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안전.대책

하절기 감전재해 방지대책

양 회장 2019. 6. 24. 09:40


1. 하절기에 감전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이유


① 장마철로 인해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이므로 수분이 많아 인체의 저항이 급격히 감소하여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도 통전전류가 커서 감전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② 무더위로 인해 인체에 땀이 많이 나 인체 저항의 감소로 통전전류가 커서 감전의 위험성이 높아

    진다.

③ 방수상태가 불량한 옥외에 설치된 전기설비의 경우 비에 젖으면 누전현상이 발생하면서 누전전류

    에 접촉되어 감전된다.

④ 습도와 온도가 높아 전기설비의 절연이 손상되면서 누전에 의해 감전된다.

⑤ 여름철에는 낙뢰가 자주 발생되며 이 낙뢰에 맞아 감전된다.

⑥ 무더위로 인해 불쾌지수가 높아져 불안전행동에 의해 충전부에 접촉되어 감전된다.



2. 감전재해 방지 대책


① 전기설비를 정기적으로 점검

② 전기설비의 접지상태를 확인하고 접지저항 및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③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

④ 비가 오는 날에는 옥외에서 전기작업을 하지 않도록 한다.

⑤ 전기위험성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한다.

⑥ 옥외에 설치된 전기설비나 이동형 또는 전동기계기구는 방수 상태 등을 확인한다.

⑦ 낙뢰가 자주 발생하는 장소나 낙뢰가 발생하는 날에는 외출을 가능한 자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