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의 발생현상과 대책
1. 정전기
1) 서로 다른 두 물질의 접촉상태에서 기계적인 힘으로 분리될 때 한쪽에 (+), 다른 한쪽에 (-)의 전기
발생
2) 두물질의 마찰, 박리, 접촉, 액체의 분출, 액체의 유동, 진동(교반), 액체 내의 침강 등의 현상으로
두 물질에 (+), (-) 전기가 증가
2. 정전기의 각종 대전
1) 마찰대전
- 유리봉에 모직물로 마찰하면 유리봉에 (+), 모직물에 (-) 전기의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현상
2) 박리대전
- 옷을 벗거나, 물건을 박리할 때, 마찰 때보다 정전기 발생이 크다.
3) 분사대전
- 액체가 분사할 때, 순수한 가스 자체는 대전현상을 나타내지 않지만, 가스 내에 더스트, 미스트
등이 혼입하면 분출 시 대전
4) 유동대전
- 파이프 속을 절연이 높은 액체가 흐를 때 전하의 이동이 일어나며 액체가 (+)로 대전하면 파이프는
(-)로 대전
5) 교반, 침강대전
① 교반대전
- 액체가 교반될 때 대전, 탱크로 올리거나 탱크로 수송 중에 대전, 기름을 탱크에 넣어 진동시키면
대전현상
- 액체가 교반될 때 대전, 탱크로 올리거나 탱크로 수송 중에 대전, 기름을 탱크에 넣어 진동시키면
대전현상
② 침강대전
- 액체와 그것에 혼합되어 있는 불순물이 침강할 때 대전현상
3. 정전기에 의한 재해대책
1) 접지
① 금속물체와 대지의 전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접지극으로 동판을 매설, 금속물체를 접석하는 것
② 본드(본딩) - 금속물체간의 접석부분에서 절연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이 사이를 동선으로 접속
하는 것
2) 정전화, 정전작업복 착용
① 정전화
보통신발 - 인체대전
정전화 - 인체대전방지(10-5) 도전화 - 특고활선근접작업, 특고선 부근의 건설공사 시 정전유도에 의한 전격방지를 위해 사용 ② 정전작업복 작업복 자체의 대전 작업복에 의한 인체대전 3) 배관 내 액체의 유동제한 - 정치시간의 확보 4) 대전방지제 사용 ① 고체의 경우 - 자동차타이어, 회전기계의 V벨트, 합성섬유 등 재료 첨가 ② 액체의 경우 - 연료와 같이 첨가해도 품질관리상 문제가 없는 것에 사용 5) 가습 - 습도 70(%) 이상 유지 6) 제전기 사용 ① 가전압식 제전기 ② 자기방전식 제전기 ③ 이온 스프레이식 제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