및 Transfer Bus에 설치하는 Al Tube는 습기방지를 위하여 단위장 길이의 중앙 하단에 직경 10㎜의 구멍을 뚫는다.
(5) Main Bus 및 Transfer Bus에 설치하는 Al Tube안에는 진동방지용 ACSR을 넣는다.
4) 동대모선 설치
(1) 금구류 볼트 조일 때는 모든 볼트가 똑같이 힘을 받도록 조임을 한다.
(2) 모선 절연간격(상간, 대지간) 적정성을 확인한다.
(3) 모선 높이의 적정성을 확인한다.
(4) 모선 도체 규격의 설계치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5) 모선 허용 처짐의 적정성을 고려 지지 점을 개소를 검토 시공한다.
(6) 모선 수축 팽창 대에 Flexible 시공 유무를 결정한다.
(7) 동대 반곡 불량으로 인한 불필요한 장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접촉 불량으로 인한 접촉저항 증가로 과열 발생요인을 예방한다.
5) 분기선 접속
(1) 분기선의 접속은 모선의 이도 조정 완료 후 시공한다
(2) 분기선은 진동 및 횡진에 의해서도 절연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 분기선을 각종 기기의 단자와 접속시는 단자에 무리한 장력을 가해서는 안되며 잠바선 또는 모선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적당한 장력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4) 각종 기기의 단자와 접속하는 개소는 단자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시공 하여야 한다.
2 주요 착안 사항
1) Al Tube 모선설치시 유의사항
(1) Al Tube 배선시 설계도면에 의해 재단 및 설치를 하고 표면에 흠이 생기지 않도록 유의한다.
(2) Al Tube 절단시 절단면에서 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감처리한 후 Bus Coupler를 설치하며 절단 시 안전에 유의한다.
2) 동대모선 설치시 유의사항
(1) 동대 배선시 설계도면에 의해 재단 및 설치를 하고 표면에 흠이 생기지 않도록 유의한다.
(2) 동대 절단시 절단면에서 접촉 불량 면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감처리한 후 Bus 크램프(Clamp) 및 단자를 설치하며 절단 시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3) 금구는 설치전에 지상에서 금수 및 볼트, 너트를 일차 결함이 있는 금구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3) 765㎸ 변전소 형식 선정
(1) 765㎸ 변전소 형식을 옥외철구형, 옥외 GIS형, 옥내 GIS형으로 구별하여 비교한 결과 옥외 철구형은 정지면적만 10만평이 넘어 전체 20~30만 평을 확보해야 하므로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2) 옥내 GIS형은 옥외 GIS형보다 더 Compact하게 건설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765㎸ 송전선로의 지중화가 불가능하므로 건설 의미가 없다.
(3) 변전소 형식을 결정할 때 경제성, 안전성, 신뢰성, 환경문제 등을 종합적 으로 비교 검토하여 신중히 결정하여야 한다.
(4) 765㎸ 변전소 형식은 상기 검토항목을 종합 검토한 결과 옥외 Full GIS형 으로 선정하였다.
(5) 참고사항으로 외국은 국토가 광활한 미국, 캐나다에서는 옥외철구형 변전 소가 많고, 남아공 765㎸ Alpha S/S는 반옥내 GIS형, 제반여건이 우리와 비숫한 일본의 경우 500㎸ 변전소 일부 및 1000㎸ 변전소는 옥외 Full GIS 변전소를 채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