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전에 의한 감전 예방대책
1. 전기누전 현상
1) 누전이란 수도관에서 물이 새는 누수와 같이 전로에서 이탈하여 전기가 새는 현상
2) 누설전류
전선과 대지 사이의 정전용량에 의하여 평상시에도 대지로 누설되는 전류 또는 코로나 방전
3) 지락전류
충전부 접촉이나 전로의 절연파괴 등에 의해 전로 또는 부하의 충전부에서 대지로 전류가 흐르는
현상
2. 누전의 3요소
1) 누전점 : 전선로의 절연이 파괴되어 접지된 금속 조영재 등과 접촉하는 것
2) 출화점
① 모르타르의 이음매
② 금속관과 모르타르의 접촉개소
③ 못으로 고정한 함석판의 맞닿는 부분
3) 접지점
가스관 및 수도관, 소화전의 배관, 건물의 구조철골 등 건물로부터 연속하여 땅속에 매설된 금속체가
접지물로 되는 것, 벽체의 속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
3. 누전에 의한 감전 사례
1) 충전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충전부 접촉에 의해 접촉전압이 인가되어 감전
2) 전기설비의 절연이 파괴되어 누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설비외함의 접촉에 의해 감전
4. 누전에 의한 감전 예방대책
1) 충전부의 방호
①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처리
② 절연이 곤란한 경우 접촉되지 않도록 덮개 등으로 방호
2) 전기기계기구의 접지
① 금속제 외함
② 노출된 비충전 금속제
③ 충전될 우려가 있는부분에 접지
3) 누전차단기 설치(감전 방지용)
①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②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저압용 전기기계기구
③ 철판, 철골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동기기계기구
④ 임시 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동기기계기구
4) 이중 절연구조 전기기계기구 사용
기능절연과 보호절연이 된 이중 절연구조를 사용
5) 규격품, 검정품의 전기기계기구 사용
성능이 유지, 확보되는 제품을 사용
6) 절연저항 측정 및 유지관리
절연이 항시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절연저항을 측정,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