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안전.대책
전기기계의 안전도 향상대책
양 회장
2019. 7. 5. 11:03
1. 전기기계의 고장발생
사용 중의 마모, 진동, 습기, 전원의 변동, 제작과정의 결함, 부품선택의 잘못으로 인해서 발생
2. 고장발생의 형태
1) 초기고장
① 제조상의 불량이나 품질관리의 미비에 의해서 발생하는 고장
② 점검작업이나 시운전에 의해서 사전발견 및 조치가 가능한 고장
2) 우발고장
① 기기의 운전 중에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예기치 못하게 발생하는 고장
② 시운전이나 점검작업에 의해서는 발견 및 방지가 곤란한 성질의 고장
3) 마모고장
① 장치의 일부가 수명이 다해서 생기는 고장
② 부품의 교체 등으로 방지가 가능한 고장
③ 통계분포를 관측해서 정기검사시기 또는 교환시기를 정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안전성의 향상
① 고신뢰도의 기기 및 부품을 사용한다.
② 단순구조, 표준화, 유닛화된 기기 또는 회로를 사용한다.
③ 예비 시스템의 확보, 다중화(병렬운전)를 한다.
④ 환경(습도, 온도, 진동 등)에 대응한 기기를 사용한다.
⑤ Fail Safe를 적용한다.
⑥ 인터록을 적용한다.
⑦ Emergency Action(긴급동작)을 도입한다.
⑧ 사용자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On Job Traning, Off Traning)을 실시한다.
4. 대책
1) 시스템의 안전성 향상 측면에서 일관성 있고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
2) 기술기준의 보수, 안전교육, 기술교육 등 꾸준한 투자와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