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장비차량 관리방법
겨울철 장비차량 관리방법
1. 엔진관리
1) 점검
- 엔진오일
엔진오일은 우리사무소에서 지정된 오일(SAE 15W40)을 사용하여야 하며, 장비가동 전․후에는 반드시 점검하고 부족시 보충한다.
- 냉각수
동파방지를 위하여 냉각수의 부동액 비중은 ‘11년도 동절기 예방점검시 우리사무소에서 적정비중(-30-35℃) 농도를 맞추었으나, 사용중 냉각수 부족 등으로 비중이 낮아진 장비는 부동액을 보충하시어 적정비중으로 조정한다.
- 연료 관리
․ 외기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연료탱크 내,외부 온도차로 인해 탱크 내부에 수증기가 응집되어 물이 생기게 되므로 매일 작업 후에는 반드시 탱크 드레인 코크를 열어 물을 배출시켜야 하며 연료공급 라인에 있는 유수 분리기의 물도 배출한다.
․ 매일 작업종료 즉시 물을 배출시키지 않을 시 응집된 물이 얼어붙게 되고, 이때 물의 양이 많으면 연료공급 라인 내부에서 얼어붙어 시동이 불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드레인 코크도 열리지 않고, 불가피하게 장비를 온도가 낮은곳에 유치하여야 할 때에는 주기적으로 시동을 걸어 왁싱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연료를 순환시켜야 한다.
2) 엔진 가동
- 엔진시동을 걸기 전에 필요한 안전점검을 시행하고 시동 스위치를 START 위치로 하여 1회 30초 이상 엔진 크랭킹 하지 않아야 한다. 엔진 크랭킹 시키는 동안(30초 이내) 시동되지 않으면 2분 이상 기다렸다가 재시동한다.
※ 1회 30초 이상 크랭킹하거나, 즉시 재시동하게 되면 시동모터과열, 파손의 원인
- 축전지의 정상작동 가능한 주변온도 범위는 -5℃~45℃이며, 따라서 -5℃이하에서는 축전지의 충전상태가 쇄약해져 수명이 단축하거나, 동결로 인한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운휴시에는 주기적(매일~주1회)으로 기동 또는 충분히 운전하여 축전지의 충전이 필요함.
- 시동이 되면 계기판 경보장치를 통해 엔진작동 이상유무를 필히 확인하고 경보장치가 작동되거나 이상소음이 나면 즉시 엔진을 정지시키고 그 원인을 제거한다.
- 엔진이 시동되면 작업에 임하기 전에 충분한 엔진예열을 위하여 5분이상 반드시 저속운전을 하여야 한다.
2. 유압계통 관리
1) 유압장치
장비의 작동유 적정온도는 50~80℃로서, 작동유 온도가 낮은 (-20℃이하)상태에서 작업장치를 급히 조작하게 되면 유압기기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저속운전 등을 통해 충분한 예열 후 작업하여 한다.
2) 유압유 관리
- 한랭시의 사용은 작동유, 시일 종류에 고장이 발생하기 쉽다. 작동유는 저온시 점도가 높아져서 엔진의 시동성을 나쁘게 하거나 관 내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 압력의 손실이나, 속도의 저하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일반 시일 종류는 -20℃가 넘게되면, 경화되어 사용효율이 저하.
- 작동시의 주의 : 시일 종류의 고무결은 한랭 때문에 경화됨으로 급속한 부하를 가하면 시일, 호스 등은 경화되어 있으므로 국부적인 변형이 발생하든가 절단되는 등의 누출 등 장비고장 발생.
- 작업 완료시의 조치 : 작업 완료 후, 유압으로 작동하는 장비의 주요 작동부에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로 두면 동결 등으로 정상적인 작업을 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제거하시어 고장을 예방하여야 한다.
3. 공기계통 관리
1) 배수
- 에어탱크 등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시로 각부 콕크를 열어 수분을 배출한다.
※ 에어에 포함되어있는 수분은 삼동변 밸브등 에어콘트롤 장치의 동파의 원인.
- 삼동변 및 콘트롤밸브 등의 보온이 가능한 부분은 스티로플 넝마 등으로 보호하여 동파방지한다.
- 각종 금속부품들은 동절기에 수축으로 인해 균열, 공기누설개소 자주 점검한다.
4. 화차관리
1) 제동통 등 배수 : 일일사업 전후 1회씩 주공기통, 보조공기통, 자동배출변, 자동수증기배수변, 영차완해변, 작용공기통배수변 등의 배수콕크를 열어 배수
2) 문비개폐장치 : 회전식 측문과 하화조절장치의 암과 롯드가 원활히 동작하고 주유공이 이물질로 막히지 않도록 월 1회 주유
출처-철도시설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