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회장 2018. 11. 30. 10:11



1. 철 주


. 철주의 종류

조립철주

H형강주

강관주


. 점검 요소

전주의 수직상태

단독지지주로 사용하는 철주의 휨량 제한

 

1) 전주의 수직상태 점검

) 전주의 수직상태는 표준장주도와 전주의 조립도면에 기초하여 점검된다.

) 전주의 수직도는 전주가 설치될 때 실제적으로 수직이 될 수 있도록 산정된다. 이를 위해 전주가 설치될 때 전주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사전이도를 산정하고 이 값에 따라 전주는 수직으로 설 수 있다.

) 계산상의 실수, 조립자체의 결함 또는 빔의 특성 때문에 전주가 설치될 때 경사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주의 경사는 지반의 움직임 때문에 일어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몇 번에 걸쳐 경사도를 측정하므로써 전주의 수직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 다음과 같은 조건에 대하여는 전주의 경사가 인정된다.

- 조가선과 전차선의 높이와 편위를 정상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조건

- 전주의 수직경사도가 이전의 측정값과 같은 조건

 

2) 단독지지주로 사용하는 철주의 휨량 제한

) 갑종풍압하중에 의한 철주의 휨량은 레일면의 7[m] 높이에서 100[]이하로

한다.

) 풍속 30[]에서 풍압하중에 의한 철주의 휨은 전차선 높이에서 50[]이하로

한다.

 


2. 고정빔


. 고정빔의 종류

4각 트러스 빔

4각 트러스 라멘 빔

강관 빔



1) 고정빔의 호칭

호 칭

길 이(전주 중심간의 거리)

호 칭

길 이(전주 중심간의 거리)

1선용

6m까지

6선용

22m 초과 - 26m까지

2선용

6m 초과 - 10m까지

7선용

26m 초과 - 30m까지

3선용

10m 초과 - 14m까지

8선용

30m 초과 - 34m까지

4선용

14m 초과 - 18m까지

9선용

34m 초과 - 38m까지

5선용

18m 초과 - 22m까지

10선용

38m 초과 - 42m까지



 2) 고정빔의 사용구분


구 분

사 용 법

비 고

2, 3선용

(14m까지)

크로스빔, 평면트러스빔, V형트러스빔,

V형트러스라멘빔, 4각트러스빔, 강관빔, 챤넬빔

 

4선용

(14m초과 18m까지)

V형트러스라멘빔, 4각트러스빔, 강관빔

 

5선용

(18m초과 22m까지)

V형트러스라멘빔, 4각트러스빔, 강관빔, 스팬선빔

 

6선용

(22m초과 26m까지)

V형트러스라멘빔, 4각트러스라멘빔, 강관빔,

스팬선빔

 

7선용

(26m초과 30m까지)

4각트러스라멘빔, 강관빔, 스팬선빔

 

8선용

(30m초과 34m까지)

4각트러스라멘빔, 강관빔, 스팬선빔

 

9선용

(34m초과 38m까지)

4각트러스라멘빔, 강관빔, 스팬선빔

 

10선용 이상

스팬선빔

 

인출(모선)

V형트러스라멘빔, 4각트러스빔, 강관빔

 



. 점검설비 및 요소


고점빔주의 수평상태

 

) 고정빔의 수평상태는 전주의 수직상태와 빔의 조립도면에 기초하여 점검된다.

) 빔의 수평도는 빔이 설치될 때 실제적으로 수평이 될 수 있도록 산정된다. 이를 위해 빔이 설치될 때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캠바(cambar)를 산정하고 이 값에 따라 빔은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다.

) 계산상의 실수, 조립자체의 결함 또는 빔의 특성 때문에 빔이 설치될 때 처짐이 발생할 수도 있다.

) 전주의 침하 및 경사로 인하며 빔의 경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 빔설치 밴드의 미끄러짐에 의해 빔상태가 경사질 수도 있다.

) 평행구간 등에서 빔자체가 비틀어지는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3. 하수강


. 하수강의 종류

빔개소

역사하부개소


. 점검 요소

하수강의 수직상태

1) 하수강의 수직상태 점검

) 하수강의 수직상태는 빔의 조립도면에 기초하여 점검된다.

) 하수강의 조립자체의 결함 또는 빔의 특성 때문에 하수강의 경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

) 하수강의 수직 경사도가 이전의 측정값과 같은 조건에 대하여는 하수강의 경사가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