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뢰 보호대책
1. 낙뢰와 서지의 차이점
1) 낙뢰
- 뇌 구름의 전기에너지가 대지 사이의 절연강도보다 클 경우에 발생하는 급격한 방전현상
2) 서지
- 전류, 전압 또는 전력이 급격히 증가하는 과도파영으로 낙뢰와 스위치의 개폐 등에 의해서 발생되며
기기의 손상, 오동작 등의 피해
2. 낙뢰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영향
1) 구조물의 손상
① 전기설비의 절연파괴
② 화재로 인한 손상
③ 전기설비나 시스템의 고장
④ 발, 변전소 등의 손실 등
2) 인입설비의 손상
① 통신선의 경우 케이블이나 기기의 절연파괴
② 전력선의 경우 애자의 손상
③ 변압기 등 기기의 절연파괴
④ 각종 전기, 전자 제어장치의 손상
3. 낙뢰에 의해 발생된 서지의 저감대책
1) 외부 뇌서지에 대한 대책
①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으로 구성하는 접지 실시
② 등전위
③ 등전위 본딩
2) 내부 뇌서지에 대한 대책
① 서지보호장치(SPD)설치
② 등전위 본딩용 모선 별도 설치
4.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보호대책
1) 접촉전압 보호대책
① 사람이 접근하거나 인하도선 근방과 구조물 외측에 사람이 머물 확률이 매우 낮아야 한다.
② 여러개의 구조체의 철골조 또는 서로 접속된 여러조의 강구조체 기둥으로 구성
③ 인하도선에서 3m 이내의 지표층의 저항률은 5 KΩ .m 이상이어야 한다.
2) 보폭전압 보호대책
① 사람이 접근하거나 인하도선에서 3m 이내의 위험 영역에 오래 머물 확률이 매우 낮아야 한다.
② 인하도선에서 3m 이내의 지표층의 저항률은 5 KΩ .m 이상이어야 한다.
③ 메시 접지시스템을 이용하여 등전위화한다.
④ 인하도선에서 3m 이내인 위험한 장소에 접근하는 장소에 접근하는 확률이 최소가 되도록 물리적
으로 제한하거나 경고문을 제시한다.
5. 인적, 물적재해의 보호대책
1) 인적재해 보호대책
① 적절한 절연 유지
② 메시 접지시스템
③ 등전위화
④ 울타리 설치
⑤ 출입제한
⑥ 경고표시등 설치
2) 물적재해 보호대책
① 피뢰시스템 설치
② 차폐선 설치
③ 적절한 두께의 완전한 도전성의 연속차폐공간
④ 적절한 본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