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안전.대책

감전사고 시 조치사항

양 회장 2017. 12. 20. 16:02


감전사고 시 조치사항


1. 감전사고자의 구출
① 피해자가 접촉된 충전부나 누전된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위험지역 에서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대피


2. 감전사고 발생 시 조치사항
① 최우선적으로 전원스위치부터 차단해야 한다.
② 차단이 불가능할 경우, 전선 등 감전부위로부터 감전사고자를 분리


3. 감전자의 상태확인
① 의식상태
② 호흡상태
③ 맥박상태를 신속 확인하고 (높은 곳에서 추락 한 경우에는)
④ 출혈의 상태
⑤ 골절의 유무를 확인한다.


4. 응급조치 개요
① 전기충격의 가장 위험한 결과는 정상박동을 하던 심장에 전기적 충격이 가해져 생기는 심실세동 현상으로 심장마비와 호흡정지이다.
② 전기충격 등에 의해 호홉이 정지되었을 경우 혈액 중 산소함유량이 감소되기 시작하여 약 1분정도가 지나면 산소결핍으로 여러 증세가 나타남 1. 뇌의 경우 는 산소결핍에 대한 저항력이 아주 약하기 때문에 호흡정지 상태가 3~5분간 계속되면 그 기능 이 마비
③ 단시간 내에 인공호흡 및 심장마사지 등 응급조치를 실시할 경우 감전 사망자의 약 95% 이상을 소생시킬 수 있다.


5. 응급조치 요령
① 기도확보

(1) 제일 먼저 사고자를 바르게 눕힌 후 호흡이 쉽도록 아래턱을 들어 올리고 머리를 뒤로 젖혀서 기도 확보

(2) 사고자의 목구멍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손가락으로 혀를 꺼내주고 이물질이 막혀 있을 경우 신속하게 제거

(3) 이는 단순 질식사를 방지 하고 인공호흡을 실시하기 위한 전 단계 조치로서 매우 중요


② 인공호흡

(1) 사고자의 폐에 인공적으로 공기를 출입시켜 폐기능이 스스로 회복되 도록 하는 것

(2) 인공호흡 실시는 시기가 빠를수록 소생률이 높으므로 (1분 이내 인공 호흡 시 소생률 95%) 기도확보와 동시에 인공호흡 실시 * 인공호흡 속도는 약 4초 간격으로 30분 이상 반복 실시한다.
(3) 심장이 정지된 경우에도 인공호흡을 계속 실시하며 현장에서 인공 호흡으로 소생된 이후에는 지체 없이 병원으로 이송


③ 심장마사지

(1) 강한 감전(전격)으로 심실세동을 일으켜 심장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 심장을 외부에서 자극하여 다시 소생시켜야 한다.
(2) 심장이 정지된 경우 호흡이 대부분 정지되므로 심장마사지와 인공 호흡을 동시에 병행하는 것이 좋다.(심폐소생법)

(3) 심장마사지 방법으로는 흉골 사이를 매초 1회 정도(인공호흡 1회에 5번 정도) 압박하는 방법으로 30분 이상 실시


④ 자동심장제세동기(AED)

(1) 급심정지로 심장이 기능을 상실하여 혈류(산소)공급이 중단되어 생명이 위급할 때 심장의 기능을 회복하는 데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