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분 |
22.9kV 3Φ 4W 방식 |
6.6kV 3Φ 3W 방식 |
구 성 도 |
|
|
기 술 적 적 합 성 |
•6.6kV 계전방식에 비해 계통이 단순하여 고장 요소가 적음 •6.6kV 배전선로에 비해 전압강하가 적으므로 케이블 단면적이 적게 소요됨 •정거장 배전계통에 이상이 있을시 경전철 급전계통 파급 가능성 있음 |
•22.9kV 배전방식에 비해 강압변압기가 추가 소요됨 •22.9kV 배전선로에 비해 전압강하가 크므로 케이블 단면적이 늘어남 •22.9kV-6.6kV 변압기에 의해 계통이 구분되므로 배전계통 사고의 22.9kV 급전계통 파급우려 적음 |
경 제 성 |
•22.9kV-6.6kV 강압 변압기 필요없음 •22.9kV, 3Φ, 4W 특고압케이블 사용 •24kV 특고압 VCB 사용 •전기실 면적이 늘어남 |
•22.9kV-6.6kV 강압변압기 및 VCB 1대 추가소요 •6.6kV, 3Φ, 3W 고압케이블 사용 •7.2kV 고압 VCB 사용 •22.9kV 방식대비 기기 및 케이블 비용 저렴 |
선 정 |
|
◎ |
선정사유 |
•고압 차단기 및 케이블을 사용하므로써 특고압 기기에 비해 시설비가 경제적 •차단기반의 규격이 작으므로 전기실 면적을 적게 차지, 건설비가 적게 듬 •배전선로를 비접지 방식을 채택, 1선 지락시에도 계속적인 전원공급 가능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비의 구성 (0) | 2008.05.28 |
---|---|
일반용 전열회로 및 설치기준 (0) | 2008.05.27 |
고압수은램프의 종류 (0) | 2008.05.26 |
형광등램프의 특성 (0) | 2008.05.26 |
백열전구의 특성 (0) | 2008.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