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기술자료/전차선

R-bar급전선 및 비절연보호선의 종류

양 회장 2018. 11. 30. 09:14


R-bar급전선 및 비절연보호선의 종류



가공급전선(AF) ()

절연급전선(TF)

가공비절연보호선(FPW) ()

공동지선(GW) ()


급전선 및 비절연보호선 설치 단면도



1. 가공급전선

- 지지금구()

- 지지애자(NSP 50) ()

- 급전선 지지 클램프 ()

- 피복절연전선(Cu-oc 200) ()


가공급전선



) 점검설비 및 요소

참고자료와의 일치 및 적합성(설계도면, 장주도)

- 조립품의 빠진 부품이 없는지 확인한다.

- 곡선응력에 지지애자 기울어지는 점검한다.

급전선의 절연이격거리

- 급전선과 접지물간 300[]이상

- 급전선과 합성전차선 상호간 550[]이상



2. 절연급전선(TF)

절연급전선은 변전소, 급전소에서 전차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으로 66H.CV 200[/1C] 케이블을 사용한다.



터널 내에서 급전 케이블의 지지는 플라스틱 크리트(Cleat)를 사용하며 급전 케이블은 단말처리에 의해 R-bar와 접속한다.

절연급전선은 아래의 요소를 포함한다.

- CV 케이블()

- 케이블 헤드()

- 분기용 슬리브()

- 급전분기장치()


절연급전선 접속개소




) 점검설비 및 요소

케이블 단말

- 케이블 헤드의 위치를 점검한다.

- 단말부의 변형여부를 점검한다.

- 스커트에 트래킹 현상여부를 점검한다.

급전분기장치

- 급전분기선은 100[] 이상의 연동연선을 사용한다.

- 말단 터미널 러그상태를 점검한다.

- 급전장치에 의해 R-bar와 접속한다.

- 급전분기선의 소선의 가닥단선 수 점검


 

3. 비절연보호선(FPW, GW)

비절연보호선에서 소선의 가닥단선이 발견되면 기술점검으로 소선의 가닥단선수를 점검한다.


출처-공항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