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기술자료/전기이론

계통보호 고장 유형 (故障類型)

양 회장 2017. 12. 11. 09:06


고장 유형 (故障類型)



1. 3상 단락 고장(Three-phase Ffault)
동일한 전압회로 3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동시에 상호 접촉된 고장을 말한다. 예시) a-b-c, a-b-c-g


2. 2상 단락 고장(Phase-to-phase)
동일한 전압회로에서 절연되어 있는 충전부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다른 충전부와 상호 접촉된 고장을 말한다. 예시) a-b, b-c, c-a


3. 2상 단지락 고장(Two-phase-to-ground)
단락과 지락 고장이 동시에 발생하는 고장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영상전압, 영상전류가 존재하는 2상 고장을 단지락 고장이라고 한다.
예시) a-b-g, b-c-g, c-a-g


4. 1선 지락 고장(Phase-to-ground)
절연되어 있는 충전부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대지와 접속되어 고장이 발생하는것을 말한다.
예시) a-g, b-g, c-g



시간에 따른 고장



1. 순간고장(瞬間故障, Instantaneous Fault)
동물의 접촉, 수목 접촉, 낙뢰 등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고장이 발생하였다가 자연 소멸되거나 전압을 한번 무압시켰다가 다시 인가하면 자연 복구되는 고장을 순간고 장이라 한다.


2. 영구고장(永久故障, Permanent Fault)
전선의 단락, 변압기의 고장, 지지물의 넘어짐 등과 같이 즉시 복구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고장이 지속되는 것을 영구고장이라 한다.



3 위치에 따른 고장


1) 내부고장(內部故障, Internal Fault)
계전기의 보호구간(계전기 설치단)의 고장을 내부고장 이라 하며, 그림(1)에서 Relay1, 2에서 보면 Ry 1 과 Ry 2 사이 구간내의 고장을 말한다. 따라서 Ry 1 , Ry 2 에서 보면 F 1 지점의 고장은 내부고장이다.


2) 외부고장(內部故障, External Fault)
계전기의 보호구간(계전기 설치단) 바깥쪽의 고장을 외부고장이라 하며, 외부고 장은 양 Relay사이 구간을 제외한 모든 곳의 고장을 외부 고장이라 한다.


3) 다중고장(多重故障, Multi Fault)
여러 전력설비에 동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를 다중 고장이라 하며, 예를 들면 2회선 송전선로에 #1송전선로와 #2송전선로에 동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나, 변전소 모선과 송전선로가 동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등이 있다.


4) 진전고장(進展故障, Evolving Fault)
전력설비의 단상(A상)고장이 다상(AB상 또는 ABC상) 고장으로 시간차를 두고 확대되는 현상을 진전고장이라 한다.



4 고장점저항 (故障点抵抗, Fault Resistance)
전력기기 또는 송전선에서 단락 또는 지락고장시에 고장점에 발생하는 Arc저항 및 접촉저항을 고장점 저항이라 한다. 아크저항(Arc resistance)은 선간 또는 상과 대지 간의 고장시 발생되는 Arc는 유효전력을 소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Arc는 저항으로 취급한다



5 계통구성에 따른 선로 구분


1) 환상선로(環狀線路, Loop Line)
폐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선로를 환상선로라 한다.


2) 방사상선로(放射狀線路, Radial Line)
전원에서부터 나뭇가지처럼 뻗어나가 어떤 지점에서든지 폐로가 되지 않은 선로를 방사상선로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