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집중호우

태풍, 폭풍

폭설

준비단계

 

-유관기관과 합동 비상근무(비상체제)실시

-상수침수 지역의 사전대책 마련

-배수로, 양수기 등 사전점검

-긴급구조 준비태세 강구

 

 

 

 

 

 

 

 

-유관기관 합동 비상근무(경계체제) 실시

-태풍 진행방향에 따른 시간대별 영향권 검토. 비상대기반 대기

-지붕결박, 입간판 정비 등 사전조치 점검 및 정비

-위험시설 점검, 인명 구조 장비 및 인력 비상 가동 준비

-침수 예상 지역 파악, 안전조치 강구

 

-유관기관 합동 비상 근무(경계체제) 실시

-제설작업 및  방재지원 체제 점검, 정비

-위험 시설물 점검, 정비

-교통두절에 대비 교통 통제 준비 및 우회 도로 지정

 

 

 

 

 

기상특보 단계

 

-재난, 재해 대책 책임자는 정위치 하여 재해대비 체제 구축

-재해대책 상황실 비상 근무 실시

-고압선 접근 금지

-위험시설물 및 외부인 통제 구역내의 예방 순찰 실시

-재해위험지구에 대한 책임자 상주배치

 

-재난, 재해 대책 책임자는 정위치 하여 재해 대비 체제 구축

-재해대책 상황실 비상근무 실시

-노약자 어린이 외출 및 고압선 접근 금지

-재해위험 지구에 대한 순찰 강화

 

 

-재난, 재해 대책 책임자는 정위치하여 재해 대비체제 구축

-재해대책 상황실 비상근무 실시

 

 

 

 

 

 

사태발생 대응단계

 

-수방단, 인명구조대 등에 현지 출동 요청

-침수예상지역 집중관리 및 침수지역 배수작업 실시

-사망자 및 부상자 의료조치

-피해지구에 대한 응급

 복구 실시

-교통두절 구간에 대한 교통 통제 및 우회도로 설치

 

 

 

 

 

 

-수해 상습지나 산사태 위험 지역내의 주민을 안전 지대로 이전

-수방단, 인명구조대, 수방 기동대 등에 현지출동 요청

-수방자재나 구호물자 현지 운송

-홍수 예. 경보 발령에 대한 강화조치(하류지역 주민 긴급 대피 등)

-피해지구 응급복구, 교통 두절 구간에 대한 교통 통제 및 우회로 지정

-사상자 및 부상자 의료 조치

 

 

-교통 두절지역의 긴급제설 작업 실시

-인명구조 활동 전개 및 고립 지역 긴급 물자 지원

-도로순찰 강화, 차량의 안전장구 부착 운행 및 감속 통제 조치

 

 

 

 

 

 

 

 

 

수습 및 복구

 

-피해조사 및 복구계획 수립. 시행

 

 

-이재민 구호 및 장기 구호 대책 강구 시행

-피해조사 및 복구계획 수립. 시행

-피해조사 및 복구계획 수립. 시행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  (0) 2008.05.22
안전교육의 중요성  (0) 2008.05.22
안전교육(재난)  (0) 2008.05.22
전기사고의 원인과 현상  (0) 2008.05.22
안전교육의 중요성  (0) 2008.05.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