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중요 위험요인
1. 위험성 저감대책
▶시스템분야(선로전환기 및 분기기, 궤도회로 등)의 경우 시공 시 공정 추진 금지
▶시스템분야(선로전환기 및 분기기, 궤도회로 등)의 경우 시공 시 품질을 고려하여 시방기준 준수 및 관리감독 강화
? 추락
1) 개인보호구(안전모, 안전대 등) 미착용자 작업장 내 출입금지
2) 고소작업 시 무리한 작업(중량물 취급 등)을 금지하고 음주측정 필수
3) 안전난간, 추락방지망 등 안전시설 설치
? 협착
1) 건설기계 작업 시 작업지휘자 지정 및 배치 철저
2) 운전원은 장비 안전수칙 및 작업구간 내 규정석도 숙지
3) 신호수는 의사소통이 원활한 내국인으로 지정하고, 사전교육을 통해 장비운전자간 신호체계 구축
4) 공사현장 운반작업 시 과적행위 금지 및 공사장 운행속도 준수
? 전도
1) 강우 또는 연약지반에 대해 작업개시 전 반드시 지반보강으로 장비 전도의 위험이 없는지 현장확인 후 작업시행
2) 항타기 등 대형장비 이동, 선회 시 무게중심 하향
3) 운행선 인접공사 현장인 경우 대형장비 이동시 작업현장과 인근역 간에 수시연락을 통해 열차운행 없는 시간에 이동
4) 장비 작업반경 내 작업자 접근금지
? 케이블절손
1) 운행선 인접공사 굴착공사 시 지하매설물 탐지기 활용
2) 지하매설물 위치 확인을 위한 인력 줄파기 시행
3) 설계도서의 지장물 현황도 현장 확인 철저
4) 설계~준공단계까지 업무주체별 지하매설물 처리 명확히 이행
? 선로전환기 및 분기기
1) 전환 완료 후 모터의 역회전이 안 되는지 여부 확인
2) 전환동작시간의 적적성 여부 확인(NS형 : 6초, MJ81형 : 5초)
3) 밀착 및 쇄정상태 확인
4) 기초볼트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가 여부 확인
? 궤도회로
1) 절연구간 길이가 7m 이하인지 여부 확인
2) 인접궤도와의 극성은 이극인지 여부 확인
3) 궤도회로 단락감도 및 송착전 전압 적정성 여부 확인
4) 궤도 절연위치와 차량접촉한ㄴ계와의 일치 여부 확인
? 레일절손
1) 시공 시 시방기준 준수 및 감리, 감독 강화
2) 용접품질이 우수하며 장대레일 재설정 기능이 포함된 이동식 플래쉬버트 용접기 현장 적용 검토로 테르밋트 용접개소 최소화
3) 시설물 검증 전 레일탐상차 운행 및 확인
4)레일파단 시 개구량을 고려한 궤도구조 설계
2. 기타 위험요인
? 감전
1) 전차선로 차단(단전)작업 시 급, 단전 절차 준수 철저
2) 작업전 절연장갑, 절연화, 검전기 등 안전보호구 반드시 착용
3) 장비(모터카) 작업시 전차선 구조물 주의 및 가압후 상부 접근 금지
4) 전로에서 발생 가능한 이상전압의 최대치를 고려하여 이격거리 선정
5) 운행선 구간 장비작업(백호우 등)시 전차선 보호캡 설치
6) 공사용 임시전력 배전반 외함접지 및 누전차단기 사용
? 질식
1) 작업전 및 작업중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적정 공기가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
2) 작업전, 작업중 환기 및 환기할 수 없는 경우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 지급 착용
3) 밀폐공간 작업 시 작업상황 감시자 배치
4) 물질안전 보건자료(MSDS)보관관리 철저
5) 스마트 장치를 통해 산소농도, 유해농도 측정
? 터널붕괴
1) 구조시간 확보를 위한 대피용 강관 배치
2) 무리한 발파작업을 금지하고, 터널굴착부 안전성을 고려한 Cycle-Time 선정 후 작업 착수
3) 터널보강공(락볼트, 숏크리트) 시공 시 시공기준 준수 및 충분한 강도 발현 시 후속 작업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