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기술자료/전기이론

계통보호 점검의 종류

양 회장 2017. 12. 11. 10:49


계통보호 점검의 종류



1. 기능 시험(Functional Test)
1) 정특성 시험 (Steady-State Test) 보호계전기 시험장비를 통한 각 계전요소의 동작치, 복귀치, 동작시간, 복귀시간, 위상특성의 정확도 등을 측정 하여 성능을 검증하는 시험을 정특성 시험이라 한다.
2) 동특성 시험 (Dynamic Test) 과도현상을 비롯한 계통 특수현상에 대하여 실제 고장이 발생한 때와 같이 전압, 전류의 급변하는 신호를 주어 그때의 각 계전요소의 동작을 확인하는 시험을 동특성시 험이라 한다.


2. 실계통모의시험
각종 계전기 보호대상물의 특성을 실제와 동일하도록 축소 또는 조작이 용이하게 모형을 만들거나, RTDS(Real Time Digital Simulator)를 이용하여 모델링 하고, 여기에 각종 고장 및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때를 가상하여 이에 대응하는 입력을 인가하였을 때 계전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시험을 말한다. 실계통모의시험은 동특성시험의 하나이다.


3. 연동시험(連動試驗)
보호계전기와 모든 설비가 정상적인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계전기를 인위적으로 동작시켜 관련 보조 계전기 및 기기 등의 동작상태의 정상 유무를 확인하는 시험을 연동시험이라 한다.


4. 준공시험(竣工試驗)
계전기의 신설이나 증설했을 경우 사용장소에 설치, 취부 후 사용 개시 전에 현지에서 계전기 자체의 특성과 회로구성의 양부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을 말하며 가장 중요한 시험이다.


5. 선로정수측정 시험
선로정수 측정 장비를 통하여 송전선로 정상분, 영상분 임피던스 등을 측정하는 시험을 말한다.



점검의 종류


1. 초기점검(初期點檢)
설비준공 후 1년 이내에 정기점검에 준하여 시행하며, 보호계전기 및 이와 관련된 설비 내·외부의 이상 유무를 확인 점검한다.


2. 정기점검(定期點檢)
운전중에 특성(동작치, 동작시간등)의 변화여부를 준공시험시 행한 치와 비교 확인하여 양부를 정기적으로 판정하는 시험을 정기점검이라 하며, 계전기의 시험에서는 구조검사, 특성시험과 계전장치의 일반구조 배선검사, 종합동작시험, 절연저항측정, 잔류전압(전류) 측정 등을 시행한다.


3. 임시점검(臨時點檢)
보호계전기, 계기용 변성기류의 교체, 회로의 변경(직 류회로, 계기용변성기의 이차회로), 기타 필요하다고 인정 되는 경우에 하는 점검을 임시점검이라 하며 특히 우리 계통에서는 주로 계전기 오동작 원인규명 등이 이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