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안전.대책

피로 예방대책

양 회장 2019. 6. 19. 11:35


1. 피로의 정의


체력 또는 근육의 근력 생산능력의 감소

생산 및 작업 성적의 양적, 질적 저하 현상, 작업능력 또는 생리적 기능의 저하현상을 일으킨다.



2. 피로의 종류


1) 주관적 피로

  피곤하다 라는 자각을 제일의 징후로 하고 권태, 단조로움, 포화감이 따르며 의지력이 약화되고 주의

  가 산만 해진다.

2) 객관적 피로

  주의가 산만해지고 작업 수행의 의욕과 힘이 떨어져 생산성이 감소하게 된다.

3) 생리적 피로

  생체의 기능 또는 물질의 변화를 검사 결과를 통해 추정한다. 특유한 반응이나 증상이 없다.



3.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개체 조건

   체력

   숙련도

   경험년수

   연령

   성별

   성격 또는 기질 등

2) 작업 조건

   질적 조건 - 심적 부담이 많은 작업 등

   양적 조건 - 작업부담이나 작업속도 등

3) 환경 조건

   온도, 습도, 조도, 진동 등

4) 사회적 조건

   거주지역의 통근시간,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임금과 생활수준 등



4. 피로 시 나타나는 증상


1) 신체적 증상

   ① 머리가 무겁거나 아프다.

   ② 몸이 나른하고 어깨가 쑤신다.

   ③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하다.

   ④ 하품이 나고 식은 땀이 난다.

2) 정신적 증상

   ① 머리가 멍하고 현기증이 난다.

   ② 생각이 산만해지고 귀찮아진다.

   ③ 초조해지고 마음이 산란하다.

   ④ 매사에 자신이 없고 실수가 많다.

3) 신경감각적 증상

   ① 눈이 피로하고 희미해진다.

   ② 발에 힘이없고 비틀거린다.

   ③ 현기증이 나고 근육에 경련이 생긴다.

   ④ 귀가 울리고 손발이 흔들린다.



5.  피로 예방대책

   ① 작업의 부하를 줄인다

   ② 작업속도를 적정하게 한다

   ③ 정적 동작을 가능한 피한다.

   ④ 작업환경 조건을 개선한다.

   ⑤ 작업시간과 휴식을 적정하게 한다.

   ⑥ 수면을 충분히 갖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