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안전.대책
주요공종별 안전대책
양 회장
2021. 1. 4. 09:12
1. 전주작업
1) 위험요소
- 급전계통도를 숙지하지 않고 작업에 임하면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 급단전 조치후라도 검전기 확인 없이 작업개시하면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 주상작업시 안전대로프를 고정시키지 않으면 추락으로 사상의 위험이 있다.
- 작업공구가 흩어져 있으면 공구에 걸려 다칠 우려가 있다.
2) 목표설정
- 단전여부를 확인하고, 안전대로프를 고정시킨다.
3) 중점지적확인
- 단전확인, 안전밸트 고정.
2. 선로변 작업
1) 위험요소
- 열차접촉에 의한 사상의 위험이 있다.
- 작업공구가 흩어져 있으면 열차접촉에 의한 파편으로 부상할 위험이 있다.
2) 목표설정
- 작업계획 승인 및 통보절차에 따라 관계부서와 사전협의를 철저히 하고 작업에 임한다.
3) 중점지적확인
- 사전확인, 감시원 배치여부.
3. 전선 고소작업
1) 위험요소
- 낙하물에 의한 사상의 위험이 있다.
- 실족에 의한 추락의 위험이 있다.
- 장비 및 공구사용 미숙으로 다칠 위험이 있다.
- 전주구조물에 걸려 부상할 위험이 있다.
2) 목표설정
- 안전모, 안전화 및 복장을 확인하고 안전고리를 사용한다.
3) 중점지적확인
- 안전모, 안전화, 안전고리.
4. 모타카 작업
1) 위험요소
- 작업 전 접지걸이를 확인하고 작업하지 않으면 긴급한 상황시 보호받을수 없다.
- 모타카 주행시 머리를 숙이지 않으면 전선이나 지지물에 머리를 부딪혀위험하다.
- 작업대에서 떨어진곳의 작업을 위하여 사다리등을 사용할시는 안전하고 균형, 지지물의 견고성등을 확인하고 작업하지 않으면 추락등으로 큰재해가 발생한다.
2) 목표설정
- 접지걸이 확인 후 작업하고 주행시 머리를 숙인다.
- 고소 작업시 이중안전고리를 체결한다.
3) 중점지적확인
- 접지, 머리, 안전고리
5. 고정비임 작업
1) 위험요소
- 비임상에서 이동시 서두르면 실족하여 추락 사망할수도 있다.
- 안전요대없이 작업하는 자만스런 태도는 결국 자기생명만 단축하게 된다.
2) 목표설정
- 침착하게 행동하며 안전고리를 항상 체결하자.
3) 중점지적확인
- 천천히, 안전고리.
6. 주상 작업
1) 위험요소
- 인근 타전선류의 단전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작업하면 감전사고 의 위험이 있다.
- 안전모, 안전조끼 미착용은 머리 및 각종 위험요인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한다.
- 안전고리 없이 작업하는 태도는 추락과 같은 불상사가 반드시 발생하기 마련이다.
- 주상작업시 전주 밑 작업은 떨어지는 물건에 보호받지 못한다.
2) 목표설정
- 인근 고압선로에 주의하고 안전장비(안전모, 안전화, 안전고리)를 착용한다.
3) 중점지적확인
- 고압주의, 안전모, 안전고리.
7. 전차선로 작업
1) 위험요소
- 급전계통도를 숙지하지 않고 작업에 임하면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 급단전 조치후라도 검전기 확인 없이 작업개시 하면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2) 목표설정
- 작업 전 접지 및 급전계통를 확인한다.
3) 중점지적확인
- 차단, 급전계통도.
8. 단전 작업
- 단전작업 20~15일전 시설공단 또는 철도공사에 단전계획서를 제출 하여 승인을 득한후 단전선로에 대한 급전계통도에 대한 교육과 안전교육을 공사감독자 또는 전기안전관리자로부터 받은 후 의문사항이 없도록 한다.
- 현장대리인은 단전승인서를 확인 후 작업시작 1시간전 직원 동원상태 및 복장, 공구를 점검 확인 후 감독자에게 이상 유무를 보고 한다.
- 현장대리인은 당일 작업에 대한 재표, 장비 동원계획을 확인하고 감독자에게 금일 작업준비 완료 사항을 보고한다.
9. 열차운행시 작업
- 열차운행시 작업은 역과 역에 안전원을 배치하여 열차운행에 대한 정보를 수시 현장에 보고하며 열차감시원은 열차시간표를 지참하고 역에 배치되여 안전원과 의 열차정보에 최선을 다한다.
- 현장대리인은 주변선로에 열차통과에 지장이 되는일이 없도록 항상 철로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