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기술자료/전차선

급전선 및 비절연보호선

양 회장 2018. 11. 29. 10:04


급전선 및 비절연보호선



1. 급전선 및 비절연보호선의 종류

AF(Auto Transformer Feeder)AT구간 급전선

TF(Troney Feeder)AT구간 전차선 급전용



2. 점검설비 및 요소

- 급전선 현수설비

- 급전선 인류설비

- 가공급전선 및 보호선

- 가공전선의 이도 및 장력

 

1) 급전선 현수설비

완철지지용





급전선 현수설비(완철지지용)




- 급전선 애자()

- 급전선 현수설비 연결부()

- 급전선 현수클램프()

- 삼각평철()

- 완철()

- 완철지지금구()



빔하부 지지용



급전선 현수설비(빔하부지지용)


- 급전선 애자()

- 급전선 현수설비 연결부()

- 급전선 현수클램프()

- 급전선 현수설비 지지금구()

- 조립빔()



2) 급전선 인류설비

빔인류용



급전선 인류설비(빔인류용)


- 급전선 애자()

- 급전선 인류설비 연결부()

- 급전선 내장클램프()

- 보호용 슬리브()


전주인류용





급전선 인류설비(전주인류용)



- 급전선 애자()

- 급전선 인류설비 연결부()

- 급전선 내장클램프()

- 보호용 슬리브()

 

3) 가공급전선 및 비절연보호선

급전선 및 보호선에서 소선의 가닥단선이 발견되면 기술점검으로 소선의 가닥단선의 수를 점검한다. 조치될 유지보수작업은 소선의 가닥단선 수에 따라 결정된다.

 

말단인류용



급전선 인류설비(말단인류용)


- 급전선 애자()

- 급전선 인류설비 연결부()

- 급전선 내장클램프()

- 지지금구()


4) 가공전선의 이도 및 장력

전선에 대한 장력점검은 이도나 장선기 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선의 장력이나 이도에 대한 다양한 기준값은 전선의 장력이도표와 같이 온도와 경간에 따라 달라진다.

 

전선이도 측정에 의한 장력의 산출

전선의 장력을 산출하기 위하여 다음 두가지 작업이 측정되어야 한다.

- 경간 중간에서의 전선이도 측정

- 전선의 온도측정

 

전선이도의 측정은 계측기가 장치된 측량기로 수행된다. 측정이 완료되면 전선의 기계적 장력은 아래의 공식으로 산출된다.


T=WS2/8D


T : 전선의 장력[kgf]

D : 경간중간의 이도[m]

W : 전선의 중량[kgf]

S : 전주경간[m]


전선의 실제 장력이 계산되면 전선의 장력 이도표에 제시된 값과 비교한다.

측정된 값이 적합하지 않아 절연이격거리에 영향을 미친다면 급전선 및 보호선 유지보수지침에 준하여 구간 장력조정을 계획한다.

 

 

장선기를 이용한 장력측정

장선기에 의한 측정작업은 전선 위에 장력계와 장선기를 고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선이 느슨해 진다면 기계적 장력과 온도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전선의 실제 기계적 장력이 측정되면 전선의 장력이도표에 제시된 값과 비교한다.


출처- 공항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