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8. 1. 2. 13:28


전기부문 권장사항


1. 수변전 설비

1) 변전설비는 부하의 특성, 수용율, 장래의 부하증가에 따른 여유율, 운전조건, 배전방식을 고려하여 용량을 산정한다.

2) 부하특성, 부하종류, 계절부하 등을 고려하여 변압기의 운전대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뱅크를 구성한다.

3) 수전전압 25KV이하의 수전설비에서는 변압기의 무부하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충분한 안전성이 확보된다면 직접강압방식을 채택하며 건축물의 규모, 부하특성, 부하용량, 간선손실, 전압강하 등을 고려하여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변압 방식을 채택한다.

4)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예측하고 최대수용전력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최대 수요전력 제어설비를 채택한다.

5) 역률개선용 콘덴서를 집합 설치하는 경우에는 역률 자동조절장치를 설치한다.

6) 임대가 주목적인 건축물은 층별 및 임대 구획별로 전력량계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합리적으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2. 동력설비

1) 승강기 구동용 전동기의 제어방식은 에너지절약적 제어방식으로 한다.

2) 전동기는 고효율 유도전동기를 채택한다. 다만,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소방설비용 전동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조명설비

1) 옥외 등은 고휘도방전램프(HID Lamp : High Intensity Dis chanrge Lamp) 또는 LED 램프를 사용하고, 옥외 등의 조명회로는 격등 점등과 자동점멸기에 의한 점멸이 가능하도록 한다.

2) 공통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자연채광용 개구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주위 밝기를 감지하여 전등군별로 자동점멸되거나 스케즐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조명전력이 효과적으로 절감 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지하2층 이하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3) 유도등은 고효율인증제품인 LED유도등을 설치한다.

4) 조명기기 중 백열전구는 비상용 조명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아니한다.


4. 제어설비

1) 여러대의 승강기가 설치되는 경우외는 군관리 운행방식을 채택한다.

2) 팬코일유닛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원의 방위별, 실의 용도별 통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3) 수변전설비는 종합감시제어 및 기록이 가능한 자동제어 설비를 채택한다.

4) 실내 조명설비는 군별 또는 회로별로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5. 사용하지 않는 기기에서 소비하는 대기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도어폰, 홈게이트웨이 등은 대기전력 저감 우수제품으로 등록된 제품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