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안전.대책

감전사고 특성

양 회장 2017. 12. 20. 15:58


감전사고 특성



전기는 현대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에너지이지만 잘못된 취급과 관리소 홀로 설비손상은 물론 많은 인명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ㅇ 감전이란 사람의 몸을 통과하는 전류에 의한 생리·화학적반응을 말한다.
ㅇ 감전사고란 전기에너지에 의한 인적피해를 총칭하고 있어 상용전력 에너지 외에도 정전기 및 낙뢰에 의한 사고를 포함하고 있다.


1. 감전사고의 형태
① 충전 도체에 인체가 접촉하는 경우

(1) 피복이 손상된 전선을 직접 만지거나 전기기기의 노출 충전부에 직접 접촉 되었을 때 인체를 통해 지락전류가 흘러 감전되는 경우

(2) 전기작업이나 일반작업 중에 발생하는 대부분의 감전사고가 여기에 속함


② 누전되는 전기기기에 인체가 접촉하는 경우

(1) 누전상태에 있는 전기기기에 접촉되어 인체를 통해 누전전류가 흘러 감전되는 경우

(2) 절연불량의 전기기기 등에 인체가 접촉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불량 전기설비가 시설된 철구조물 등에 인체가 접촉되어 발생하는 경우


③ 전기회로에 인체가 단락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

(1). 전기통로에 접촉되어 단락되거나 또는 단락회로의 일부를 구성하여 감전되는 경우

(2) 전압이 걸려있는 두 전선 사이에 인체가 직접 또는 도전성이 있는 물체를 통하여 접촉된 경우 * 교류 아크 용접기에 의한 작업 중 발생하는 감전사고 등


④ 고전압의 전선로 또는 전기기기에 인체가 근접하여 섬락이 발생한 경우

(1) 고전압의 전선로 또는 전기기기의 충전부에 너무 가깝게 접근하여 공기의 절연파괴 현상이 일어나 아크 발생으로 화상을 입거나 인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


⑤ 초고압의 전선로에 인체가 근접하여 정전유도작용에 의해 대전된 전하가 접지된 금속체를 통해 방전하는 경우

(1) 전기유도현상으로 인해 인체를 통과하는 전류가 발생하여 감전되는 경우로 주로 초고압 전선로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

(2) 작게는 찌릿한 느낌에서 크게는 전격에 의한 사망재해 유발


⑥ 낙뢰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1) 낙뢰에 의한 전류경로는 IEC 60479-4에 크게 직격뢰, 접촉전압, 측면 방전, 보폭전압의 4가지 경로로 구분 (2) 낙뢰의 피해로는 사망, 심장과 폐의 상해, 의식의 상실, 신경 장애, 기억상실, 수면장애, 기억장애, 화상, 피부반점, 타박상 등이 있음



2. 감전사망에 이르는 주요 요인
① 전류가 심장부로 흘러 심실세동에 의한 혈액순환 기능장애 발생
② 전류가 뇌의 호흡 중추부로 흘렀을 때 호흡 기능에 장애 발생

③ 전류가 흉부에 흘렀을 때 흉부의 수축으로 인한 질식



3. 감전으로 인한 부상사고의 형태
③ 전류가 인체를 통전하였을 때 인체 내부조직의 저항에 의한 주울 (Joule)열에 의한 화상
④ 아크 및 스파크의 높은 열에 의한 화상, 전도, 추락에 의한 2차 재해 발생과 복합 재해 발생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