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제동 회로 구성

 

 

•회생제동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동차의 부하 및 전력사용량 시뮬레이션 기법이 필요

•전동차는 급전계통에서 보면 계속 이동하는 집중부하이므로 그 변화가 매우 심하고 다른 열차와의 간격에 따른 영향도 시시각각 다르게 나타남

•급전계통에 나타나는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급전계통 자체의 전기적인 특성 이외에도 전동차의 주행특성 및 전력 소비패턴, 전동차 운행 계획에 따른 전동차의 공간적 분포, 궤도의 구배 및 곡선반경 등 종합적인 시스템에 대한 해석이 필요

 

전기제동방식의 원리

 

  

회생전력의 순환

 

 

 

제동방식의 구분 

기    준

방    식

특    징

제동작용

마찰제동

•기계적인 제동장치에 의한 제동

•모든 차륜에 적용하도록 설치

•기계적 마찰에 기인하는 동작부위의 마모들이 발생하여 주기적인 유지보수를 필요로 함

전기제동

•견인전동기의 발전 작용 및 제어장치에 의한 제동

•동력차륜에만 적용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음

제동요건

상용제동

•빈번사용이 요구됨

•전기제동과 마찰제동을 혼합하여 사용

비상제동

•안전이 최우선시됨

•마찰제동만을 사용

 

 

제동방식 특성 비교 

구    분

전력회생 제동

전기저항 제동

원    리

•주행중의 운동에너지를 제동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원측으로 돌려주거나 다른 열차의 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제동효과를 얻는 방식

•차량 상호간 교환되면서 이루어지며, 만일 다수의 차량에서 동시에 회생이 이루어져 가선 수용 범위를 넘게되면 전원측으로 잉여전력를 돌려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버터가 필요

 

•주행중의 운동에너지를 제동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후 이를 저항기를 통해 방열시키는 방식

 

 

 

 

 

 

장․단점

•전원차단시 비상전원으로 재활용

•소비전력 절감효과

•광범위한 속도변화에 대응하여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음

•전기저항제동에 비하여 회로구성이 복잡하고, 인버터 시설비용이 추가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가 존재하므로 제동 체결이 확실

•전기, 공기제동의 Blending에 의한 감속도 변화가 없어 승차감이 좋음

•저항기에 의한 차량중량의 증가로 인한 전력소비량 증대

•저항에 의한 방열로 지하구간내 온도가 상승

전력효율

변전소 설비용량

감    소

증    가

장치회로

복    잡

단    순

차량중량

일    정

중량증가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궤조 접촉방식 비교검토   (0) 2008.05.28
설비별 제어감시 범위   (0) 2008.05.27
고압배전계통  (0) 2008.05.27
전기철도의 통신유도장해 및 신호  (0) 2008.05.22
전철전력 시설지침  (0) 2008.05.22

+ Recent posts