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율 개선 설비
(1) 개 요
수전시 무효전력으로 인한 전력손실 및 전압강하를 방지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부하의 무효전력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진상용 콘덴서의 투입량을 조절하여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설비이다.
(2) 역률개선설비 형식
• 개별 전동기 부하 역률은 90% 이상, 종합역률은 95%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한다.
• 부하의 가동 및 정지에 따른 역률 변동시 역률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콘덴서의 투입 및 차단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디지털방식 자동역률 조정장치를 설치한다.
품 명 |
주 요 사 양 |
구 성 |
•캐패시터, 직렬리액터, 방전코일(D.C), 자동역률 조정장치, 진공접촉기 |
캐패시터 |
•형 식 : 완전밀폐형(옥내 Cubicle형) •용 량 : 75 kVAR x 6EA •용 도 : 종합 역률을 95% 이상으로 개선 |
직렬 리액터 |
∙형 식 : 건식 자냉식 ∙용 량 : 캐패시터 용량의 6% ∙용 도 : 콘덴서 설치시 고조파 전류 증대로 인한 콘덴서의 과부하 및 손실방지 ∙콘덴서의 잔류전하를 5초 이내에 방전할 수 있는 방전코일(D.C) 설치 |
자동역률 조정기 |
∙형 식 : 디지털방식 ∙표시, 측정내용 : 전류, 역률 ∙역률 조정범위 : -0.8~+0.99 ∙셋팅 연결모드 : 자동/수동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도기준 선정 (0) | 2008.05.26 |
---|---|
비상발전기 (0) | 2008.05.26 |
접지 설비 (0) | 2008.05.26 |
배관방식 선정 (0) | 2008.05.26 |
케이블 구분 및 적용 (0) | 2008.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